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오세아니아의 국가

뉴질랜드(영어: New Zealand) 또는 아오테아로아(마오리어: Aotearoa)는 오세아니아오스트랄라시아에 위치한 섬나라이자 왕정 주권국이다. 뉴질랜드는 북섬남섬, 그리고 600여 개의 작은 들로 구성되어 있다. 뉴질랜드의 총 육지면적 268,000 제곱킬로미터 (103,500 mi2)이다. 뉴질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태즈먼해를 사이에 두고 2,000km 정도 떨어져 있고 뉴칼레도니아, 피지, 통가와 같은 태평양 북서부의 도서와는 남쪽으로 1,000km 이상 떨어져 있다.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인간이 정착한 마지막 땅이 되었다. 또한 오랜 고립 기간 동안, 뉴질랜드에서는 독특한 생물적 다양성이 발전했다. 뉴질랜드의 다양한 지형과 높은 봉우리들은 화산 폭발과 육지의 융기로 인해 형성된 경우가 많다. 뉴질랜드의 수도는 웰링턴이고,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는 오클랜드이다.

뉴질랜드
영어: New Zealand
마오리어: Aotearoa

국기

국장
국가신이시여 뉴질랜드를 지켜주소서
수도웰링턴 남위 41° 17′ 20″ 동경 174° 46′ 38″ / 남위 41.28889° 동경 174.77722°  / -41.28889; 174.77722
최대 도시오클랜드 남위 36° 30′ 09″ 동경 174° 26′ 32″ / 남위 36.502550° 동경 174.442353°  / -36.502550; 174.442353
뉴질랜드(뉴질랜드)
정치
정치체제입헌군주제, 단원제, 의원내각제
국왕찰스 3세
총독
총리
신디 키로
크리스토퍼 럭슨
역사
독립영국으로부터 독립
1907년 9월 26일1
지리
면적268,680 km2 (75 위)
내수면 비율2.1%
시간대UTC + 12
DSTUTC + 12/13
인문
공용어영어, 마오리어, 뉴질랜드 수화
국어영어
인구
2015년 어림4,569,840명 (122위)
인구 밀도15명/km2 (201위)
경제
GDP(PPP)2008년 어림값
 • 전체$1157.1억 (60위)
 • 일인당$41,555 (34위)
GDP(명목)2008년 어림값
HDI0.919 (6위, 2012년 조사)
통화달러 (NZD)
종교
종교무종교 48.6%
기독교 37.3%
힌두교 2.7%
이슬람교 1.3%
불교 1.1%
기타 2.3%
불명 6.7%
기타
ISO 3166-1554, NZ, NZL
도메인.nz
국제 전화+64
1. 1931년에 웨스터미니스터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고, 1986년헌법이 제정되었다.

1250년과 1300년 사이에 뉴질랜드의 섬에 폴리네시아인이 정착하였고, 독특한 마오리 문화를 발전시켰다. 1642년 네덜란드 탐험가 아벌 타스만이 유럽인으로서 처음으로 뉴질랜드를 발견했다. 1840년, 영국의 대표와 마오리족의 수장들이 와이탕이 조약을 체결하였고, 뉴질랜드의 주권이 영국에 있음을 선언했다. 1841년 뉴질랜드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907년에는 자치령이 되었으며, 1947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했지만, 영국의 군주가 국가원수로 남게 되었다. 오늘날, 뉴질랜드의 인구는 총 490만 명으로, 이 중 대다수가 유럽계이다. 원주민인 마오리족이 소수민족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계와 태평양 섬사람들이 그 다음으로 많다. 뉴질랜드의 문화는 마오리 문화와 초기 영국 정착인들의 문화에서 기여된 것이 많지만, 뉴질랜드로의 이주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뉴질랜드의 공식언어는 마오리어뉴질랜드 수어다. 그러나, 영어가 실질적인 공식언어로 가장 많이 쓰인다.

뉴질랜드는 선진국으로 분류된다. 또한 삶의 질, 보건, 교육, 시민자유의 보호, 경제적 자유와 같은 국가 성과에 대한 국제적 비교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뉴질랜드는 1980년대 주요 경제적 변화를 겪었고, 경제 역시 보호주의에서 자유 무역으로 선회했다. 뉴질랜드의 경제에서 서비스업이 다수를 차지하며, 산업과 농업이 그 다음으로 많다. 관광은 뉴질랜드의 중요한 수입원이다. 뉴질랜드 의회단원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뉴질랜드의 총리가 이끄는 내각이 행정기관의 역할을 한다. 현재 뉴질랜드의 총리는 크리스 힙킨스이다. 찰스 3세가 뉴질랜드의 군주이며, 뉴질랜드의 총독이 국왕을 대신하는데, 현재 총독은 팻시 레디이다. 뉴질랜드의 행정 구역은 11개이며 지방자치를 목적으로 한 67개의 지역 당국이 있다. 뉴질랜드 왕국은 뉴질랜드의 속령토켈라우,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관계니우에쿡 제도, 그리고 뉴질랜드가 남극에서 영유권을 주장하는 로스 속령이 포함된다.

뉴질랜드는 유엔, 영국 연방, ANZUS, 경제협력개발기구, ASEAN 플러스 6,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태평양 공동체, 태평양 제도 포럼의 회원국이다.

어원 편집

 
1657년 지도로 "Nova Zeelandia"의 서해안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도에서는 북섬이 아래쪽에 있다.

네덜란드 탐험가 아벌 타스만은 1642년 뉴질랜드를 처음으로 발견하고 네덜란드 의회의 네덜란드어 발음인 '스타텐헤네랄'을 기려 "스타텐란트"라고 명명했다. 타스만은 "이 땅이 스타텐란트와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라고 적었다.[1] 여기서 말하는 스타텐란트는 남아메리카 대륙의 남쪽 끝에 위치한 같은 육지로, 야코프 러 메러가 1616년 발견한 땅이었다.[2][3] 1645년, 네덜란드 지도학자들이 네덜란드의 주인 제일란트주의 이름을 따 "노바 제일란디아"라는 이름을 붙였다.[4][5] 이후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이 노바 제일란디아를 영어화하면서 "뉴질랜드"라는 이름이 생겨났다.[6]

"길고 하얀 구름의 땅"으로 자주 번역되는 "아오테아로아"[7]는 뉴질랜드를 가리키는 현대 마오리어 이름이다. 이 명칭이 유럽인이 정착하기 이전의 뉴질랜드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인지, 아니면 북섬만 가리키는 단어인지는 불분명하다.[8] 마오리인들은 2개의 섬을 가리키는 여러 개의 전통적인 명칭이 있었다. 북섬의 경우에는 마우이의 물고기라는 뜻을 가진 테이카아마우이로 불렀고, 남섬의 경우에는 푸나무의 물이라는 뜻인 테와이푸나무, 또는 아오라키의 카누라는 뜻인 테와카오아오라키라고 불렀다.[9] 초기 유럽 지도에서는 북섬을 노스, 남섬을 미들, 그리고 스튜어트섬을 사우스라고 표기했다.[10] 1830년 지도 제작자들은 뉴질랜드의 가장 큰 2개의 섬을 나타내기 위해 노스와 사우스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1907년 이것은 표준으로 받아들여졌다.[6] 2009년 뉴질랜드 지리국은 북섬과 남섬이라는 이름이 공식화되지 않았음을 발견했고, 2013년 표기를 공식화했다. 이후 북섬은 북섬 또는 테이카아마우이로 표기하고, 남섬은 남섬 또는 테와이푸나무로 표기했다.[11]각각의 섬은 영어나 마오리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쓰거나 둘을 병기해도 된다.[11]

역사 편집

 
마오리족타이완에서 멜라네시아까지 이주한 다음, 소시에테 제도를 거쳐 동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의 후예라고 알려져 있다. 70여 년에서 265년 동안 이들의 이주는 멈췄지만, 새로운 이주가 시작되었고 이들의 이주는 뉴질랜드의 발견과 정착화로 이어졌다.[12]

뉴질랜드는 인간이 정착한 가장 마지막 육지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탈산림화의 증거,[13] 그리고 마오리족 주민들의 미토콘드리아 DNA 변동성은[14] 동부 폴리네시아인들이 1250년부터 1300년 사이에 뉴질랜드를 처음으로 정착했으며[9][15] 남태평양의 여러 섬들을 거쳐 장기간 항해를 했음을 알게 해 준다.[16] 수 세기가 지난 후, 이 정착자들은 "마오리"라고 알려진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주민들은 "이위"와 "하푸"로 구별되었고, 이들은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경쟁했으며, 때로는 서로 싸우기도 했다.[17] 어느 순간 마오리족은 오늘날 채텀 제도로 알려진 레코후로 이주했고, 이곳에서 마오리족은 그들만의 모리오리 문화를 발전시켰다.[18][19] 모리오리 주민들은 1835년부터 1862년 사이에 전멸했는데, 이는 타라나키 마오리가 이 지역을 침범해 1830년대부터 이 지역주민들을 노예로 삼았고, 유럽에서 온 질병들도 모리오리 주민들의 죽음에 영향을 미쳤다. 1862년, 모리오리 주민들 중 101명만이 살아남았고, 순수 모리오리 혈통을 가진 마지막 사람은 1933년 사망했다.[20]

 
이 뉴질랜드 첫 방문 때 그린 뉴질랜드의 해안선. HMS 엔데버의 항해과정도 그려져 있다.

뉴질랜드에 처음으로 도착한 유럽인은 1642년에 뉴질랜드를 발견한 네덜란드 탐험가 아벌 타스만과 그의 승무원이었다.[21] 뉴질랜드에 도착했을 당시, 원주민들은 그들을 적대적으로 대했고, 이 결과 선원 4명이 죽고 마오리족 1명이 산탄총에 맞았다.[22] 유럽인들은 이후 뉴질랜드를 방문하지 않았고, 1769년이 되어서야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이 뉴질랜드의 해안선 대부분을 지도로 그렸다.[21] 쿡 이후 수많은 유럽인들과 북아메리카 사람들이 포경선, 물개잡이 배, 그리고 무역선을 이끌고 뉴질랜드를 방문했다. 그들은 유럽산 음식과 금속 도구, 무기와 기타 제품들을 목제, 마오리 음식, 공예품, 물 등으로 교환했다.[23] 감자머스킷의 도입은 마오리족의 농업과 전쟁을 뒤바꿨다. 감자는 믿을만한 식량 보충원으로 제공되어 더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했다.[24] 이 결과 벌어진 머스킷 전쟁에서 1801년부터 1840년까지 600회 이상의 전투가 발생했고, 3만 명에서 4만 명 사이의 마오리족이 사망했다.[25]19세기 초, 기독교 선교사들이 뉴질랜드에 정착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마오리 인구가 기독교로 개종했다.[26] 한편, 마오리족의 인구는 19세기 동안 약 40% 감소했는데, 질병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27]

 
와이탕이 조약이 명시된 종이.

1788년 아서 필립 대위가 새로운 영국 식민지인 뉴사우스웨일스총독에 임명되었다. 위원회에 따르면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에는 뉴질랜드도 속했다.[28] 영국 정부는 북부 마오리의 청원으로 1832년 제임스 버스비를 주뉴질랜드 영국 공사관으로 임명했다.[29] 1835년 샤를 드 티에리가 프랑스 정착이 임박했으믈 선언한 이후, 혼란스러웠던 뉴질랜드 부족연합윌리엄 4세에게 뉴질랜드 독립선언서를 제출하고 보호를 요청했다.[29] 불만은 지속되었고, 마오리족에게 땅을 사기 위해 감독관들을 태운 배를 이미 파견한 뉴질랜드 회사의 정착 제안과 뉴질랜드 독립선언서의 미심쩍은 법적 지위로 인해 식민성윌리엄 홉슨을 파견하였다. 윌리엄 홉슨은 뉴질랜드의 영유권을 영국이 주장하게 하고 마오리족과 협상을 하기 위해 파견된 것이었다.[30] 1840년 2월 6일 아일랜즈 만에서 와이탕이 조약이 처음으로 체결되었다.[31] 뉴질랜드 회사가 웰링턴에 독자적인 정착촌을 세우려고 하고[32] 프랑스 정착민들이 아카로아에 땅을 구입하자,[33] 마오리족이 조약을 체결하기 위해 와이탕이 조약의 복사본이 뉴질랜드 각지를 돌아다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홉슨은 1840년 5월 21일 영국이 뉴질랜드 전체의 영유권을 소유한다고 선언했다.[34] 와이탕이 조약의 체결과 영유권 주장으로 이민자의 수가 급증하기 시작했다.[35]

 
1863년 호크스베이 지방에 사는 유럽계 및 마오리 주민들의 만남.

뉴질랜드는 와이탕이 조약 이후에도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일부로 남아있었지만, 1841년 7월 1일 왕령 식민지뉴질랜드 식민지로 분리되었다.[36] 1843년 와이라우 학살 이후 영유권에 대한 의견 충돌과 땅 문제로 인해 식민지 정부와 마오리족 사이의 전쟁이 발발했다. 주로 북섬에서 발발한 이 분쟁에서 수천 명의 제국군과 영국 해군이 뉴질랜드에 파견되었고 이 전쟁은 이후 뉴질랜드 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뉴질랜드 전쟁 이후 정착민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마오리족의 땅은 정부에 의해 압수되었다.[37]

1852년 뉴질랜드 헌법에 따라 뉴질랜드는 대의 정치를 시작하였고, 1854년에는 뉴질랜드 최초의 의회가 개설되었다.[38] 1856년 뉴질랜드 식민지는 자치가 가능해졌고 원주민 정책을 제외한 모든 국내 문제의 책임을 인계받았다.[38] 원주민 정책은 1860년대에 인계되었다.[38] 남섬이 또 다른 식민지가 될 것을 우려하여 뉴질랜드 제4대 총리인 알프레드 도멧뉴질랜드의 수도를 오클랜드에서 쿡 해협 인근으로 이전할 것을 제안했다.[39] 웰링턴이 수도의 중심으로 선정되었고, 1865년부터 웰링턴에 의회가 자리잡았다.[40]

1891년 뉴질랜드 자유당이 뉴질랜드에서 처음 설립된 정당으로 집권에 성공했다.[41] 리처드 세던이 재임 기간의 대부분 동안 자유당 정부를 이끌었고,[42] 자유당 정부는 뉴질랜드의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법안을 통과시켰다. 1893년 뉴질랜드는 세계에서 최초로 모든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했고[41] 1894년 산업 조정 및 중재법을 제정하여 고용주와 노동연합 간의 중재를 의무화했다.[43]

1907년, 뉴질랜드 의회의 요청에 따라 에드워드 7세는 뉴질랜드를 대영제국에 속한 자치령으로 선언하고,[44] 뉴질랜드의 자치 상황을 반영했다.[45] 1947년 뉴질랜드 의회는 1931년 제정된 웨스트민스터 헌장을 채택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영국 의회가 뉴질랜드 의회의 동의 없이 뉴질랜드와 관련된 법을 제정하는 것을 금지했다.[38]

20세기 초, 뉴질랜드는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46] 대공황을 겪으면서 여러 국제 사건에 관여하게 되었다.[47] 대공황으로 인해 뉴질랜드에서는 노동당 정부가 선출되었으며, 포괄적인 복지국가를 표방하게 되었고 보호무역 경제가 수립되었다.[48] 뉴질랜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번영하게 되었고[49] 마오리족은 전통적인 삶을 버리고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도시로 이사하기 시작했다.[50] 마오리 항의운동이 발전하였고, 항의운동은 마오리 문화와 와이탕이 조약의 더 넓은 인정을 위해 일하고,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했다.[51] 1975년 와이탕이 조사위원회가 와이탕이 조약의 논란 항목들을 조사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1985년 역사적인 불만의 원인들을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31] 뉴질랜드 정부는 와이탕이 조약의 주장과 정착문제에 대해 많은 이위들과 협상을 하고 있지만,[52] 마오리족의 해저 및 해안에 대한 주장은 2000년대 논란이 되기도 했다.[53][54]

정부 및 정치 편집

뉴질랜드의 현재 군주, 찰스 3세
뉴질랜드의 현재 총리 크리스 힙킨스

뉴질랜드는 간접 민주제를 채택한 입헌군주국이지만,[55] 뉴질랜드의 헌법은 불문 헌법이다.[56] 찰스 3세가 현재 뉴질랜드의 군주이자[57] 국가원수이다.[58] 국왕은 뉴질랜드의 총독으로 대표되며, 총독은 뉴질랜드의 총리의 자문을 통해 국왕이 임명한다.[59] 총독은 영국 왕실의 특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불공정한 사건을 검토하거나 뉴질랜드의 장관들이나 대사, 그리고 다른 중요한 공직자들을 임명할 수 있다.[60] 그리고 아주 특수한 경우에 총독은 국가원수의 재량권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의회를 해산한다거나 의회가 제출한 법안의 재가를 법으로 상정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61] 군주와 총독의 권력은 헌법으로 제한하며, 장관들의 자문 없이는 실행할 수 없다.[61]

뉴질랜드 의회입법부를 담당하며, 국왕과 뉴질랜드 대의원으로 구성된다.[62] 의회는 뉴질랜드 상원을 포함한 적이 있었는데, 1951년 상원은 폐지되었다.[62] 군주보다 위에 있는 의회주권과 다른 정부기관들은 1689년 권리장전을 통해 잉글랜드에서 만들어졌으며, 뉴질랜드에서는 법으로 비준되었다.[62] 대의원은 민주적으로 선출되며 정부는 정당이나 과반의석 간의 연립으로 구성된다. 과반의석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신임 공급 투표가 보장되는 조건에서 다른 정당의 지지가 있을 때 소수 정당 정부를 구성할 수 있다.[62] 총독은 총리로부터의 자문을 통해 장관들을 임명할 수 있고, 총리는 회의를 통한 여당이나 연립 정부의 의회 지도자이다.[63] 뉴질랜드의 내각은 장관들로 구성되고 총리가 이끌며 정부의 중요한 활동들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각은 정부의 정책 입안 조직 중 가장 상위에 있다.[64] 내각 의원들은 주요 결정을 총괄하여 만들고, 이에 따라 이러한 결정들의 결과에 대해 총괄적으로 책임을 진다.[65]

의회 총선거는 이전 선거로부터 3년이 지난 후에야 다시 시작할 수 있다.[66] 1853년부터 1993년까지 거의 대부분의 선거가 소선거구제를 기초로 진행되었다.[67] 1996년 선거부터 혼합비례대표제라 불리는 비례대표제가 채택되었다.[56] 혼합비례대표제에서는 각각의 사람이 2개의 투표권을 가진다. 1개의 투표권은 투표자의 유권을 대표하는 후보자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당에 대한 것이다. 2014년 선거 이후 뉴질랜드에는 71명의 선출직 국회의원이 있으며 이 중 7명은 마오리족 출신이다.[68] 120개의 의석 중 남아있는 49석은 의회의 대표들이 정당 투표를 반영(이른바, 비례대표)하기 위해 할당되어 있으며,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하려면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선출직 국회의원이나 전체 정당 투표의 5%를 얻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69]

 
웰링턴에 위치한 리처드 세던의 동상과 비하이브, 그리고 뉴질랜드 국회의사당.

1930년대부터 뉴질랜드의 선거는 뉴질랜드 국민당뉴질랜드 노동당이라는 2개의 정당이 우세를 점했다.[67] 2005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뉴질랜드는 국가원수, 총독, 총리, 대의원 대변인, 대법원장이 모두 여성으로 임명되었는데, 고위 공직자들이 모두 여성인 것은 뉴질랜드가 세계 최초였다.[70] 현재 총리는 저신다 아던으로 2017년 10월 26일부터 재직했다.[71] 저신다 아던은 뉴질랜드의 세 번째 여성 총리이다.[72]

뉴질랜드의 법원은 수석재판관이 이끌며,[73] 뉴질랜드 대법원, 고등법원, 상급법원과 그 예하법원으로 구성된다.[74] 재판관과 법무관들은 사법부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까다로운 규칙 하에 정치권과 상관없이 임명된다.[56] 이것은 이론적으로 사법부가 그들의 결정에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의회가 제정한 법률에 근거하여 법을 해석할 수 있게 한다.[75]

뉴질랜드는 세계에서 안정적이고 잘 통치되고 있는 국가들 중 하나로 구분된다.[76] 2017년을 기준으로, 뉴질랜드는 민주주의 지표에서 4위에 올랐고,[77] 정부 투명성과 부패 없음의 항목에서는 1위를 달성했다.[78] A 2017년 미국 국무부가 발간한 인권보고서에서 뉴질랜드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인권을 존중하지만 마오리 주민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79] 뉴질랜드는 정치 과정에서 시민의 참여가 높은 것으로도 유명한데, OECD 회원국이 평균적으로 투표율이 69%인데 뉴질랜드의 경우는 77%이다.[80]

외교 및 군사 편집

 
1941년 이집트에서 마오리 대대하카를 추고 있다.

초기 식민지 시기의 뉴질랜드는 영국 정부가 외부와의 무역을 결정하는 것을 허가하고, 뉴질랜드의 외교 정책도 담당하게 했다.[81] 1923년과 1926년의 제국 회의는 뉴질랜드에게 자체적으로 조약에 대해 협상하도록 했으며, 1928년 뉴질랜드는 일본과 처음으로 통상조약을 맺었다. 1939년 9월 3일, 뉴질랜드는 영국과 동맹을 맺고 독일에게 선전포고했는데, 당시 뉴질랜드 수상 마이클 조지프 새비지는 "그녀가 가는 곳에 우리도 간다. 그녀가 서 있는 곳에 우리도 서 있는다"라고 선언했다. 여기서 "그녀"는 영국을 의미한다.[82]

1951년 영국은 유럽과의 이익에 집중하고,[83] 뉴질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미국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ANZUS)을 체결했다.[84] 그러나 베트남 전쟁에 대한 시위를 시작으로[85] 1985년 레인보우 워리어 격침 이후 미국이 프랑스에 대한 경고를 거부하고[86] 이후 환경 및 농업 무역 문제와 뉴질랜드의 비핵화 정책에 대한 의견 충돌로 미국이 뉴질랜드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었다.[87][88] 미국이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의 의무사항들을 정지시켰지만, 이 조약은 외교 정책의 역사가 비슷한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양국 간에는 효력이 남아있었다.[89]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는 정치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두 나라는 긴밀경제관계 무역협정트랜스태즈먼 여행 합의를 체결하였고, 이를 통해 두 나라 국민들은 제한사항 없이 두 나라를 방문하고, 일하고, 살 수 있게 되었다.[90] 2013년 기준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 사는 뉴질랜드 국민은 약 65만 명이고, 이는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의 15% 정도이다.[91]

 
뉴질랜드 국립전쟁기념관에 있는 앤잭 데이 복무 군인.

뉴질랜드는 태평양 도서 국가들 사이에서 강한 존재감을 보여준다. 뉴질랜드의 원조 대부분이 태평양 도서 국가들로 가고, 많은 태평양 지역 사람들이 고용을 위해 뉴질랜드로 이주한다.[92] 1970년 사모아 할당량 체계와 2002년 태평양 접근 범주를 바탕으로 태평양 주민들의 뉴질랜드 영주권은 규제되고 있으며, 연간 최대 1,100명의 사모아 국민들과 최대 750명의 기타 태평양 주민들만이 뉴질랜드 영주권자가 될 수 있다. 일시적인 이주를 위한 계절 노동자 제도가 2007년 도입되었고, 2009년 약 8,000명의 태평양 주민들이 이 제도를 통해 고용되었다.[93] 지역 강국으로써,[94] 뉴질랜드는 태평양 제도 포럼, 태평양 공동체,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지역 포럼 등에 참여하고 있다.[90] 뉴질랜드는 유엔,[95] 영국 연방,[96] 경제협력개발기구의 회원국이고,[97] 5개국 연합방위협정에 참가하고 있다.[98]

뉴질랜드의 군대는 뉴질랜드 방위군이라 부르며, 뉴질랜드 육군, 뉴질랜드 해군, 뉴질랜드 공군으로 구성된다.[99]뉴질랜드의 국방 예산은 많지 않은데, 이는 뉴질랜드를 직접 공격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100] 그러나 뉴질랜드군은 세계 각지에 파견되었다. 뉴질랜드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모두 참전했으며, 갈리폴리 전역을 비롯하여 크레타 전투,[101]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102] 몬테카시노 전투,[103] 그리고 뉴기니 전역 등에서 활약했다. 이 중 갈리폴리 전역은 뉴질랜드의 민족 정체성을 찾는데 큰 역할을 했고,[104][105]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하는 ANZAC이라는 전통을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106]

뉴질랜드군은 이 외에도 제2차 보어 전쟁,[107] 6.25 전쟁,[108] 말레이시아 비상사태,[109]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여했다. 뉴질랜드군은 또한 키프로스, 소말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수에즈 운하, 앙골라, 캄보디아, 이란-이라크 국경, 동티모르, 솔로몬 제도 등에서 평화 유지 작전을 수행했다.[110]

지방 정부 및 해외 영토 편집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뉴질랜드 왕국의 영토다.

초기 유럽인 정착자들은 뉴질랜드를 로 나누어 어느 정도의 자치를 허용했다.[111] 그러나 재정적으로 압력이 심해지고 철도, 교육, 땅 매매 등을 비롯한 정책의 통합성이 요구됨에 따라 정부는 중앙집권화되었고 1876년 주는 모두 폐지되었다.[112] 뉴질랜드에 설립되었던 주들은 국가기념일이나[113] 스포츠에서 라이벌의 형태로 남아있다.[114]

1876년 이래 다양한 지방의회가 중앙 정부가 결정한 법률에 따라 지역을 다스렸다.[111][115] 1989년, 정부는 지방정부를 재조직해 행정 구역영토 당국이라는 2단계 제도를 만들었다.[116] 1975년 뉴질랜드에는 249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있었지만,[116] 현재는 67개의 영토 구역과 11개의 지방 정부로 통합되었다.[117] 지방 정부의 역할은 "1991년 자원운용법에 특히 중점을 둔 자연 환경"을 통제하는 것이고[116]영토 당국은 물, 지역 도로, 하수, 건축 합의 등과 같은 지역 문제를 다룬다..[118][119] 5개의 영토 의회는 단일 지방 기관으로 지방 정부로써의 역할도 겸임한다.[119] 영토 당국은 13개의 시의회, 53개의 구의회, 채텀 제도 의회로 구성되어 있다. 채텀 제도 의회는 공식적으로는 단일 지방 기관이 아니지만, 지방 정부의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120]

뉴질랜드 왕국은 영국 연방 왕국에 속한 나라로,[121] 뉴질랜드의 국왕이 군주로 있는 모든 지역을 의미한다. 뉴질랜드 왕국은 뉴질랜드를 비롯하여 토켈라우, 로스 속령, 쿡 제도, 니우에로 구성된다.[55] 쿡 제도와 니우에는 뉴질랜드와 자유 연합 관계 있는 자치령이다.[122][123] 뉴질랜드 의회는 이 국가들에 대한 법안을 통과시킬 수 없지만, 외교 문제와 국방에서는 이 국가들을 대신하여 동의 하에 법률을 제정할 수 있다. 토켈라우는 비자치 영토로 분류되며, 토켈레우 환초에서 1명씩 사람을 보내 꾸려진 원로들의 자문 위원회를 통해 행정 업무를 수행한다.[124] 로스 속령은 뉴질랜드가 남극에서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으로, 스콧 남극기지가 운영되고 있다.[125] 뉴질랜드 국민법은 뉴질랜드 왕국의 모든 영토를 평등하게 대하기 때문에 뉴질랜드, 쿡 제도, 니우에, 토켈라우, 그리고 로스 속령에서 태어난 대부분의 사람들은 뉴질랜드 국민으로 인정된다.[126][n 1]

자연 환경 편집

지리 편집

 
봉우리가 눈에 덮인 서던알프스산맥은 남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북섬의 노스랜드반도는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뉴질랜드는 수반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두 개의 주요 섬과 수많은 작은 섬들로 구성된다. 두 개의 주요 섬인 북섬남섬쿡 해협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쿡 해협의 가장 좁은 지역은 섬 간 거리가 22km이다.[128] 북섬과 남섬 외에도 뉴질랜드에는 인간이 거주하는 섬이 5곳 있는데, 포보 해협에 위치한 스튜어트섬, 채텀 제도, 하우라키만에 위치한 그레이트배리어섬,[129] 말버러 해협에 위치한 더빌섬[130] 그리고 중부 오클랜드와 가까운 와이헤케섬이 있다.[131]

뉴질랜드는 최대 너비가 400km인 북북동축을 따라 1,600km 이상 길고 좁게 뻗어있는 나라로,[132] 해안선의 길이는 총 15,000km에 달하고[133] 총 육지면적은 268,000 제곱킬로미터 (103,500 mi2)에 달한다.[134] 섬들이 외진 곳에 멀리 떨어져 있고, 해안선이 길기 때문에 뉴질랜드는 해양 자원의 보고이다. 뉴질랜드의 배타적 경제 수역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EEZ 중 하나로, 육지 면적의 15배에 해당하는 면적이다.[135]

남섬은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육지이다. 남섬은 서던알프스산맥으로 지역이 구분된다.[136] 서던알프스산맥에는 3,000m가 넘는 봉우리가 18개 있으며, 그 중 가장 높은 봉우리가 해발고도가 3,724m인 쿡산이다.[137] 피오르드랜드의 험준한 산들과 깊은 피오르는 남섬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빙하기의 빙하 작용을 보여준다.[138] 북섬은 산이 많지 않지만, 화산 활동의 영향을 받았다.[139] 매우 활동적인 타우포 화산지대는 북섬 화산 고원을 형성하고 있으며, 북섬에서 가장 높은 산인 해발고도 2,797m의 루아페후산이 고원 사이에 있다. 북섬 화산 고원에는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호수인 타우포호[140] 초화산들의 칼데라에 자리잡고 있다.[141]

뉴질랜드는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고, 이는 뉴질랜드가 태평양판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의 경계 지역 중 활발한 곳에 있기 때문이다.[142] 뉴질랜드는 곤드와나 초대륙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후 오스트레일리아의 반 정도의 크기인 질랜디아 대륙에 위치하고 있다.[143][144] 2500만년 전에 질란디아의 지각의 표층의 뒤틀리고 일그러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운동의 증거가 서던알프스산맥으로, 이 산맥은 산맥의 단층과 함께 대륙 간 충돌로 형성되었다. 뉴질랜드의 다른 지역에서는 판의 경계에서 하나의 판이 다른 판으로 섭입되고 있다. 이 현상의 결과로 북섬의 남쪽에는 퓨이스기어 해구가, 북쪽에는 히쿠랑이 해구가 형성되었으며 더 북쪽에서는[142] 통가 해구케르마덱 해구가 형성되었다.[145]

뉴질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오스트랄라시아 지역에 속해 있다.[146] 뉴질랜드는 또한 폴리네시아 지역의 남서쪽 끝에 위치한다.[147]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뉴질랜드, 태평양의 여러 섬을 한데 묶어 오세아니아라고 부르는데, 오세아니아는 7개의 대륙에 속해 있지 않다.[148]

기후 편집

뉴질랜드의 기후는 우세하게 온건한 해양성 기후로, 연간 기온은 남쪽의 10 °C에서 북쪽의 16°C로 분포해 있다.[149] 뉴질랜드 역사상 최고 기온은 캔터베리 지방랜지오라에서 42.4°C를 기록하였고, 뉴질랜드 역사상 최저 기온은 오타고 지방의 랜펄리에서 -25.6°C를 기록했다.[150] 기후 환경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남섬의 웨스트코스트 지방은 매우 습하고 센트럴 오타고 지역과 켄터베리주 내륙의 메켄지 분지스텝 기후를 보이며, 노스랜드반도의 경우 아열대이다.[151][152]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7개의 도시 중 크라이스트처치가 가장 건조하여 연간 강수량이 618mm 밖에 되지 않지만, 가장 습한 도시인 웰링턴의 경우 크라이스트처치보다 강수량이 두 배 더 많다.[153] 오클랜드, 웰링턴, 그리고 크라이스트처치 모두 연간 일조량이 2,000시간이 넘는다. 뉴질랜드의 남부와 남서부 지역은 조금 더 시원하고 구름이 많으며 일조량도 1,000시간에서 1,600시간이다. 남섬의 북쪽 지역이 뉴질랜드에서 일조량이 가장 많은데 연간 2,400시간에서 2,500시간이다.[154] 뉴질랜드에 눈이 오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6월 초에서 10월 초까지로 이 시기 한파가 오기도 한다.[155] 남섬의 동부와 남부 지역, 그리고 뉴질랜드의 산간 지역 전역에서 강설은 일반적이다.[149]

뉴질랜드 주요 도시 연평균 강수량 및 온도[156]
위치 1월 최고 기온
°C (°F)
1월 최저 기온
°C (°F)
7월 최고 기온
°C (°F)
7월 최저 기온
°C (°F)
연간 강수량
mm (in)
오클랜드 23 (73) 15 (59) 15 (59) 8 (46) 1,212 (47.7)
웰링턴 20 (68) 14 (57) 11 (52) 6 (43) 1,207 (47.5)
호키티카 20 (68) 12 (54) 12 (54) 3 (37) 2,901 (114.2)
크라이스트처치 23 (73) 12 (54) 11 (52) 2 (36) 618 (24.3)
알렉산드라 25 (77) 11 (52) 8 (46) −2 (28) 359 (14.1)

생물다양성 편집

 
키위는 뉴질랜드의 국가상징이다.

뉴질랜드가 8,000만년 동안 지리적으로 고립[157]된 것과 뉴질랜드섬의 생물지리학이 뉴질랜드의 동물, 식물, 균계에 영향을 미쳤다. 물리적 고립은 생물학적 고립을 초래해 독특한 식물과 동물, 그리고 광범위한 종의 개체군의 예를 가진 역동적인 진화 생태계를 탄생시켰다.[158][159] 뉴질랜드의 동물군과 식물군은 원래 곤드와나에서 뉴질랜드가 떨어져 나간 것이라고 주장되었지만 최근 증거에 따르면 뉴질랜드에서 종이 분산된 것으로 추정한다.[160] 뉴질랜드의 토종 관다발식물 82% 이상은 멸종위기종이며 65개의 에 걸쳐 1,944종이 멸종위기종이다.[161][162] 지의류 형성 종을 포함하여 뉴질랜드에서 기록된 균류의 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고유한 균류의 비율도 알려져 있지 않지만 뉴질랜드에는 약 2,300종의 지의류 형성 균류가 존재한다고 추정되며,[161] 이 중 40%가 멸종위기종이다.[163] 숲의 주요 유형은 활엽수와 무성한 나한송과, 또는 더 시원한 기후의 노토파구스속이 무성한 숲이다.[164] 남은 녹지는 풀숲이며, 이 중 대부분은 덤불숲으로 구성되어 있다.[165]

인간이 도착하기 이전 화산지대, 고산지대, 습지, 황무지를 제외한 80%의 뉴질랜드 땅이 삼림이었다.[166] 대규모 탈산림화폴리네시아인이 정착한 이후로 진행되었고 전체 숲의 절반이 화재로 소실되었다.[167] 남은 숲은 유럽인이 순찰, 벌채, 그리고 방목을 목적으로 사라졌고, 1997년 기준으로 뉴질랜드 국토에서 숲은 23%밖에 남지 않았다.[168]

경제 편집

산업 편집

 
롬니, 양 품종

이 나라의 경제는 대부분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목양(牧羊)은 이 나라 제1의 산업으로서 양은 북도에 60%, 남도에 40%의 비율로 분포한다. 양모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농산물을 중심으로 하는 1차산품이 수출의 55%를 차지한다. 그외 육류·유제품(乳製品)은 양모에 버금가는 수출품이다.

낙농지역은 북도에 집중하며, 양모에 비하여 훨씬 집약적으로 경영된다. 남도의 동쪽 및 남쪽 연안에는 혼합농업 지역이 발달하여, 목초 등과 윤작을 하면서 곡류의 생산이 활발하다. 농산물을 중심으로 하는 1차산품을 수출하고 석유와 공업제품을 수입하는 무역구조이다.

주요 수출품은 낙농품·육류·양모·목재·과실·약재 등이고, 수입품은 공산품·기계류·자동차·철강·원유·비료·금속제품 등이다. 1970년대 초까지는 영국이 주요 무역 상대국이었으나 이후 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게 줄어들었고, 현재는 미국·중국·오스트레일리아·일본 등 아시아 태평양 국가와의 교역량이 무역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69]

인구와 사람 편집

 
백파이프 밴드의 연주, 네이피어
 
쿡 제도 무용수, 오클랜드 파시피카 축제
 
전통 마오리족 복장의 무용수

남섬의 면적이 더 크지만, 인구의 75% 이상(300만 명 이상)은 북섬에 살고 있다. 수도 웰링턴과 주요 도시 오클랜드, 해밀턴은 북섬에 위치한다. 남섬의 주요 도시는 크라이스트처치더니딘이다.

주민 편집

주민은 유럽계 백인 (74%), 마오리족, 폴리네시아인이 있고, 높은 생활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영국계 백인과 마오리족 원주민이 거주, 인도인과 황인도 많이 거주한다. 백인들은 영국계는 물론, 아일랜드계와 네덜란드계 등이 섞여있고, 마오리족은 지역마다 여러 종족들로 나뉘어 있다. 또한 마오리족은 이미 도시로 옮겨가 현대 생활에 적응하였다. 중국인들과 인도인들도 살며, 특히 사모아, 통가, 피지, 쿡 제도 등의 남태평양 도서민들도 늘고 있다. 최근에는 뉴질랜드까지 세계 각지에서 온 이민들로 섞여있는 편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민법[170]이 어려워지고 있다.

복지 편집

뉴질랜드에서는 사회민주주의자들이 1930년복지 국가를 만들었다.

이 나라에서는 사회적·경제적인 상하계급이 나뉘어 있지 않고, 주민 사이에는 평등 정신이 강하다. 세계 최초로 양로연금 제도를 실시하고 완전고용사회보장제도를 발전시키고 있다. 노르웨이, 스웨덴에 이어 세계 3대 복지국가 중의 하나이다. 병이 나면 무료로 요양할 수 있고, 일을 할 수 없는 노인에게는 노인연금이 지급되며, 실업자에게는 실업수당이 지급된다. 1890년부터 최저임금법을 시행하여 임금의 최저기준을 정함으로써 노동자의 인간적인 삶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교육과정이 무상교육이다. 의무교육 연령은 6세부터 16세까지이다. 대학의 무상교육은 포기되었다.

가족제도는 철저한 핵가족제이며, 20% 이상이 독신이다. 자녀 수는 1명인 경우가 많고 이혼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주요 여가 활동은 독서, 친구방문, 음악, 정원관리, 개기르기 등이다. 경마를 즐기며, 로또는 성인의 2/3가 즐긴다.[171]

문화 편집

이 나라에는 마오리족만의 토착 문화와 영국계 백인의 문화가 존재하고 있다. 마오리족은 높은 실업율, 상대적 빈곤, 범죄, 청소년 불량서클, 복지시설 부족 등의 사회적 불이익에 대한 불만으로 마오리족 고유의 문화가 부흥하는 민족주의 성향이 있다.[172] 요즘와서는 오클랜드, 해밀턴,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같은 대도시들에 여러 이민들이 섞여 사는 이유로 뉴질랜드의 전통 문화는 약간 사라져 가는 편이다.

 
라타나 교회

뉴질랜드는 오랜 전통과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특히 무대예술이 뛰어나, 음악·연극·무용 등의 전문인들이 활기차게 활동하고 있다. 400개의 박물관과 화랑을 통해 예술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뉴질랜드 심퍼니 오케스트라(NZ Symphony Orchestra)는 연중 100여회의 콘서트를 가지고 있다. 발레단은 26명의 종신단원으로 구성되어 국내 공연을 펼친다. 가장 큰 예술 행사는 2년마다 웰링턴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행사가 있다. 스포츠는 럭비가 가장 인기 있다. 그 밖에 네트볼, 스쿼시, 소프트볼, 요트 등을 즐긴다.[171]

스포츠 편집

 
마오리 하카를 공연하는 올블랙스 (2006년, 상대는 프랑스 럭비팀)

뉴질랜드는 영연방의 일원으로 럭비, 크리켓 그리고 넷볼 같은 영국식 스포츠가 성하다. 특히 럭비는 뉴질랜드의 국기이고, 국가대표 럭비 팀은 “All Blacks”로 알려졌다. 서핑, 요트 그리고 조정 등도 인기있는 레저이다.

뉴질랜드는 하계 올림픽에서 육상 금메달 총 10개를 딴 바 있고, FIFA 월드컵 본선에도 2회 진출한 바 있다. (1982년에는 3전 전패, 2010년에는 3전 전무로 모두 조별 리그 탈락) 1980년대부터는 육상보다 카누 같은 기타 종목들에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축구 대표팀은 All Whites, 농구 대표팀은 Tall Blacks로 알려져 있다. 올 블랙스럭비 월드컵에서 3번, 더 럭비 챔피언십에서 11번 우승하였다.

관광 편집

 
마운트 쿡을 바라보고 있는 에드먼드 힐러리의 동상

오염되지 않은 대자연과 지상 최후의 낙원으로서, 뉴질랜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레포츠 급류타기, 제트 보트, 스키, 트레킹, 번지점프 등 깨끗한 대자연 속에서 인간이 즐길 수 있는 즐거움이 가득한 곳이며, 자연의 부드러운 숨결을 닮은 사람들, 아름다운 황금빛 해변, 광활하게 펼쳐진 푸른 초원 등 모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173]

와이탕이 편집

와이탕이 조약으로 유명한 와이탕이는 뉴질랜드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유명한 곳이다. 1840년 영국 왕실과 마오리 족의 대표가 이 곳에서 조약을 체결하였다. 그 결과 뉴질랜드는 영국 왕실의 지배를 받는 식민지가 되었다. 조약이 체결된 트리티하우스는 당시 영국 거주민들이 살았던 곳으로 지금도 이 지역의 명소 중 하나이다. 또한 와이탕이에는 여러 부족들을 대표하는 조각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37m의 거대한 마오리 공화당이 있다. 이곳에서는 와이탕이 기념일인 매년 2월 6일 마오리 청년들이 마오리 전통 카누를 띄워 축제를 즐긴다.[174]

전쟁기념 박물관 편집

오클랜드 시에 있는 이 박물관에서는 마오리족의 문화유산 및 남태평양 일원에 흩어진 원주민의 문화를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뉴질랜드 동식물 및 광물자원을 비롯하여 정작 초기 백인의 이주생활 및 해양문화 등이 생생하게 전시되어 있고, 전쟁에 참전했다 희생된 사람들의 자료 등도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의 구성은 1층 마오리 홀, 2층 뉴질랜드 자연사 박물관, 3층 전쟁기념 박물관으로 이루어져 있다.[175]

달 분화구 지역 편집

 
달분화구 지역의 지열 분출

북섬 타우포에 있는 달분화구 지열지대(Craters of the Moon)는 지면 여러 곳에서 뜨거운 증기가 솟아오르면서 마치 달의 분화구를 연상시킨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주변 일대가 온통 수증기로 가득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진흙 자체가 끓는 곳도 있으며 특히, 비가 온 뒤에는 더욱 많은 수증기가 솟아오른다.[176]

케리케리 편집

파이히아에서 북쪽으로 약 33km 떨어진 곳에 그림같은 케리케리가 있다. 뉴질랜드 최북단에 위치한 케리케리는 감귤, 키위 농장과 공예품의 중심지로 특히 도자기나 직물 등이 유명하다.[177]

와카레와레와 온천지 편집

로토루아 와카레와레와 온천지(The Whakarewarewa Thermal Reserve)는 로토루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 마오리족의 마을 내에 위치한 최대의 온천지이다. 특히, 간헐적으로 유명한 곳은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Prince of Wales Feathers Geyser)과 포후투 간헐천으로 포후투 간헐천(Pohutu Geyser)의 경우는 약 20분 간격으로 20∼30m 높이까지 뜨거운 온천수가 마치 분수처럼 뿜어 오른다.[178]

아그로돔 편집

아그로돔(Agrodome)은 뉴질랜드의 양 사육과 관리 등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장소이다. 매일 3회에 걸쳐 19종의 양을 볼 수 있으며 양털 깎기쇼, 양몰이 개의 시범을 보여주기도 한다. 쇼를 진행하는 사람의 유머와 재치로 즐겁게 관람할 수 있으며 설명은 세계의 언어로 통역되는 이어폰을 주기 때문에 듣는 데 조금도 불편함이 없다.[179]

로토루아 호수 편집

 
로토루아 호수

로토루아 호수(Rotorua Lake)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호수로 로토루아 내에 있는 9개의 호수 중에서 가장 크며 많은 송어를 비롯한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고 있어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이 낚시를 즐기는 곳이지만, 근래에는 잡힌 송어에서 기생충이 발생하고 있다고 해서 주춤해지기도 했다. 유람선수상스키를 즐길수 있다.[180]

레드우드 그로우브 편집

레드우드 그로우브(en)는 로토루아 근교에 자리한 임업 시험장으로 세계 각국의 나무들이 식수되어 있다.

세고비아 나무를 비롯하여 잣나무, 이끼다 소나무 등이 울창하게 자리하고 있어 한낮에도 어두울 정도이며 산책로를 따라 걸으면 저절로 삼림욕이 되는 쾌적한 곳이다.[181]

와이토모 동굴 편집

 
와이토모 동굴 입구

와이토모 동굴(Waitomo Cave)은 개똥벌레의 일종인 그로우웜(Glow Worm)이 서식하고 있는 동굴로 동굴 아래 냇물이 흐르고 있어 배를 타고 그로우 윔을 관광한다. 어두컴컴한 곳에 가면 개똥벌레가 마치 밤하늘의 은하계를 보는 것과 같이 촘촘히 빛나 신기함을 더해 준다. 와이토모란 마오리어로 물과 동굴을 뜻하며 우기에는 동굴에 흐르는 냇물이 증가하여 배를 타고 동굴 안을 관광할 수 없다.[182]

교통 편집

주요도시는 철도로 연결되며 고속도로도 잘 닦여 있다. 남섬과 북섬 사이를 운행하는 여객선이 있다. 오클랜드·웰링턴·크라이스트처치에 공항이 있고 오클랜드·웰링턴 항구가 있다. 주요도시로는 오클랜드·크라이스트처치·웰링턴 등이 있다.[183] 오클랜드 국제공항싱가포르아시아북미(미국, 캐나다), 남미(아르헨티나, 칠레), 대양주, 중동(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 등 타 대륙으로 통하는 주요 관문이다.

출처 편집

내용주
  1. 2006년 1월이나 그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부모 중 한 사람이 뉴질랜드 국민이거나 영주권자인 경우에 뉴질랜드 국민이 될 수 있다. 2005년 12월 31일이나 그 이전에 태어난 이들은 생일에 뉴질랜드 국민이 된다.[127]
인용주
  1. 타스만, 아벌. “JOURNAL or DESCRIPTION By me Abel Jansz Tasman, Of a Voyage from Batavia for making Discoveries of the Unknown South Land in the year 1642.”. Project Gutenberg Australia. 
  2. 윌슨, 존 (2009년 3월). 〈European discovery of New Zealand – Tasman's achievement〉.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3. 존 배스게이트. “The Pamphlet Collection of Sir Robert Stout:Volume 44. Chapter 1, Discovery and Settlement”. NZETC. He named the country Staaten Land, in honour of the States-General of Holland, in the belief that it was part of the great southern continent. 
  4. 윌슨, 존 (2007년 9월). 〈Tasman's achievement〉.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5. 맥케이, 덩컨 (1986년). 〈The Search For The Southern Land〉. Fraser, B. 《The New Zealand Book Of Events》. Auckland: Reed Methuen. 52–54쪽. 
  6. 맥키넌, 맬컴 (2009년 11월). 〈Place names – Naming the country and the main island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7. King 2003, 41쪽.
  8. Hay, Maclagan & Gordon 2008, 72쪽.
  9. Mein Smith 2005, 6쪽.
  10. 브루너, 토마스 (1851년). 《The Great Journey: an expedition to explore the interior of the Middle Island, New Zealand, 1846-8》. 왕립지리학회. 
  11. 윌리엄슨, 모리스 (2013년 10월 10일). “Names of NZ's two main islands formalised” (보도 자료). 뉴질랜드 정부. 
  12. 윔허스트, J. M.; 헌트, T. L.; 리포, C. P.; 앤더슨, A. J. (2010년). “High-precision radiocarbon dating shows recent and rapid initial human colonization of East Polynesi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 (5): 1815–20. Bibcode:2011PNAS..108.1815W. doi:10.1073/pnas.1015876108. PMC 3033267. PMID 21187404. 
  13. 맥글런, M.; 윔허스트, J. M. (1999년). “Dating initial Maori environmental impact in New Zealand”. 《Quaternary International》 59 (1): 5–16. Bibcode:1999QuInt..59....5M. doi:10.1016/S1040-6182(98)00067-6. 
  14. 머레이맥클런토시, 로젤라인 P.; 스크림쇼, 브라이언 J.; 해트필드, 피터 J.; 페니, 데이비드 (1998년). “Testing migration patterns and estimating founding population size in Polynesia by using human mtDNA sequenc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5 (15): 9047–52. Bibcode:1998PNAS...95.9047M. doi:10.1073/pnas.95.15.9047. PMC 21200. PMID 9671802. 
  15. 윔허스트, J. M.; 앤더슨, A. J.; 히그햄, T. F. G.; 워시, T. H. (2008년). “Dating the late prehistoric dispersal of Polynesians to New Zealand using the commensal Pacific ra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5 (22): 7676–80. Bibcode:2008PNAS..105.7676W. doi:10.1073/pnas.0801507105. PMC 2409139. PMID 18523023. 
  16. 무들리, Y.; 린츠, B.; 야마오카, Y.; 윈저, H.M.; 브리렉, S.; 우, J.-Y.; 매디, A.; 베른회프트, S.; 틸버지, J.-M.; 외. (2009년). “The Peopling of the Pacific from a Bacterial Perspective”. 《Science》 323 (5913): 527–530. Bibcode:2009Sci...323..527M. doi:10.1126/science.1166083. PMC 2827536. PMID 19164753. 
  17. 발라라, 안젤라 (1998년). 《Iwi: The Dynamics of Māori Tribal Organisation from c. 1769 to c. 1945》 1판. Wellington: Victoria University Press. ISBN 9780864733283. 
  18. 클라크, 로스 (1994년). 〈Moriori and Māori: The Linguistic Evidence〉. Sutton, Douglas. 《The Origins of the First New Zealanders》. Auckland: 오클랜드 대학 출판. 123–135쪽. 
  19. 데이비스, 데니스 (2007년 9월). 〈The impact of new arrival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 데이비스, 데니스; 솔로몬, 마우이 (March 2009). 〈Moriori – The impact of new arrival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1년 3월 23일에 확인함. 
  21. Mein Smith 2005, 23쪽.
  22. 샐먼드, 앤 (1991). 《Two Worlds: First Meetings Between Maori and Europeans 1642–1772》. Auckland: 펭귄 북스. 82쪽. ISBN 0-670-83298-7. 
  23. King 2003, 122쪽.
  24. 피츠패트릭, 존 (2004). “Food, warfare and the impact of Atlantic capitalism in Aotearo/New Zealand” (PDF). 《Australasian Political Studies Association Conference: APSA 2004 Conference Papers》. 2011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5. 브레일스포드, 배리 (1972년). 《Arrows of Plague》. 웰링턴: Hick Smith and Sons. 35쪽. ISBN 0-456-01060-2. 
  26. Wagstrom, Thor (2005년). 〈Broken Tongues and Foreign Hearts〉. 브록, 페기. 《Indigenous Peoples and Religious Change》. Boston: Brill Academic Publishers. 71과 73쪽. ISBN 978-90-04-13899-5. 
  27. 랜지, 레이번 (1999년). 《May the people live: a history of Māori health development 1900–1920》. 오클랜드 대학 출판. 18쪽. ISBN 978-1-86940-214-3. 
  28. “A Nation sub-divided”. 《Australian Heritage》. Heritage Australia Publishing. 2011년. 2015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9. Rutherford, James (2009년 4월) [1966년]. 맥린토크, 알렉산더, 편집. 《Busby, James》.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30. 맥린토크, 알렉산더, 편집. (2009년 4월) [1966년]. 《Sir George Gipps》.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31. Wilson, John (2009년 3월). 〈Government and nation – The origins of nationhood〉.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32. 맥린토크, 알렉산더, 편집. (2009년 4월) [1966년]. 《Settlement from 1840 to 1852》.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33. 포스터, 버나드 (2009년 5월) [1966년]. 맥린토크, 알렉산더, 편집. 《Akaroa, French Settlement At》.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34. 심슨, K (2010년 9월). 〈Hobson, William – Biography〉. 맥린토크, 알렉산더. 《Dictionary of New Zealand Biography》.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35. 필립스, 조크 (2010년 4월). 〈British immigration and the New Zealand Company〉.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36. “Crown colony era – the Governor-General”.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09년 3월. 
  37. “New Zealand's 19th-century wars – overview”.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09년 4월. 
  38. 윌슨, 존 (2009년 3월). 〈Government and nation – The constitution〉.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See pages 2 and 3.
  39. 템플, 필립 (1980년). 《Wellington Yesterday》. 존 맥클도. ISBN 0-86868-012-5. 
  40. “Parliament moves to Wellington”.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7년 1월. 
  41. 윌슨, 존 (2009년 3월). 〈History – Liberal to Labour〉.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42. 헤이머, 데이비드. “뉴질랜드”. 《뉴질랜드 인명사전》. 문화유산부. 
  43. 박스올, 피터; 헤이니스, 피터 (1997년). “Strategy and Trade Union Effectiveness in a Neo-liberal Environment”.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35 (4): 567–591. doi:10.1111/1467-8543.00069. 2011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44. “Proclamation”. 《런던 가제트》. 28058호. 1907년 9월 10일. 6149쪽. 
  45. “Dominion status – Becoming a dominion”.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4년 9월. 
  46. “War and Societ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47. 이스턴, 브라이언 (2010년 4월). 〈Economic history – Interwar years and the great depression〉.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48. 더비, 마크 (2010년 5월). 〈Strikes and labour disputes – Wars, depression and first Labour government〉.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49. Easton, Brian (November 2010). 〈Economic history – Great boom, 1935–1966〉.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50. 킨, 바실 (November 2010). 〈Te Māori i te ohanga – Māori in the economy – Urbanisation〉.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1년 1월 7일에 확인함. 
  51. 로열, 테 아후카라무 (2009년). 〈Māori – Urbanisation and renaissance〉.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52. 《Healing the past, building a future: A Guide to Treaty of Waitangi Claims and Negotiations with the Crown》 (PDF). Office of Treaty Settlements. 2015년 3월. ISBN 978-0-478-32436-5. 2019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2일에 확인함. 
  53. Report on the Crown's Foreshore and Seabed Policy (보고서) (영어). 뉴질랜드 사법부. 
  54. 바커, 피오나 (2012년 6월). 〈Debate about the foreshore and seabed〉.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55. “New Zealand's Constitution”. The Governor-General of New Zealand.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 
  56. “Factsheet – New Zealand – Political Forces”. 《The Economist》 (The Economist Group). 2005년 2월 15일. 2006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4일에 확인함. 
  57. “Royal Titles Act 1974”. New Zealand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February 1974. Section 1. 2011년 1월 8일에 확인함. 
  58. 《Constitution Act 1986》. New Zealand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1987년 1월 1일. Section 2.1. 2018년 7월 15일에 확인함. The Sovereign in right of New Zealand is the head of State of New Zealand, and shall be known by the royal style and titles proclaimed from time to time. 
  59. “The Role of the Governor-General”. The Governor-General of New Zealand. 2017년 7월 6일에 확인함. 
  60. Harris, Bruce (2009). “Replacement of the Royal Prerogative in New Zealand”. 《New Zealand Universities Law Review》 23: 285–314. 2011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61. “The Reserve Powers”. The Governor-General of New Zealand. 2011년 1월 8일에 확인함. 
  62. “Parliament Brief: What is Parliament?”. New Zealand Parliament. 201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63. McLean, Gavin (February 2015). 〈Premiers and prime minister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영어). 201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64. Wilson, John (November 2010). 〈Government and nation – System of government〉.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65. “Principles of Cabinet decision making”. 《Cabinet Manual》.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2008.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66. “The electoral cycle”. 《Cabinet Manual》.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2008. 2017년 4월 3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7. “First past the post – the road to MMP”.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September 2009.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68. “Reviewing electorate numbers and boundaries”. Electoral Commission. 2005년 5월 8일. 2011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7일에 확인함. 
  69. “Sainte-Laguë allocation formula”. Electoral Commission. 2013년 2월 4일. 2013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70. Paxton, Pamela; Hughes, Melanie M. (2015). 《Women, Politics, and Power: A Global Perspective》 (영어). CQ Press. 107쪽. ISBN 978-1-48-337701-8. 2017년 7월 25일에 확인함. 
  71. “Jacinda Ardern sworn in as new Prime Minister”. 《New Zealand Herald》 (영어). 2017년 10월 26일. 2017년 10월 26일에 확인함. 
  72. “Female political leaders have been smashing glass ceilings for ages”. 《Stuff.co.nz》 (영어) (Fairfax NZ). 2017년 10월 27일. 2018년 7월 19일에 확인함. 
  73. “Role of the Chief Justice”. Courts of New Zealand. 2018년 6월 9일에 확인함. 
  74. “Structure of the court system”. Courts of New Zealand. 2018년 6월 9일에 확인함. 
  75. “The Judiciary”. Ministry of Justice. 2010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76. “The Fragile States Index 2016”. The Fund for Peace. 2017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77. “Democracy Index 2017” (PDF).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8. 5쪽. 2018년 12월 9일에 확인함. 
  78.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7”.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8년 2월 21일. 2018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9일에 확인함. 
  79. “New Zealand”.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7》.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8년 12월 9일에 확인함. 
  80. “New Zealand”. OECD Better Life Index. 2016. 201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81. McLintock, Alexander, 편집. (April 2009) [originally published in 1966]. 《External Relations》.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2011년 1월 7일에 확인함. 
  82. “Michael Joseph Savage”.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July 2010. 2011년 1월 29일에 확인함. 
  83. Patman, Robert (2005). “Globalisation, Sovereignty, and the Transformation of New Zealand Foreign Policy” (PDF). 《Working Paper 21/05》. Centre for Strategic Studies,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8쪽. 2007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12일에 확인함. 
  84. “Department Of External Affairs: Security Treaty between Australia, New Zealand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September 1951. 2011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85. “The Vietnam War”. 《New Zealand 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June 2008.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86. “Sinking the Rainbow Warrior – nuclear-free New Zealand”. 《New Zealand 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August 2008.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87. “Nuclear-free legislation – nuclear-free New Zealand”. 《New Zealand 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August 2008.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88. Lange, David (1990). 《Nuclear Free: The New Zealand Way》. New Zealand: Penguin Books. ISBN 0-14-014519-2. 
  89. “Australia in brief”. Australian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0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90. “New Zealand country brief”. Australian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3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91. Collett, John (2013년 9월 4일). “Kiwis face hurdles in pursuit of lost funds”. 2013년 10월 4일에 확인함. 
  92. Bertram, Geoff (April 2010). 〈South Pacific economic relations – Aid, remittances and tourism〉.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93. Howes, Stephen (November 2010). “Making migration work: Lessons from New Zealand”. Development Policy Centre. 2011년 3월 23일에 확인함. 
  94. Ayele, Yoseph (2017년 9월 28일). “The Growing Momentum for Global Impact in New Zealand”. 《Edmund Hillary Fellowship》. 2019년 7월 9일에 확인함. 
  95. “Member States of the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96. “New Zealand”. The Commonwealth.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97. “Members and partner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98. “The future of the Five Power Defence Arrangements”. The Strategist. 2012년 11월 8일.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99. “About Us: Role and Responsibilities”. New Zealand Defence Force.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100. Ayson, Robert (2007). 〈New Zealand Defence and Security Policy,1990–2005〉. Alley, Roderic. 《New Zealand In World Affairs, Volume IV: 1990–2005》. Wellington: Victoria University Press. 132쪽. ISBN 978-0-86473-548-5. 
  101. “The Battle for Crete”. 《New Zealand 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May 2010.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102. “El Alamein – The North African Campaign”. 《New Zealand 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May 2009.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103. Holmes, Richard (September 2010). “World War Two: The Battle of Monte Cassino”.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104. “Gallipoli stirred new sense of national identity says Clark”. 《The New Zealand Herald》. April 2005. 2011년 1월 9일에 확인함. 
  105. Prideaux, Bruce (2007). Ryan, Chris, 편집. 《Battlefield tourism: history, place and interpretation》. Elsevier Science. 18쪽. ISBN 978-0-08-045362-0. 
  106. Burke, Arthur. “The Spirit of ANZAC”. ANZAC Day Commemoration Committee. 2010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107. “South African War 1899–1902”.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February 2009.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108. “New Zealand in the Korean War”. 《New Zealand 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109. “NZ and the Malayan Emergenc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August 2010.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110. “New Zealand Defence Force Overseas Operations”. New Zealand Defence Force. January 2008. 2008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7일에 확인함. 
  111. “New Zealand's Nine Provinces (1853–76)” (PDF). 《Friends of the Hocken Collections》. University of Otago. March 2000. 2011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112. McLintock, Alexander, 편집. (April 2009) [originally published in 1966]. 《Provincial Divergencies》.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2011년 1월 7일에 확인함. 
  113. Swarbrick, Nancy (September 2016). 〈Public holiday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영어).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114. “Overview – regional rugb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September 2010.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115. Dollery, Brian; Keogh, Ciaran; Crase, Lin (2007). “Alternatives to Amalgamation in Australian Local Government: Lessons from the New Zealand Experience” (PDF). 《Sustaining Regions》 6 (1): 50–69. 2007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16. Sancton, Andrew (2000). 《Merger mania: the assault on local government》.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84쪽. ISBN 0-7735-2163-1. 
  117. “Subnational population estimates at 30 June 2010 (boundaries at 1 November 2010)”. Statistics New Zealand. 2010년 10월 26일. 2011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2일에 확인함. 
  118. Smelt & Jui Lin 2009, 33쪽.
  119. “Glossary”. 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120. “Chatham Islands Council Act 1995 No 41” (영어). New Zealand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1995년 7월 29일. 2017년 8월 8일에 확인함. 
  121. Gimpel, Diane (2011). 《Monarchies》. ABDO Publishing Company. 22쪽. ISBN 978-1-617-14792-0. 2016년 11월 18일에 확인함. 
  122. “System of Government”. Government of Niue. 2010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 
  123. “Government – Structure, Personnel”. Government of the Cook Islands.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 
  124. “Tokelau Government”. Government of Tokelau. 2016년 11월 16일에 확인함. 
  125. “Scott Base”. Antarctica New Zealand. 2010년 1월 13일에 확인함. 
  126. “Citizenship Act 1977 No 61” (영어). Zealand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1977년 12월 1일. 2017년 5월 26일에 확인함. 
  127. “Check if you're a New Zealand citizen”. 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2015년 1월 20일에 확인함. 
  128. McLintock, Alexander, 편집. (April 2009) [originally published in 1966]. 《The Sea Floor》.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129. “Hauraki Gulf islands”. Auckland City Council. 2010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130. Hindmarsh (2006). “Discovering D'Urville”. Heritage New Zealand. 2011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131. “Distance tables”. Auckland Coastguard. 2011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일에 확인함. 
  132. McKenzie, D. W. (1987). 《Heinemann New Zealand atlas》. Heinemann Publishers. ISBN 0-7900-0187-X. 
  133. “CIA – The World Factbook”. Cia.gov. 2019년 9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4일에 확인함. 
  134. “Geography”. Statistics New Zealand. 1999. 2010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1일에 확인함. 
  135. 《Offshore Options: Managing Environmental Effects in New Zealand's Exclusive Economic Zone》 (PDF). Wellington: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2005. ISBN 0-478-25916-6. 2019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3일에 확인함. 
  136. Coates, Glen (2002). 《The rise and fall of the Southern Alps》. Canterbury University Press. 15쪽. ISBN 0-908812-93-0. 
  137. Garden 2005, 52쪽.
  138. Grant, David (March 2009). 〈Southland places – Fiordland's coast〉.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1년 1월 14일에 확인함. 
  139. “Central North Island volcanoes”.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0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4일에 확인함. 
  140. Walrond, Carl (March 2009). 〈Natural environment – Geography and geology〉.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0년 1월 14일에 확인함. 
  141. “Taupo”. GNS Science. 2011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2일에 확인함. 
  142. Lewis, Keith; Nodder, Scott; Carter, Lionel (March 2009). 〈Sea floor geology – Active plate boundarie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143. Wallis, G. P.; Trewick, S. A. (2009). “New Zealand phylogeography: evolution on a small continent”. 《Molecular Ecology》 18 (17): 3548–3580. doi:10.1111/j.1365-294X.2009.04294.x. PMID 19674312. 
  144. Mortimer, Nick; Campbell, Hamish (2014). 《Zealandia : our continent revealed》. Auckland, New Zealand. ISBN 978-0-14-357156-8. OCLC 887230882. 
  145. Wright, Dawn; Bloomer, Sherman; MacLeod, Christopher; Taylor, Brian; Goodliffe, Andrew (2000). “Bathymetry of the Tonga Trench and Forearc: A Map Series”. 《Marine Geophysical Researches》 21 (5): 489–512. Bibcode:2000MarGR..21..489W. doi:10.1023/A:1026514914220. 
  146. Deverson, Tony; Kennedy, Graeme, 편집. (2005). 〈Australasia〉. 《New Zealand Oxford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9780195584516.001.0001. ISBN 9780195584516. 
  147. Hobbs, Joseph J. (2016). 《Fundamentals of World Regional Geography》 (영어). Cengage Learning. 367쪽. ISBN 9781305854956. 
  148. Hillstrom, Kevin; Hillstrom, Laurie Collier (2003). 《Australia, Oceania, and Antarctica: A Continental Overview of Environmental Issues》 3. ABC-CLIO. 25쪽. ISBN 9781576076941. …defined here as the continent nation of Australia, New Zealand, and twenty-two other island countries and territories sprinkled over more than 40 million square kilometres of the South Pacific. 
  149. Mullan, Brett; Tait, Andrew; Thompson, Craig (March 2009). 〈Climate – New Zealand's climate〉.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3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5일에 확인함. 
  150. “Summary of New Zealand climate extremes”. National Institute of Water and Atmospheric Research. 2004. 2023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30일에 확인함. 
  151. Walrond, Carl (March 2009). 〈Natural environment – Climate〉.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3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5일에 확인함. 
  152. Orange, Claudia (2015년 5월 1일). 〈Northland region〉.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20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153. “Mean monthly rainfall”. National Institute of Water and Atmospheric Research. 2011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 (XLS)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154. “Mean monthly sunshine hours”. National Institute of Water and Atmospheric Research. 2008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 (XLS)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155. “New Zealand climate and weather”. Tourism New Zealand. 2016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3일에 확인함. 
  156. “Climate data and activities”. National Institute of Water and Atmospheric Research. 2007년 2월 28일. 2019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1일에 확인함. 
  157. Cooper, R.; Millener, P. (1993). “The New Zealand biota: Historical background and new research”.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8 (12): 429–33. doi:10.1016/0169-5347(93)90004-9. PMID 21236222. 
  158. Trewick, S. A.; Morgan-Richards, M. (2014). 《New Zealand Wild Life》. Penguin Books. ISBN 9780143568896. 
  159. Lindsey, Terence; Morris, Rod (2000). 《Collins Field Guide to New Zealand Wildlife》. HarperCollins. 14쪽. ISBN 978-1-86950-300-0. 
  160. McDowall, R. M. (2008). “Process and pattern in the biogeography of New Zealand – a global microcosm?”. 《Journal of Biogeography》 (영어) 35 (2): 197–212. Bibcode:2008JBiog..35..197M. doi:10.1111/j.1365-2699.2007.01830.x. ISSN 1365-2699. S2CID 83921062. 2021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6일에 확인함. 
  161.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New Zealand plants”. New Zealand Plant Conservation Network. May 2010. 2012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5일에 확인함. 
  162. De Lange, Peter James; Sawyer, John William David; Rolfe, Jeremy (2006). 《New Zealand Indigenous Vascular Plant Checklist》. New Zealand Plant Conservation Network. ISBN 0-473-11306-6. 
  163. Wassilieff, Maggy (March 2009). 〈Lichens – Lichens in New Zealand〉.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3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6일에 확인함. 
  164. McLintock, Alexander, 편집. (April 2010) [1966]. 〈Mixed Broadleaf Podocarp and Kauri Forest〉. 《An Encyclopaedia of New Zealand》. 2013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5일에 확인함. 
  165. Mark, Alan (March 2009). 〈Grasslands – Tussock grassland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3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7일에 확인함. 
  166. “Commentary on Forest Policy in the Asia-Pacific Region (A Review for Indonesia, Malaysia, New Zealand, Papua New Guinea, Philippines, Thailand and Western Samoa)”. Forestry Department. 1997. 2019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167. McGlone, M. S. (1989). “The Polynesian settlement of New Zealan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and biotic changes” (PDF). 《New Zealand Journal of Ecology》. 12(S): 115–129. 2014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68. Taylor, R.; Smith, I. (1997). The state of New Zealand's environment 1997 (보고서). Wellington: New Zealand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201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6일에 확인함. 
  169.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뉴질랜드의 산업·무역
  170. “뉴질랜드 이민을 위한 비자발급”. 2019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8일에 확인함. 
  171.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뉴질랜드의 사회
  172. 《세계기도정보》/패트릭 존스톤 저/죠이선교회 刊.
  17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뉴질랜드의 관광명소
  174.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와이탕기
  175.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전쟁기념 박물관
  176.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달 분화구 지역
  177.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케리케리
  178.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와카레와레와 온천지
  179.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아그로돔
  180.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로토루아 호수
  181.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레드우드 그로우브
  182.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와이토모 동굴
  18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뉴질랜드의 교통·도시

외부 링크 편집

뉴질랜드 정부 기관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