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0575 사회학과 이민재

<협동조합>

협동조합이란?
국제사회에서 협동조합의 정의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통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인 조직.”

국제협동조합연맹의 협동조합 7대 원칙
- 자발적이고 개방된 조합원 제도
-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관리
- 조합원의 경제적 참여
- 자율과 독립
- 교육, 훈련 및 정보 제공
- 협동조합 간 협동
-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국내 협동조합기본법에서 협동조합의 정의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 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
협동조합기본법(2012년 12월 1일부터 시행)

협동조합사례
이탈리아 볼로냐 협동조합
1950년대 까지만해도 이탈리아에서 가장 가난했던 도시 하지만 현재 눈에 띄는 대기업 하나 없이 유럽에서 5손가락 안에 드는 잘사는 도시로 변모
볼로냐는 아주 잘 조직화된 시민사회로 단 한번도 왕, 여왕, 황제가 없었다. 스스로 다스리는 능력, 즉 자치를 할 수 있게 된 것 볼로냐에서 협동조합이 성공한 이유 (스테파노 자마니 – 볼로냐대학교 경제학 교수)

주택건설협동조합 - 주세페 도차 Giuseppa Dozza
약 100년전 노동자들에게 낮은 가격으로 집을 제공하려고 시작, 현재 조합원 수 6,500명, 보유 아파트수 1,338채
조합원이 되기 위한 절차는 아주 간단, 조합으로 직접 가서 가입비(출자금) 25~30 유로를 내면 곧바로 조합원이 될 수 있다.
조합원이 직장과 거리가 멀어 이사를 원하는 경우 새로 이사하는 지역의 협동조합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도록 하여 조합원 개인의 변화된 조건에 맞게 입주할 수 있는 우선권도 주고 있다.

이우스타레스 Iusta Res
다양한 계층의 청년들에게 취업교육과 인턴십, 일자리를 제공하는 카페 운영형식의 협동조합
청년들의 기대와 시장의 요구를 고려해서 요식업 교육을 하고 있고 일자리를 찾아주기 위해 이력서 작성을 가르침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 구직 기회를 확장하고 직장 세계에서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도록 훈련하고 있다.

코팝스COpAPS
정신 지체 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사회적 협동조합 (볼로냐의 협동조합은 경제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분야에서도 기여)

협동조합의 양면성
지분에 상관없이 1인 1표 - 의사결정이 기업보다 느림
각종 경제지표가 효율성에 맞추어짐 - 공생을 추구하기 때문에 효율이 낮음, 외부 자본의 투자를 받기가 힘듬
협동조합의 자회사가 주식회사인 경우 - 직원이 피고용인 신분이 됨

결론
협동조합운동은 늘 이상과 현실의 긴장 속에서 발전 당연히 협동조합 운동에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 협동조합의 긍정적인 측면을 잘이끌어내는 것은 협동조합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의 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