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AEK SEUNG WON/연습장4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 편집

한국은 2019년 세계에서 5번째로 평등한 국가였지만 경제적 불평등이 커지고 있다. 2010년 자료에 따르면 저소득층 (1,200 만원 이하)은 한국 노동력의 37.8%를 차지한다. 반대로 최고 소득자 (1억 원 이상)가 노동력의 1.4 %를 차지한다.[1]

현재 상황 편집

OECD의 다른 국가들 중에서 한국은 지니 계수팔마 비율과 같은 지표를 고려할 때 특히 유사한 인구를 가진 국가로의 비교를 제한할 때 상대적으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2] 그러나 소득 양극화(소득 격차)는 IMF 부양책 이후 완화되지 않아 2018년부터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2014년 빈곤 격차 지수는 39 %로 OECD 국가 중 3위를 차지했다. 웰스 엑스에 따르면 국내 1위인 1390명이 국가 예산 대비 약 270조 원의 자산을 독점하고 있다.[3] 2020년 COVID-19 대유행은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을 악화시켰다.[4]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COVID-19 전염병이 빈부 격차를 심화 시켰다고 설명했다.[5]

다음 표는 한국의 연봉별 인원 수와 근로 소득을 나타낸 것이다.[6]

<한국의 연봉별 인원 수와 근로 소득표>
종류 사람들의 수 전체 근로자 비율 근로 소득 총 근로 소득 비율
1,000 만원 이하 451만 31.6 % 21.0 조원 5.70 %
1,200 만원 이하 5.41M 37.8 % 31.3 조원 8.47 %
3,000 만원 이하 9,900 만 69.3 % 123.0 조원 33.28 %
4,500 만원 이하 11.89M 91.4 % 123.0 조원 47.15 %
6 천만원 이하 1,306 만 91.7 % 260.2 조원 70.41%
8,000 만원 이하 1,380 만 97.4 % 313.1 조원 84.72 %
1 억원 이하 1,400 만 98.6 % 337.4 조원 91.30 %
1 억원 이상 0.19M 1.4 % 32.2 조원 8.70 %
합집합 14.29M 100 % 369.6 조원 100.00 %

카운터 인수 편집

2019년 신화에 실린 기사에 따르면 정부 주도의 경제 성장 정책으로 인해 2018년부터 한국의 지니 지수가 하락했다고 주장했다.[7] 그러나 이 수치는 경제 성장 부진으로 인해 개선되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고소득자.

2019년 개봉한 영화 <기생충> 은 한국의 부자와 빈곤층 사이의 극심한 경제적 불평등을 그려 냈지만 현실이 완전히 반영되지는 않았다.  대조적으로 미국 상위 소득자의 1%가 국가 소득의 20%를 벌고 있는 반면, 그 비율은 한국에서 더 적으며 인구의 12.2 %가 한국 전체 소득의 같은 비율을 벌고 있다.[8]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한 문제 편집

참조 : 경제적 불평등의 영향

경제적 양극화는 많은 문제를 야기하지만 다음 중 일부는 한국에서 더 분명하다.

한국 청년에 미치는 영향 편집

경제적 불평등은 종종 사회적 이동성이 낮거나 제한된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한국 청년들에게 절망감을 심어줄 수 있는 상황이다.[9]  도박은 한국에서의 합법성으로 인해 극도로 제한적이지만 도박과 도박 중독에 취약한 한국인들에게 위험한 부채가 될 수 있다.[10] 2017년 한국에서 암호 화폐의 사용 가능성[11]은 도박에 대한 법적 수단의 부족과 결합되어 도박 문제와 관련 부채에 기여했다. [12]

원인 편집

경제적 불평등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이 논의되고 있다.

외환 위기 편집

금융 위기 자체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국내 투자 위축과 전반적인 고용 여건이 약화되었다. 국내 경제 침체와 수출 의존 국가 경제 구조는 강화되었다. 아시아 금융 위기 이전에는 현지 기업들이 느슨하게 투자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과잉 투자는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경쟁의 심화 편집

실물 경제에서 정보의 불균형은 역 선택 또는 도덕적 해이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효율 임금 이론을 적용 할 수 있다. 그러면 통념과는 달리 '일하는 것보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에게 더 많이 주는 것'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 큰 경쟁에서 1 위와 2 위의 차이가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상금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쉽다. 자신의 실력에 자신이 있는 사람은 '내가 1 등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금이 큰 대회를 선호할 것이다. 그것은 비경쟁적인 것을 몰아내고 경쟁자를 끌어들이는 메커니즘 역할을 한다. 즉, 이론적으로 누가 좋든 나쁘든 더 엄격하게 고려할수록 더 많은 양극화가 강화 될 수 있다. 지금은 능력주의는 외부 압력이 없는 현실에서 가장 명확하고 가장 합리적인 자원 분배 기준이므로 효율성과 정당성 측면에서 모두 유효하다. 그러나 양극화는 또 다른 문제다. 즉, 합법적인 사회는 더 양극화 될 수 있고, 반대로 불의한 사회는 더 평등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양극화가 심하다고 말하는 것 만으로는 사회가 부당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

정치적 불평등 편집

그의 저서 <The Great Leveler>에서 Schaedel은 정치적 불평등이 경제적 불평등을 초래한다고 말했다.[13] 이 책에서 저자는 국가가 역사적으로 형성한 바와 같이, 공권력이 몇 사람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층 구조의 측면에서, 그것은 매우 날카로운 첨탑 구조다. 이러한 정치적 불평등이 경제적 불평등을 격려 "한국은 1990 년대 이후 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불평등이 심화되었다고 말한다.

2016 년 한양대학교 논문에서는 세대 간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신문에서 국민의 70%는 소득 격차를 좁히지 못한 것에 대해 정부에 책임을 물었다. 많은 현대인들은 현 정부의 정책 불평등이 빈부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14]

고용 악화 편집

한국의 장기적인 고용 악화로 저소득층의 빈곤이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지난 몇 년 동안 매번 고용을 늘리려고 노력했지만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15]  2018 한국어 타임즈에 실린 기사에서, IMF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22)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 가장 가난했다. 이 기사에서는 국가 경제 성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청년 구직자의 구직 어려움으로 인한 가구 소득 불평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16]

해결책 편집

빈부 격차를 해소하려면 보편적인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한국 정부의 복지 지출 비중은 OECD 국가 중 가장 낮다. 빈부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17]

국가는 자유 시장 경제 체제의 흐름을 훼손하지 않고 시장에 개입하여 소득 불평등과 빈부 격차를 해소하고자 한다.

소득 불평등 해소를 위한 대표적인 경제 정책으로 우리나라는 소득 주도형 성장 정책을 갖고 있으며, 코로나 19 로 인한 경제적 피해로 준비된 전 세계 재난 지원 기금도 이를 연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저소득층 가정의 기본 소득 보장을 통한 단기적, 수치적 빈부 격차다.

2018 고려 대학교 학위 논문에서 사회 복지 정책이 경제적 불평등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신문은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이 1990 년에 6.6 배나 달했지만 2009 년부터 10 배 이상 달했다고 한다. 사회 복지의 보편적인 개념은 경제적 불평등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21 세기에 점점 더 두드러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시장주의를 바탕으로 산업 경쟁력을 키우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복지를 마련한 스웨덴대영 제국의 두 나라를 예로 들었다., 산업 경쟁력과 복지 효율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했다. 이에 비해 국가는 이보다 분명히 저렴했다. 이 논문은 보편적 복지를 제공하면서 복지 비용을 높이면서 소득 계층을 다르게 나누어 일하고 싶은 욕구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18]

참고 문헌 편집

1. ^ 하우맘. "연봉금액별 인구수 및 근로소득액". Daum블로그 (in Korean). Retrieved 2020-04-26.

2. ^ "Inequality - Income inequality - OECD Data". theOECD. Retrieved 2020-08-24.

3. ^ "[wide&deep] 지구촌 커지는 빈부격차… '잿빛 그늘' 짙어지는 한국".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4-26.

4. ^ "OECD 빈곤율 2위 오명 한국… 코로나19 경제위기로 악화되나".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5. ^ "1분기 빈부 격차↑…靑 "정부지원소득 빠르게 늘어, 정책 효과"".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6. ^ "근로자 40%가 월급 100만원 안돼".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27.

7. ^ "S.Korea's income inequality hits record low in 2018 - Xinhua | English.news.cn". www.xinhuanet.com. Retrieved 2020-06-27.

8. ^ a b Bloomberg, David Fickling |. "Analysis | What 'Parasite' Misses About Inequality in South Korea".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1-12. Retrieved 2020-06-27.

9. ^ Chang, Ha-Joon (25 February 2018). "How to Break Korea's Barriers to Social Mobility". New Europe. Retrieved 24 August 2020.

10. ^ "Household Debt Bomb". Undercover Asia. Series 7. Episode 5. 7 April 2020. Event occurs at 14:52. Channel News Asia.

11. ^ "South Korea's Cryptocurrency Addiction Explained". Foreign Exchange Live. 26 February 2018. Retrieved 24 August 2020.

12. ^ "[SNS돋보기] '일확천금' 비트코인 중독…"도박보다 무섭네"".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5-03.

13. ^ 지면보기, 입력 2018 09 29 00:30 수정 2018 10 01 13:36 | 603호 16면 (2018-09-29). "정치적 불평등이 경제적 불평등을 조장한다". 중앙일보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14. ^ 여승현 (2016). "세대에 따른 경제적불평등 인식과 복지태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59–62.

15. ^ "1분기 빈부 격차↑…靑 "정부지원소득 빠르게 늘어, 정책 효과"".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16. ^ "Korea worst in income inequality in Asia-Pacific". koreatimes. 2016-03-16. Retrieved 2020-06-27.

17. ^ "사회보장 통한 양극화 해소가 공정사회 기반". www.hani.co.kr (in Korean). 2010-12-20. Retrieved 2020-06-19.

18. ^ 정동건. "사회복지정책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학위논문: 61–66.

  1. 1. ^ 하우맘. "연봉금액별 인구수 및 근로소득액". Daum블로그 (in Korean). Retrieved 2020-04-26.
  2. 2. ^ "Inequality - Income inequality - OECD Data". theOECD. Retrieved 2020-08-24.
  3. 3. ^ "[wide&deep] 지구촌 커지는 빈부격차… '잿빛 그늘' 짙어지는 한국".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4-26.
  4. 4. ^ "OECD 빈곤율 2위 오명 한국… 코로나19 경제위기로 악화되나".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5. 5. ^ "1분기 빈부 격차↑…靑 "정부지원소득 빠르게 늘어, 정책 효과"".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6. 6. ^ "근로자 40%가 월급 100만원 안돼".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27.
  7. 7. ^ "S.Korea's income inequality hits record low in 2018 - Xinhua | English.news.cn". www.xinhuanet.com. Retrieved 2020-06-27.
  8. 8. ^ a b Bloomberg, David Fickling |. "Analysis | What 'Parasite' Misses About Inequality in South Korea".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1-12. Retrieved 2020-06-27.
  9. 9. ^ Chang, Ha-Joon (25 February 2018). "How to Break Korea's Barriers to Social Mobility". New Europe. Retrieved 24 August 2020.
  10. 10. ^ "Household Debt Bomb". Undercover Asia. Series 7. Episode 5. 7 April 2020. Event occurs at 14:52. Channel News Asia.
  11. 11. ^ "South Korea's Cryptocurrency Addiction Explained". Foreign Exchange Live. 26 February 2018. Retrieved 24 August 2020.
  12. 12. ^ "[SNS돋보기] '일확천금' 비트코인 중독…"도박보다 무섭네"".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5-03.
  13. 13. ^ 지면보기, 입력 2018 09 29 00:30 수정 2018 10 01 13:36 | 603호 16면 (2018-09-29). "정치적 불평등이 경제적 불평등을 조장한다". 중앙일보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14. 14. ^ 여승현 (2016). "세대에 따른 경제적불평등 인식과 복지태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59–62.
  15. 15. ^ "1분기 빈부 격차↑…靑 "정부지원소득 빠르게 늘어, 정책 효과"".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020-06-19.
  16. 16. ^ "Korea worst in income inequality in Asia-Pacific". koreatimes. 2016-03-16. Retrieved 2020-06-27.
  17. 17. ^ "사회보장 통한 양극화 해소가 공정사회 기반". www.hani.co.kr (in Korean). 2010-12-20. Retrieved 2020-06-19.
  18. 18. ^ 정동건. "사회복지정책의 경제적 불평등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학위논문: 6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