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 역사
이 사용자는 위키프로젝트
역사
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토론사용자

편집

사용자:옹진수18대손 옹씨가문.

프로젝트1

편집

옹씨는 언제부터 성씨를 사용했을까

본 프로젝트는 옹씨 유래를 찾고자 시작햇다. 환단고기는 요즘 한국사에 파장을 이르키는 사건인데. 여기서 재미난 사실을 알아냇다.

다름아닌 환단고기에서 글자 옹(邕)이 발견 됐다는 점이다. 왜 환단고기에서 (옹)자가 의론돼 있을까.

자세한 사실을 들어다 보자.

<갑골천부경 81자 노래. 옹옹옹>
출저: 에굴루스: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스캔본: 스캔본1 스캔본2 스캔본3 스캔본4 스캔본5


결론.

본문의 내용중.

1. 천부경의 새겨진 글씨는 글자 (옹)이 확실하다.

스캔본3 중..
왕국유의 설문해자에 보이는 갑골문자가 (옹)자의 원형임을 증명하여. 이것이 곧 (옹)자였음을 증명해 냅니다.


2. 변형문자

스캔본4 중..
갑골문: 본래 둥그런 모양인데 뼈에 새기다 보니 직각으로 새긴것(은나라)
금문: 사방에 물이 있는 모양(서주)
대전: 설문해자 참고(서주 선왕 이후)
소전: 설문해자 참고(진나라 진시황제)
예서: 邕(옹) 으로 변한문자, 설문해자 참고(진한시기)
예서: 雍(옹) 으로 변한문자, 설문해자 참고(한나라)

여기서 주의시 볼것은 문자가 예서채로 변하면서. 두갈래로 갈라졋다..왜그랫을까?
邕(옹)은 진한에서 사용대엇고.(고조선, 진한,변한,마한 중)
雍(옹)은 한나라에서 사용대엇다.(중국 한나라)


3. 어음 글자(옹)은 옹을 발음한다.

스캔본4중 동원사를 어론 하는데..

邕 과 雍(옹)은 동원사에 속하는 글자이며 상고음 모구 같습니다. 왕력은 그의저서에서 상고음(i ong)이 모두 같다고 말합니다. 중국의 현대 발음은 물론 중국의 중고시대 음이 반영된 우리나라 한자음도 모두 같으니 고대의 음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 것입니다.

지금 중국에서는 글자(옹)을 용 혹은 융이라 발음한다. 이것을 중국 사투리로 대한 차이다. 즉 중국 중고시대 음이 현 우리 한국 발음 (옹)인것을 확인, 그리고 고대의 음도한 (옹)이엿다.


4. 글자(옹)은 지역이름과 제사이름으로 용래로 사용데엇다.

그렇다면...

옥천 옹씨의 쓰이는 글씨는 邕(옹)은 중국 중고시대의 넘어와서 정착하엿고. 중국에 남아있는 雍(옹) 은 한나라시대때에 글자가 변형대어 만들어졋다는 이야기인데...

본디에 옛 이름 성은 동물 혹은 직업에서 유래데는데..

옥천 옹씨는 제사관이 아니엇을까..

성경에서도 나오는 제사관 위치는 그당시 전쟁을 나가기전에 신에게 허락밭는 일 혹은 좋은 날짜를 점치는 일을 하기도 하엿다.


5. 옹으로 표기덴 지역도 여러군데 잇는데.

스캔본5에,,,

옹주와 옹국이 거론 대기도 하는데.. 이외에도 중국 광저우시에도 옹령현 백제향이란 지명이 거론대어 중국땅에 대륙백제과 잇엇다는 바탕을 뒷바침을 해주는가 하며..

지역 지명에서는 좀더 리서치를 해봐야한다.

--208.23.25.13 (토론) 2008년 12월 30일 (화) 15:39 (KST) rough write(2차)

프로젝트2

편집

없을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