사용자:*Youngjin/토론회 사항 점검

위키컨퍼런스 서울 2019

편집

2019년 11월 토론회

편집

본인이 참여하지 않음

대문 교체
    • 12월 1일자로 변경.

2019 송년회

편집
사랑방의 뻘글 남발
  • 대문과 사이드바 개편 이후 사랑방이 잘 보이게 되면서, 위키백과와 직접 관련없는 글들이 게시되는 현상이 나타남. 사랑방이 자유게시판처럼 되어서 기존 사용자들이 불편감을 느끼는 문제가 발생.
  • 사랑방에 작성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도움말:사랑방을 만들고, 학생 사용자의 뻘글을 양지지만 사랑방이 아닌 다른 곳으로 유도하기 위해 학생 캠프 내 대화방을 신설(백:아님#대화방에 위배될 여지가 일부 있으나, 사랑방 남발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 이후 현 시점에서 위키백과와 관련없는 주제의 글을 사라졌으나, 학생 사용자의 유입으로 토론이 정리되지 않은 경우는 있음
  • 아무튼 이 사항에 대해서는  해결.
IP, 초심자 / 미숙한 사용자에게 충분히 친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 사용자 관리 요청 안내문 등을 통해서 충분한 안내 등을 유도하고 있지만, 토론 시점과 현 시점이 별반 다른 사항이 없다 판단됨
  • 단 기존 사용자가 안바뀌었다기 보단, 학생 사용자들이 그러한 태도를 보이지 않는 것 또한 있다 봄.
위키백과 정비단
  • 유지보수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출범
  • 정비 에디터톤을 통한 단체 정비 활동 활성화
  • 하지만, 정비 에디터톤을 제외한 성과는 없으므로 유지 보수 프로젝트를 평시에 어떻게 활용할지 방법이 필요하다 사료됨.
  • 따라서 부분적인 성과를 낸 것으로 봐야함.
문서 삭제 권한
  • 삭제자(정비자) 권한을 만들자는 제안을 했으나 토론 이후 두차례에 걸쳐서 삭제자 권한 생성에 대한 반대하는 여론이 있었음.
  • 따라서 삭제자 도입은 현실성이 없는 방안인것으로 보임. 따라서  아니오폐기.
포털
  • 이후 논의: 2020 컨퍼런스에서 위키프로젝트 관련 연계 사항으로 논의됨 (포털을 위키프로젝트에서 관리하자), 이외에는 구상으로 끝남.

1월 오프라인 토론회

편집

4월 온라인 토론회

편집

이번 토론회부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온라인 토론회로 전환.

삭제 신청 틀 개선
  • 삭제 신청에 대한 주의 사항 및 대처를 간결하게 설명하고 보다 눈에 띄도록 삭제 신청 틀을 개선.
  • 도움말:삭제 신청할 때 고려할 점, 도움말:삭제 신청에 대한 대처을 통한 사용자 안내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 만듬.
  • 신청자 실명제, 봇의 도움을 받아서 성공적으로 정착. 이를 통해 삭제 신청 처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하고자 함.
  • 따라서 일차적인 목표는 성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하고자 함.
  • 추가 개선 필요사항?
위키프로젝트 활성화
  • 위키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해 위키프로젝트를 사용자 모임에 추가 -> 하지만 성과 없음.
  • 본 토론회 이후 Turror님을 비릇한 사용자분의 개편 작업을 통해서 위키프로젝트를 개편하는 중임.

나머지 주제는 자잘한 것이고 혁신과 관련된 사항이 아니라 생략.

7월 온라인 토론회

편집
중재위원회의 부활
  • 위키백과토론:중재위원회#조사에 온라인 토론회에서 나온 결론을 바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해당 정리에 대한 공동체의 거부감이 있음
  • 기존의 중재위원회 제도의 실패로 인한 중재위 혹은 비슷한 수단의 부활에 반감이 생긴 것으로 보임.
  • 따라서, 중재위원회 보다 조정자 등을 통한 조정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음
  • 추가 논의 필요.

나머지 주제는 자잘한 것이고 혁신과 관련된 사항이 아니라 생략.

컨퍼런스가 끝난지 얼마 안됐으므로 성과를 점검하기 보단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무엇을 해야하는지 점검하는 쪽으로 작성하고자 함.

위키프로젝트
  • 포털의 역활
    • 편집자 → 독자와 다른 편집자들이 우리 (혹은 개인이 만든 문서)를 자랑할 수 있음
    • 포털은 큐레이터/매거진 역할
    • 대문에 노출해서 사용자를 유입시킬 필요가 있음
  • 목표
    • 단기적으로 코로나19 → 에디터톤 / 프로젝트
    • 최소 5명을 모아야 단기적으로 성과
    • 토론, 지침 만들어 문서 발전
    • Discord, 카톡 등 정기적인 소통 창구 활용 필요
  • 위키프로젝트별로 포털을 맡아서 운영하자
    • 위키프로젝트로 사용자를 이끌기 위한 마케팅이 필요
    • 매거진, 이 달의 문서, 소식, 뉴스레터 등 다양한 방법을 고려
    • 이러한 위의 방법을 시행할 지, 이러한 것을 오래 끌어갈 방법이 필요
    • 롤모델이 될 모범적인 프로젝트가 적어도 하나 필요
    • 사용자들의 참여율과 유지율을 높일 방법 고민 필요
수필 관련
  • 백:수필의 지침화가 필요
  • 위키백과 이름 공간 내의 수필 신규 생성을 지양하고, 사용자문서 하위 공간에 수필 틀을 달아서 적는 방향으로 수정 필요
등재 기준 관련
  • 유튜버와 같은 스트리머 등의 뉴 미디어 크리에이터들에 대한 등재 기준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함. 크게 뜨는 사람이 있는데 골드버튼 수상해야만 위키백과 작성된다? 현실성에 맞지 않음
  • 다만, 유튜버 기준에 맞지 않더라도 다른 방향으로 등재 기준에 충족 시 (신태일 (인터넷 방송인) 사례 참조) 문서 등재는 현재도 가능.
UI (특히 토론 UI)
  • 모바일 → 읽기에만 특화 데스크탑 모바일 반응형 디자인 일원화 X
  • 이 구닥다리 디자인을 바꾸겠다고 재단이 그러나, 문제는 얼마나 걸릴지 모름. 티스푼 공사하는듯.
  • 미디어위키 인터페이스 베이스를 건드려야해서 고치기 힘듬, 따라서 과거 EasyReply와 같은 소도구를 만드는 쪽으로 우선 해결해야 한다 생각함.
  • 이는 장기적으로 진행되야 하는 과제로 보여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