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cs5003/연습장

뮤지컬과 오페라의 차이점 편집

오페라는 노래가 주가 되고 그에 연극적인 요소를 결합한 것이라면, 뮤지컬은 연극이 주가 되어 음악적 요소가 그에 결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차이점으로 공연하는 사람의 명칭도 오페라에선 '가수', 뮤지컬에선 '배우' 라고 부른다.

오페라는 마이크 없이 오로지 목소리 만으로 공연장을 채운다. 때문에 오페라 가수들은 성악 발성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항상 오케스트라와 함께 공연한다.

노래와 언어를 중요시 하기 때문에 원어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에 반해 뮤지컬은 마이크를 사용한다. 주로 극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고, 연기를 더 중요시 하기 때문에 세세한 감정 표현들이 더 잘 느껴지게 하기 위함이다.

감정과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번역되거나 개사하여 공연한다.

뮤지컬이 이루어지는 극장 편집

대극장 편집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 CJ토월극장

샤롯데씨워터

블루스퀘어

디큐브아트센터

국립극장 해오름

LG아트센터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우리금융아트홀

계명아트센터

드림씨어터

중/소극장 편집

DCF대명문화공장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기타 대학로에 위치한 수많은 소극장들

뮤지컬 영화 편집

뮤지컬을 영화로 표현한 작품이다.

요소 편집

[1]뮤지컬 영화에서 나타나는 대사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서곡
  • 오프닝 넘버(Openning Number): 서곡이 끝나고 나오는 노래로 배경상황을 설명하고 관객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대개 활기찬 분위기.
  • 제시(Exposition): 다시한번 배경상황을 제시해서 바로 다음에 나타나는 사건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 프로덕션 넘버(Production Number): 극 중반부에서 다음 사건을 암시하는 노래로 극중 거의 모든 요소가 동원되어 화려하다.
  • 반복 연주(Reprise): 극적 순간에 나왔던 노래를 반복하는 것. 다만 그대로 반복하는 것은 아니고 변주를 가해서 이전에 비해 상황이 달라졌음을 알린다.
  • 아리아
  • 엔딩

대표적인 작품 편집

맘마 미아! 1,2

레 미제라블

시카고

드림걸즈

위대한 쇼맨

미녀와 야수

라라랜드

한국의 제작사들 편집

  • (주)EMK뮤지컬컴퍼니 :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 뮤지컬이 성행하던 국내 뮤지컬 시장에 정통 유럽 뮤지컬을 선보였다.
    • 모차르트!
    • 엘리자벳
    • 레베카
    • 황태자 루돌프
    • 마리 앙투아네트
    • 팬텀
  • 신시컴퍼니
    • 빌리 엘리어트
    • 시카고
    • 마틸다
    • 맘마 미아!
  • (주)KCMI : KCMI는 세계적인 뮤지컬 제작자 카메론 매킨토시가 운영하는 영국 CML의 한국 파트너사이다.
  • 오디뮤지컬컴퍼니
    • 지킬앤하이드
    • 그리스
    • 맨오브라만차
    • 드림걸즈
    • 닥터지바고

LG아트센터 편집

LG아트센터는 서울 강남구 논현로 508 GS타워 (역삼동 679 GS타워)에 위치해 있으며 객석은 3개의 층으로 되어있다.

1층 646석, 2층 249석, 3층 208, 총 1,103석 규모의 공연장이다.

역사 편집

2000년 3월에 개관하였으며 LG그룹 산하의 연암문화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2]2019년 7월 이후엔 공연을 중단하고 2020년엔 마곡지구로 이전 될 예정이었으나 공사 중단 상태로 인해 2022년으로 변경되었다.

특징 편집

'CoMPUS(Contemporary Music & Performing Arts Season)'라는 시스템으로 시즌 별로 다른 공연을 하고 있다.

클래식, 대중음악, 연극, 무용 4개의 장르를 다룬다. 각 장르 별로 패키지로도 판매한다. 자유 패키지로 혼합하여 관람도 가능하다.

봄, 가을엔 일반 공연들이 이루어지고, 여름과 겨울엔 뮤지컬 공연들이 주로 편성된다.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편집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55 동서대학교센텀캠퍼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65)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 2층부터 지상 2층, 총 1,134석의 규모를 갖고 있다.

1층 699석, 2층 362석, 휠체어 석 12, OP 61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명아트센터 편집

대구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신당동 1000-2), 계명대학교 내에 위치했다.

무대는 1236.37m²(오케스트라 피트 제외), 객석은 3개의 층으로 1층은 1,095석, 2층 387석, 3층 346석, 총 1,954석을 보유하고 있다.

연혁 편집

2005년 2월 3일 착공

2008년 1월 27일 준공

2008년 10월 9일 개관


DCF대명문화공장 편집



1관 비발디파크홀 편집

지하층의 오른쪽에 위치해 있으며, 1층 272석, 2층 134석, 총 406석의 규모이다.

2관 라이프웨이홀 편집

지하층의 왼쪽에 위치해 있으며, 1층 226석, 2층 74석, 총 300석의 규모이다.

3관 수현재씨어터 편집

빌딩 지상 3층에 위치해 있다.

3월 24일부터 5년간 '예스 24스테이지'로 임대 운영되고 있다.[3]

미녀와 야수 편집


차이점 편집

  • 이 전 미녀와 야수 작품들과 다른 점으로 벨은 발명가인 아버지를 돕는 역할로 표현되어왔지만, 이번 영화에선 당나귀와 술통을 이용해 세탁기를 개발하는 발명가 역할로 나온다는 것이다
  • 원작에서는 11세에 저주가 걸려 10년 후인 21세라는 명확한 기준이 있었지만, '꽃잎이 떨어질 때까지 '라는 설정으로 바뀌었다.


  1. 서정남 (2009년 6월 25일). 《할리우드 영화의 모든 것》. 이론과실천. 
  2. “마곡지구 LG아트센터 건축 공사 '석연찮은' 중단...무슨일?”. 
  3. “대명문화공장·수현재씨어터 '예스24'로 간판 바뀐다”. 2019년 1월 22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