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ropheceer/연습장/EAFF 대회/제3회 여자 동아시안컵

Propheceer/연습장/EAFF 대회/제3회 여자 동아시안컵
東アジア女子サッカー選手権2010
개최국일본의 기 일본
개최기간2월 6일 ~ 2월 14일
참가팀 (1개 대륙)
경기장본선 조후도쿄
준결승 타이난
결과
3위 대한민국
4위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통계
최다 득점일본 마나 이와부치
중국 한돤
대한민국 이장미
대한민국 유영아
최우수 선수일본 사와 호마레
« 2008
2013 »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여자 동아시안컵의 제3회 대회이다. 당해 대회와 동일한 성격의 남자부 대회로는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다.

대회는 준결승 대회 및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준결승 대회중화 타이베이에서 2009년 8월 22일부터 2009년 8월 30일까지 개최되었다. 준결승 대회에서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당해 대회에서는 준결승 대회 우승국과 준우승국이 모두 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결승 대회일본에서 2010년 2월 6일부터 2010년 2월 13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당해 결승 대회에 불참한다.[1] 이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제외한 결승 대회 자동진출 2개국 및 준결승 대회를 통과한 2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대회 공인구는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사용되었던 자블라니다.

준결승 대회

편집

준결승 대회중화 타이베이에서 2009년 8월 22일부터 2009년 8월 30일까지 개최되었다. 준결승 대회에서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당해 대회에서는 준결승 대회 우승국과 준우승국이 모두 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경기장

편집

제3회 여자 동아시안컵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수용인원: 30,000명
 

  대회 순위

편집
  결승 대회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대한민국 12 4 4 0 0 41 0 +41
2   중화 타이베이1 9 4 3 0 1 35 7 +28
3   홍콩 6 4 2 0 2 12 15 −3
4   3 4 1 0 3 5 21 −16
5   북마리아나 제도 0 4 0 0 4 1 51 −50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당해 준결승 대회에서는 우승국과 준우승국이 모두 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009년 8월 22일
16:30 UTC+8
  5 – 1   북마리아나 제도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1,500명
심판:   이와키 마리코
톰프슨   17′
지머먼   31′
퀴글리   72′ (페널티)
파울리노 시미즈   73′87′
리포트 캐리 나이트   39′
2009년 8월 22일
19:00 UTC+8
중화 타이베이   8 – 1   홍콩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3,000명
심판:   이와키 마리코
린위후이   24′63′
린만팅   44′
린충잉   53′
리쉐화   66′ (페널티)
쩡수어   68′
천후이산   74′
천샤오쥐안   76′
리포트 찬잉제   90′

2차전
2009년 8월 24일
16:30 UTC+8
홍콩   10 – 0   북마리아나 제도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300명
심판:   사토 나미
펑감무이   3′56′61′76′
응잉금   13′34′
청웨이키   22′39′
찬잉제   42′47′
리포트
2009년 8월 24일
19:30 UTC+8
  0 – 9   대한민국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300명
심판:   수이밍웨이
리포트 전가을   5′9′
유영아   8′63′
권하늘   11′26′30′
김수연   29′ (페널티)
조소현   74′

3차전
2009년 8월 26일
16:30 UTC+8
중화 타이베이   10 – 0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1,000명
심판:   이와키 마리코
쩡수어   5′30′
셰이링   36′39′
린위후이   51′
탄원린   66′74′
린만팅   69′
왕샹후이   70′
린야한   82′
리포트
2009년 8월 26일
19:00 UTC+8
대한민국   19 – 0   북마리아나 제도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500명
심판:   깜능 빤니빠르
지소연   2′67′70′ (페널티)81′90′
최선진   11′
임선주   20′
이은미   24′30′64′
홍경숙   41′
박지영   50′59′ (페널티)
곽지혜   65′71′76′
조소현   78′
이진화   87′88′
리포트

4차전
2009년 8월 28일
16:30 UTC+8
중화 타이베이   17 – 0   북마리아나 제도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1,200명
심판:   수이밍웨이
린위후이   14′25′ (페널티)34′65′69′70′72′
린야한   19′
쩡수어   31′36′
케이티 리   41′ (자책골)
천샤오쥐안   44′
셰이링   49′83′
  67′ (자책골)
탄원린   76′
차이신윈   82′
리포트
2009년 8월 28일
19:00 UTC+8
대한민국   7 – 0   홍콩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300명
심판:   깜능 빤니빠르
유영아   6′
김수연   60′65′84′90+′ (페널티)
이장미   66′
전가을   88′
리포트

5차전
2009년 8월 30일
16:30 UTC+8
  0 – 1   홍콩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300명
심판:   김숙희
리포트 응잉금   66′
2009년 8월 30일
19:00 UTC+8
중화 타이베이   0 – 6   대한민국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 타이난
관중: 3,000명
심판:   사토 나미
리포트 전가을   11′90+1′
유영아   28′
권하늘   39′
김수연   65′ (페널티)
지소연   81′ (페널티)

  수상 내역

편집
페어플레이상 최우수 골키퍼상 최우수 수비수상 득점상 MVP
  대한민국   (No.18) 김정미   (No.13) 김도연   (No.11) 린위후이   (No.3) 조소현

결승 대회

편집

결승 대회일본에서 2010년 2월 6일부터 2010년 2월 13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당해 결승 대회에 불참한다. 이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제외한 결승 대회 자동진출 2개국 및 준결승 대회를 통과한 2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

편집

제3회 여자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아지노모도 스타디움(FC 도쿄도쿄 베르디 홈구장)과 도쿄 국립경기장(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도쿄 국립 경기장
  조후   도쿄
수용인원: 49,970명 수용인원: 50,339명
   

  선수 명단

편집

  대회 순위

편집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일본 9 3 3 0 0 7 1 +6
2   중국 6 3 2 0 1 5 3 +2
3   대한민국 3 3 1 0 2 6 5 +1
4   중화 타이베이 0 3 0 0 3 0 10 -10

  일정 및 결과

편집

1차전
2010년 2월 6일
15:31 UTC+9
일본   2 – 0   중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7,459명
심판:   깜능 빤니빠르
미야마   19′
킨가   61′
리포트
2010년 2월 7일
16:30 UTC+9
대한민국   4 – 0   중화 타이베이 도쿄 국립 경기장, 도쿄
관중: 684명
심판:   왕지아
전가을   27′
이장미   28′45+1′
유영아   74′
리포트

2차전
2010년 2월 10일
16:30 UTC+9
중국   2 – 1   대한민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714명
심판:   깜능 빤니빠르
마샤오쉬   51′
위안판   63′
리포트 지소연   85′
2010년 2월 11일
15:15 UTC+9
일본   3 – 0   중화 타이베이 도쿄 국립 경기장, 도쿄
관중: 3,774명
심판:   김숙희
이와부치   36′59′
타카세   85′
리포트

3차전
2010년 2월 13일
12:30 UTC+9
중화 타이베이   0 – 3   중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728명
심판:   후카노 에쓰코
리포트 한돤   46′60′
팡펑위에   75′
2010년 2월 13일
15:10 UTC+9
일본   2 – 1   대한민국 아지노모도 스타디움, 조후
관중: 3,132명
심판:   드코스 벤틀라
오노   7′
야마구치   17′
리포트 유영아   75′

우승국

편집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일본

  
제3대 동아시아 챔피언 (2회 우승)
2008년2010년

최종 순위

편집
순위 국가 경기 승점
1   일본 3 3 0 0 7 1 +6 9
2   중국 3 2 0 1 5 3 +2 6
3   대한민국1 3 1 0 2 6 5 +1 3
4   중화 타이베이1 3 0 0 3 0 10 -10 0
▲ 결승 대회 진출
5   홍콩 4 2 0 2 12 15 −3 6
6   4 1 0 3 5 21 −16 3
7   북마리아나 제도 4 0 0 4 1 51 −50 0
▲ 준결승 대회 진출
  1. 준결승 대회에서 우승한   대한민국과 준우승한   중화 타이베이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수상 내역

편집
페어플레이상 최우수 골키퍼상 최우수 수비수상 득점상 MVP
  중국   (No.1) 장옌루   (No.3) 이와시미즈 아즈사 수상자 4명
  (No.29) 이와부치 마나
  (No.9) 한돤
  (No.7) 유영아
  (No.10) 이장미
  (No.10) 사와 호마레

기록과 통계

편집

각주

편집
  1. 김범수 기자 (2010년 1월 12일). “북한 여자축구대표, 동아시아선수권 불참”. 한국일보.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