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FriedC/공의존

심리학에서 공의존(codependency)이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중독, 정신건강 문제, 미성숙함, 무책임함, 성취부진 등의[1] 자기파괴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불균형한 관계를 설명하려는 이론이다.[2]

공의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지나친 자기희생, 타인의 욕구에 대한 집중, 자신의 감정 억제, 다른 사람의 문제를 통제하거나 해결하려는 시도 등을 포함한다.[3]

자신을 공의존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존감이 낮을 가능성이 더 높지만, 이것이 공의존과 관련된 특성의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명확하지 않다.[4] 공의존은 결혼, 동거, 연인 관계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직장 동료, 친구,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역사

편집

'공의존'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 후반 미네소타에서 알코올 중독과 기타 약물 의존이 '화학물질 의존'으로 묶이면서 '공동 알코올 중독'(co-alcoholic)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6] 이 용어는 주로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과 알코올 중독이 단순히 중독자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알코올 중독자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족과 친구들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는 인식과 관련이 있다.[7]

'공의존'이라는 용어는 처음에는 물질 사용 장애가 있는 사람의 회복을 "과도한 도움"으로 방해할 수 있는 가족과 친구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8] 공의존 개념의 적용은 자조 공동체에 의해 주도되었다.

1986년, 정신과 의사 티먼 서멕(Timmen Cermak)은 《공의존 진단 및 치료: 전문가를 위한 안내서》(Diagnosing and Treating Co-Dependence: A Guide for Professionals)를 저술했다. 그 책과 《향정신성 약물 저널》(Journal of Psychoactive Drugs)에 게재된 논문에서 서멕은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SM-III-R)에 공의존을 별도의 성격 장애로 포함시키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9] 그는 이 상태가 중독뿐만 아니라 어떤 정신 장애를 가진 사람과 가까운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멜로디 비티(Melody Beattie)는 1986년 800만 부가 판매된 《더 이상 공의존은 없다》(Codependent No More)라는 책을 통해 공의존 개념을 대중화했으며,[10] 1992년과 2022년에는 개정판이 출간되었다.[11] 그는 물질 남용과 그것으로 고통받는 사람을 돌보는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알아논의 도움을 받은 사람들을 인터뷰했다. 비티의 작업은 1986년에 설립된 12단계 조직인 익명의 공의존자들(Co-Dependents Anonymous)의 기반이 되었지만,[12] 이 그룹은 공의존에 대한 어떠한 정의나 진단 기준도 인정하지 않는다.[13]

정의

편집

정신건강 분야에서 공의존은 확립된 정의나 진단 기준이 없다.[14][15] 공의존은 DSM이나 ICD의 어떤 판에도 질환으로 포함되지 않았다.

공의존은 세 가지 잠재적인 의미 수준을 가지고 있다. 첫째, 가족들에게 설명된 후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감정을 정상화하고 의존적인 사람에서 자신의 역기능적인 행동 패턴으로 초점을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지시적 도구를 설명할 수 있다.[16][17][18] 둘째,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간단한 방법인 심리학적 개념을 기술할 수 있다.[16][19] 셋째, 개인 간에 일관된 특성이나 행동 패턴이 있어 상당한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심리 장애를 설명할 수 있다.[16][20]

공의존에 대한 논의는 공의존이 장애인지 여부나 그러한 질병이 어떻게 정의되거나 진단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합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의 질병 모델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16]:723

진단 가능한 장애로서 공의존을 정의하려는 초기 시도에서[16] 티먼 서멕은 "공의존은 DSM III에 요약된 바와 같이 혼합 성격 장애 진단을 보증할 만큼 충분한 기능 장애를 만들어낼 수 있는 화학적 의존 가족의 대부분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예측 가능하게 발견되는 인식 가능한 성격 특성 패턴"이라고 썼다. 서멕은 화학물질 의존이나 장애가 있는 성격의 파트너를 자기 억제하고 지지하는 사람들에게서 확인한 특성을 나열하고 DSM 방식의 진단 기준 세트를 제안했다.[21][22]

자기계발서에서 멜로디 비티는 "공의존의 명백한 정의는 의존성의 파트너가 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정의는 사실에 가깝지만 여전히 불분명하다. 비티는 "공의존자는 다른 사람의 행동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하고, 그 사람의 행동을 통제하는 데 집착하는 사람"이라고 자세히 설명했다.[23]

또 다른 자기계발서 작가이자 심리학자인 달린 랜서는 "공의존자는 선천적인 자아에서 기능할 수 없고 대신 물질, 과정 또는 다른 사람을 중심으로 사고와 행동을 조직하는 사람"이라고 주장한다.[24] 랜서는 자신의 정의에 모든 중독자를 포함시킨다. 그는 "잃어버린 자아"가 공의존의 핵심이라고 믿는다.

건강하고 기능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려는 사람들을 위한 자조 단체인 익명의 공의존자들은 "공의존에 대한 정의나 진단 기준을 제시하지 않지만"[25] 일반인이 자기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공의존의 패턴과 특성" 목록을 제공한다.[26][27]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이 사용하는 메디컬 서브젝트 헤딩(Medical Subject Heading)은 공의존을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목적 의식을 얻으려고 시도하는 관계 패턴"으로 설명한다.[28]

멘탈 헬스 아메리카(Mental Health America)는 공의존을 "관계 중독"의 동의어로 간주하며, 역기능적인 가족 구성원에게서 대리 만족을 추구하는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을 지칭한다고 본다.[29]

각주

편집
  1. Johnson, R. Skip (2014년 7월 13일). “Codependency and Codependent Relationships”. BPDFamily.com. 2014년 9월 9일에 확인함. 
  2. McGrath, Michael; Oakley, Barbara (2012). Oakley, Barbara; Knafo, Ariel; Madhavan, Guruprasad; Wilson, David Sloan, 편집. 《Codependency and Pathological Altruis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9쪽. ISBN 9780199876341. 
  3. Dear, G.E.; Roberts, C.M.; Lange, L. (2004). “Defining codependency: An analysis of published definitions”. 《In S. Shohov (Ed.),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34: 63–79 – Huntington, NY: Nova Science Publishers 경유. 
  4. Marks, A.; Blore, R.; Hine, D.; Dear, G.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evised Measure of Codependency”.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4 (3): 119–127. doi:10.1111/j.1742-9536.2011.00034.x. S2CID 143154273. 
  5. Cermak, Timmen L. (1986년 1월 1일). “Diagnostic Criteria for Codependency”.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18 (1): 15–20. doi:10.1080/02791072.1986.10524475. ISSN 0279-1072. PMID 3701499. 
  6. Beattie, Melody (1987). 《Codependent No More: How to Stop Controlling Others and Start Caring for Yourself》. New York: Harper/Hazelden. 29쪽. ISBN 978-0-06-255446-8. 
  7. Davis, Lennard J. (2008). 《Obsession: A History》.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8쪽. ISBN 978-0-226-13782-7. 
  8. Hendriksen, Ellen. “Is Your Relationship Codependent? And What Exactly Does That Mean?”. 《Scientific American》. 2017년 1월 12일에 확인함. 
  9. Morgan Jr., JP (1991). “What is codependency?”. 《J Clin Psychol》 47 (5): 720–729. doi:10.1002/1097-4679(199109)47:5<720::aid-jclp2270470515>3.0.co;2-5. PMID 1939721. 
  10. J. S. Rice (1998). A Disease of One's Own. p. 2.
  11. “2022 Revised! Codependent No More by Melody Beattie” (미국 영어). Melody Beattie. 2022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2. Irving, Leslie (1999). 《Codependent Forevermore: The Invention of Self in a Twelve Step Group》.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30쪽. ISBN 978-0-226-38471-9. 
  13. “What is Codependence”. 《CoDA.org》. 
  14. Dear, Greg E.; Roberts, Clair N.; Lange, Lois (2005). Shohov, S, 편집.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Volume 34》. Hauppauge: Nova Science Publishers. 189쪽. ISBN 1594540799. 
  15. Anderson, Sandra C. (November 1994).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Codependency”. 《Social Work》 39 (6): 677–685. doi:10.1093/sw/39.6.677. 
  16. Morgan, James P. (September 1991). “What is codepend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7 (5): 722. doi:10.1002/1097-4679(199109)47:5<720::AID-JCLP2270470515>3.0.CO;2-5. PMID 1939721. 
  17. 《Pathological altruis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3쪽. ISBN 9780199876341. 
  18. Goldberg, Arnold I., 편집. (1992). 《New therapeutic visions, v.8》. Analytic Press. 145쪽. ISBN 978-1-134-88774-3. 
  19. Klostermann, Keith; O'Farrell, Timothy J. (May 2013). “Treating Substance Abuse: Partner and Family Approaches”.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28 (3–4): 234–247. doi:10.1080/19371918.2013.759014. PMID 23731417. S2CID 205943130. 
  20. Dear, Greg E.; Roberts, Clare M.; Lange, Lois (2005). Shohov, Serge P., 편집.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Volume 34》. Hauppauge: Nova Science Publishers. 189쪽. ISBN 9781594540790. 
  21. Cermak, Timmen L. (1986). 《Diagnosing and treating co-dependence : a guide for professionals who work with chemical dependents, their spouses, and children》. Internet Archive. Minneapolis : Johnson Institute Books. ISBN 978-0-935908-32-9. 
  22. Cermak M.D., Timmen L. (1986). “Diagnostic Criteria for Codependency”.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18 (1): 15–20. doi:10.1080/02791072.1986.10524475. PMID 3701499. 
  23. Beattie, Melody (1987). 《Codependent no more : how to stop controlling others and start caring for yourself》. Internet Archive. New York : Harper/Hazelden. ISBN 978-0-06-255446-8. 
  24. Lancer, Darlene (2012). 《Codependency for Dummies》 1판.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30쪽. ISBN 978-1118095225. 
  25. “What is Codependence”. 《CoDA.org》 (미국 영어).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6.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2011”. 《CoDA.org》 (미국 영어).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7. “Recovery Patterns of Codependence”. 《CoDA.org》. Codependents Anonymous. 2010. 2022년 7월 22일에 확인함. 
  28. “MeSH Browser”. 《meshb.nlm.nih.gov》.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9. “Co-Dependency”. 《Mental Health America》 (영어). 2023년 7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