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ookinu/연습장

프로아나(pro-ana)는 찬성을 의미하는 프로(pro)와 거식증을 의미하는 아나(anorexia)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신조어이며, 마른 몸을 추구하여 거식증 치료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거식증의 조장은 식이 장애인 거식증과 관련된 행동을 조장하는 것이다. 이는 종종 단순히 프로아나(pro-ana) 또는 아나(ana)라고 불립니다.[1] 덜 사용되는 용어인 프로미아(pro-mia)는 유사하게 폭식증을 나타내며[2], 때로는 프로아나와 혼용되기도 합니다. 프로아나 그룹은 그 입장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대부분은 자신들이 주로 거식증 환자들에게 비판 없는 환경을 제공하며, 그들이 병에 대해 논의하고 회복을 선택한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소로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다른 이들은 거식증이 정신 질환이 아니며, 대신 그것이 의사와 가족에 의해 존중받아야 하는 생활 방식 선택이라고 주장합니다.

과학계는 거식증을 심각한 질병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거식증은 모든 심리적 장애 중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문화

편집

섭식 장애를 치료하는 의료 전문가들은 회복 프로그램에 있는 환자들이 종종 정서적 지지를 위해 긴밀하게 결합하여 “증상 풀”을 형성한다고 오랫동안 언급해왔다. [3] 이러한 맥락에서 거식증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상태를 집단적으로 정상화하여 질병이 아닌 자기 통제의 성취이자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옹호할 수 있다. 그들에게 굶는 것은 질병이라기보다 생활 방식의 선택으로 인식된다.[4]

온라인상의 존재

편집

이러한 옹호는 주로 텀블러, 페이스북, 한국의 경우는 주로 엑스(트위터)와 같은 SNS를 중심으로 한 집단을 통해 인터넷에서 번성했다.[5] [6] 이러한 집단은 일반적으로 작고 취약하며, 숨겨져 있고 이주가 빈번하며[7] 여성의 비율이 높다. 종종 사회적으로 고립된 거식증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도 하다.[8]

섭식 장애를 치료하는 의료 전문가들은 회복 프로그램에 있는 환자들이 종종 정서적 지지를 위해 긴밀하게 결합하여 “증상 풀”을 형성한다고 오랫동안 언급해왔다. [3] 이러한 맥락에서 거식증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상태를 집단적으로 정상화하여 질병이 아닌 자기 통제의 성취이자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옹호할 수 있다. 그들에게 굶는 것은 질병이라기보다 생활 방식의 선택으로 인식된다.[9]


프로아나의 특징:

  • 거식증 또는 폭식증을 긍정한다 (2010년 조사에서는 각 84%, 64%)[10]).
  • 과격한 다이어트 방법 및 레시피 공유(2006년 조사에서는 67%, 2010년 조사에서는 83%로 증가)[11]
  • 채식주의[12](일반적으로 섭식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더 널리 퍼져 있음[13]))와 같이 음식을 거부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핑계를 사용하도록 서로에게 알려준다.
  • 살을 뺄 때 서로 경쟁하거나 연대의 의미로 함께 금식한다
  • 금식이나 폭식을 한 후에 서로 공감하고 배려한다
  • 먹토(먹고 토하기)하는 방법이나 구토제에 대해 정보를 공유한다
  • 부모와 의사에게 체중 감량에 대해 숨비는 방법을 공유한다[14][15]
  • 거식증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정보 공유[15][16]

thinspiration(자극)

편집

프로아나 사이트는 종종(2010년 설문조사에서는 84%) 씬스파이어(thinspiration)를 특징으로 한다. 씬스파이어: 연예인이나 일반인들 중 선천적으로 날씬한 여성부터 뼈가 눈에 띄게 튀어나올 정도로 수척한 여성(프로아나 들은 ‘뼈말라’라고 칭한다)들의 이미지나 동영상[17]

유도/입문

편집

프로아나를 연구하는 사회 연구자들은 프로아나의 인기에 대한 여러 설명을 제시했다. 프로아나를 현대 소비주의에 대한 거부로 묘사[18]하거나 프로아나가 섭식 장애로 인해 정서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을 위한 대처 메커니즘으로 기능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19]. 대부분은 프로아나 사이트의 두 가지 요소에 동의한다

  • 살을 빼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방문하게되는 프로아나 사이트들은 섭식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 프로아나 사이트는 회원들에게 공동체 의식과 공동의 정체성을 강하게 부여한다.[20]

패션

편집

붉은색 팔찌는 프로아나 표시로 널리 쓰이는데, 이는 거식증 환자가 사회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 먹는 것을 피하도록 눈에 띄게 상기시켜 주기도 한다. 이러한 팔찌들은 대부분 온라인 경매 사이트에서 활발하게 거래되는 단순 구슬 장식품이다.[21][22]

영향

편집

확산

편집

시청률

편집

영향

편집

사회적 지지 vs 질병 악화

편집

논란 및 비판

편집

의학계

편집

미디어

편집

예술계

편집

정책

편집

대중 문화

편집
  1. Udovitch, Mim (2002년 9월 8일), “A Secret Society of the Starving”, 《New York Times, 2007년 11월 4일에 확인함 
  2. Serna, Carmen (2004년 6월 9일), “Ana y Mia, contra la anorexia”, 《El Mundo》 (스페인어), 2008년 2월 5일에 확인함 
  3. Brown, Janelle (2001년 7월 23일), “The winner dies”, 《Salon.com》, 2010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5일에 확인함 
  4. Levenkron, Steven (2001), 《Anatomy of Anorexia》, W. W. Norton, ISBN 978-0-393-32101-2 
  5. Ensign, Rachel, “I reside in skinny”, 《Kitsch Magazine》, Fall 2006호 
  6. Williams, Alex (2006년 4월 2일), “Before Spring Break, the Anorexic Challenge”, 《New York Times, 2007년 11월 11일에 확인함 
  7. Casilli, Antonio A (May 2011), 《Studying Eating Disorders in the Social Web. New methods, new questions》, Institute of Social Psychology,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8. Morris, Bonnie Rothman (2002년 6월 23일), “A Disturbing Growth Industry: Web Sites That Espouse Anorexia”, 《New York Times,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9. Levenkron, Steven (2001), 《Anatomy of Anorexia》, W. W. Norton, ISBN 978-0-393-32101-2 
  10. Borzekowski, Dina; Schenk, Summer; Wilson, Jenny; Peebles, Rebecka (2010), “e-Ana and e-Mia: A Content Analysis of Pro–Eating Disorder Web Si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100 (8): 1526–1534, doi:10.2105/AJPH.2009.172700, PMC 2901299, PMID 20558807 
  11. Norris, Mark L; Boydell, Katherine M; Pinhas, Leora; Katzman, Debra K (2006), “Ana and the internet: A review of pro-anorexia websit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9 (6): 443–447, doi:10.1002/eat.20305, PMID 16721839, S2CID 29355957 
  12. Friedman, Danielle (2010년 7월 22일), 《When Veganism Is an Eating Disorder》, The Daily Beast, 2010년 7월 30일에 확인함 
  13. Robinson-O'Brien, Ramona; Perry, Cheryl L; Wall, Melanie; Story, Mary; Neumark-Sztainer, Dianne (2009), “Adolescent and Young Adult Vegetarianism: Better Dietary Intake and Weight Outcomes but Increased Risk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9 (4): 648–655, doi:10.1016/j.jada.2008.12.014, PMID 19328260 
  14. Slater, Marjorie (April 2006), “Craving Community: The Phenomenon of Pro-Anorexia Sites”, 《AngeLingo》 (USC College of Letters Arts and Sciences) 4 (2), 200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Harshbarger, Jenni; Ahlers-Schmidt, Carolyn; Mayans, Laura; Mayans, David; Hawkins, Joseph (2008), “Pro-anorexia websites: What a clinician should know”,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2 (4): 367–370, doi:10.1002/eat.20608, PMID 19040264 
  16. Fox, N; Ward, K; O'Rourke, A (2005), “Pro-anorexia, weight-loss drugs and the internet: an "anti-recovery" explanatory model of anorexia” (PDF),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27 (7): 944–971, doi:10.1111/j.1467-9566.2005.00465.x, PMID 16313524 
  17. Heffernan, Virginia (2008년 5월 23일), “Narrow Minded”, 《New York Times Magazine, 200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18. Tierney, Stephanie (2006), “The dangers and draw of online communication: Pro-anorexia websit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users,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Eating Disorders》 14 (3): 181–190, doi:10.1080/10640260600638865, PMID 16807213, S2CID 30908135 
  19. Mulveen, Ruaidhri; Hepworth, Julie (2006),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a pro-anorexia internet site and its relationship with disordered eating”,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2): 283–96, doi:10.1177/1359105306061187, PMID 16464925, S2CID 6120698 
  20. Overbeke, Grace (2008), “Pro-Anorexia Websites: Content, Impact, and Explanations of Popularity” (PDF), 《The Wesleyan Journal of Psychology》 3: 49–62, 2012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1. “Bracelets Worn As Anorexic Status Symbol”. KCRA. 2005년 4월 28일. 2011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 
  22. “Woman Makes, Sells Pro-Eating Disorder Bracelets”. KCRA. 2005년 4월 29일. 2011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