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irdymighty/연습장

編輯 엮을 편 모을 집

표준국어대사전은 편집을

일정한 방침 아래 여러 가지 재료를 모아 신문, 잡지, 책 따위를 만드는 일. 또는 영화 필름이나 녹음 테이프, 문서 따위를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일 이라고 정의한다.

편집의 역사 편집의 역사는 책의 역사와 함께 한다고 말할 수 있다. 편집의 편은 엮을 편이고 집은 모을 집이다. 이것은 동양에서 책이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 살펴보면 편집의 뜻이 무엇인지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지금 흔히 책이라고 할 때 떠올리는 여러 쪽의 종이를 왼쪽에서 묶은 모양은 코덱스라고 부르는 것으로 ***년부터 일반화된 형식이다. 동양에서는 양면에 인쇄하는 대신 한쪽면에만 인쇄한 후 가운데를 접어 책으로 묶었고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는 비단 두루마리와 대나무 조각(죽간)에 글을 써 구멍을 뚫어 실로 꿴 것을 책으로 썼다. 한자 책은 이 모양을 본 뜬 것이다. 편집에 편은 대나무 조각을 엮듯이 이렇게 엮는 것을 말한다. 집은 엮을 가치가 있는 글을 모으는 것이다.


공영 방송(公營放送)은 정부와 기업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방송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방송의 형태는 국가에서 직접 재정 일체를 담당하고 관리 통제하는 국영 방송과 민간 자본으로 운영되는 민영 방송이 있다. 공영방송은 이와는 다른 형태로 정부나 광고주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국민에게 독립되고 공정한 정보와 양질의 프로그램을 서비스 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공영방송은 그러한 점에서 국영방송과 엄연한 차이를 보인다.

공영방송의 주된 재정은 수신료이다. 공영방송의 대표적인 방송사인 영국의 BBC와 일본의 NHK의 경우 상업광고를 전혀 하지 않으며, 재정의 90%정도가 수신료로 충당된다. 하지만 이탈리아 RAI, 독일 ARDZDF, 프랑스 텔레비지옹, 오스트리아 ORF, 폴란드 TVP처럼 수신료도 받고 광고방송을 하는 경우도 있고, 뉴질랜드 TVNZ처럼 광고만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ABC처럼 재정을 세금으로 충당하는 경우도 있다. 네덜란드 NPO, 벨기에 VRT, RTBF, 캐나다 CBC 같은 경우는 세금과 광고로 운영한다.

한국의 공영방송인 KBSEBS는 수신료와 광고로 재원이 충당된다. 하지만 수신료가 재정에 차지하는 비중은 타 국가에 비해 낮은편으로 이로 인해 시청률 경쟁이 심해지고 그에 따른 선정성이 심해지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공영방송은 직접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상업방송에 최소한의 공영성에 대한 의무를 재확인시키는 감시견 역할도 담당한다. 수신료가 상업방송만을 보는 사람들에게조차 장기적이고 누적적인 혜택을 주는 셈이다. 공영방송의 존재 자체가 상업방송으로 하여금 방송의 공익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견제장치가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공영방송의 운영 형태는 대부분이 정부출자를 통한 특수법인, 즉 공사(公社)를 만들어 운영하는 경우이다.

유형 편집

공영 방송 제도의 운영방식과 재원 마련 운영철학의 차이에 따라 몇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독립형 편집

독립형 공영 방송은 영국 BBC가 대표적으로 방송을 칙허장(Royal Chart)을 받아 운영하는 독립기관으로 정부와 의회로부터 독립된 제도로 정립했다.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해 방송국이 자체의 견해를

세계의 공영 방송사 편집

주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사용자:Birdymighty/연습장/평판인쇄

금속 활자 주조 방법 편집

유럽식 금속 활자는 단단한 금속에 글씨를 뒤집어 양각으로 조각하여 아비자(patrix)를 만든다. 아비자로 무른 금속을 때려 어미자(matrix)를 만든다.[1] 이렇게 만든 어미자에 납이나 주석 등의 합금을 부어 활자를 만든다.

동양식 금속 활자는 단단하고 조각하기 쉬운 나무에 글자를 뒤집어 양각으로 조각한다. 모래틀에 이 조각된 글씨를 찍고 녹은 금속을 부어 굳힌 후 솔로 모래를 털어낸다.

Type-founding as practiced in Europe and the west consists of three stages.

Punchcutting: If the glyph design includes enclosed spaces (counters) then a counterpunch is made. The counter shapes are transferred in relief (cameo) onto the end of a rectangular bar of mild steel using a specialized engraving tool called a graver. The finished counterpunch is hardened by heating and quenching (tempering), or exposure to a cyanide solution (case hardening).

The counterpunch is then struck against the end of a similar rectangular steel bar—the letterpunch—to impress the counter shapes as recessed spaces (intaglio). The outer profile of the glyph is completed by scraping away with a graver the material outside the counter spaces, leaving only the stroke or lines of the glyph. Progress toward the finished design is checked by successive smoke proofs; temporary prints made from a thin coating of carbon deposited on the punch surface by a candle flame. The finished letter punch is finally hardened to withstand the rigors of reproduction by striking.

One counterpunch and one letterpunch are produced for every letter or glyph making up a complete font.

Matrix: The letterpunch is used to strike a blank die of soft metal to make a negative letter mould, called a matrix.

Casting: The matrix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a device called a hand mould. The mould is clamped shut and molten type metal alloy consisting mostly of lead and tin, with a small amount of antimony for hardening, is poured into a cavity from the top. Antimony has the rare property of expanding as it cools, giving the casting sharp edges.[37] When the type metal has sufficiently cooled, the mould is unlocked and a rectangular block approximately 4 centimeters long, called a sort, is extracted. Excess casting on the end of the sort, called the tang, is later removed to make the sort the precise height required for printing, known as "type height".

금속 활자의 각 부분의 명칭 편집

 
금속 활자 각 부분의 명칭. a 자면, b 몸, c 포인트 크기, 1 어깨, 2 닉(nick), 3 홈, 4 발.


이가화 -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 달려 있는 꽃, 자웅이주(雌雄異株)라고도 한다. 자웅이주 - 암수딴그루. 암꽃과 수꽃이 서로 다른 그루에 따로 달려 있는 것. 이가화라고도 함. 자웅동주에 대응되는 용어로 대부분 종자식물은 자웅동주이며 자웅이 . 단성화는 호박·오이·수박처럼 한 포기에 암수 꽃이 따로 열리는 자웅동주(雌雄同株·암수한그루)와 은행나무같이 숫제 암수 나무가 별도인 자웅이주(雌雄異株·암수딴그루)가 있다. 그리하여 "은행나무도 마주 서야(봐야) 연다"고 하는 것. 이렇게 암수딴그루인 목본(나무)에는 은행 말고도 비자나무·주목·버드나무·뽕나무·초피나무·다래 등등이, 초본(풀)엔 드물지만 환삼덩굴·수영·시금치가 있다. 종자식물에서 암수의 생식기관 및 생식세포가 다른 개체에 생기는 현상 암수딴그루라고도 하는데, 식나무 ·은행나무 ·삼 ·뽕나무 ·시금치 ·초피나무 등이 속한다. 양치식물역시 자웅동주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쇠뜨기와 같이 조란기를 만드는 전엽체와 조정기를 만드는 전엽체가 따로 있어 자웅이주인 경우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웅이주 [dioecism, 雌雄異株] (두산백과) 부처손 ·네가래 ·생이가래 ·물부추 등은 대포자(大胞子)를 만드는 자성(雌性) 개체와, 소포자(小胞子)를 만드는 웅성(雄性) 개체가 같은 그루이나, 대포자와 소포자는 따로따로 발아하여 각각 조란기와 조정기를 만든다. 갈파래 같은 접합조류는 접합할 때 한쪽 세포의 내용물이 다른 쪽 세포로 이동하므로 자웅이주라고 할 수 있으나, 웅성과 자성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 +성, -성이라고 한다. 갈파래속(屬) ·가시파래속 같은 녹조류는 동형배우자를 만들어 접합하나, 이것을 만드는 개체 사이에는 +성과 -성의 구별이 있다. 담자균류나 자낭균류는 균사(菌絲)가 접합할 때 포자에 2종류가 있는 이극성(二極性)과 4종류가 있는 사극성(四極性)이 있으나, 암수의 구별이라기보다는 +성, -성으로 구별된다. 암수는 성염색체에 의하여 결정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웅이주 [dioecism, 雌雄異株] (두산백과)

  1. 어미자는 글씨가 바르게 찍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