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표준

공간정보표준화 일반 편집

공간정보표준화 편집

공간정보표준 편집

한국 국가표준인 한국산업표준(KS)[1]을 담당하고 있는 기술표준원은 표준을 ‘합의에 의해 작성되고, 인정된 기관에 의해 승인되며, 주어진 범위 내에서 최적 수준을 성취할 목적으로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규정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외에도 표준기구들마다 표준을 다양[2][3][4]하게 정의하고 있으며, 공간정보표준에 대한 정의도 다양[5][6][7][8]하다.

그러나 이 다양한 정의에서 공통된 점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합의로 만들어낸 산출물(표준명세)을 표준으로 정의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기본공간정보 생산자들 간에 기본공간정보의 생산방식을 공유하고자 할 경우 생산에 관한 표준이 필요할 것이다. 또,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공유하고자 할 경우 교환‧유통에 관한 표준이 필요할 수 있다. 그래서 공간정보표준을 공공재로서의 공간정보를 많은 사용자들이 공유하기 위하여 공통된 약속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정보 표준을 생산‧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공동 규칙을 만들기 위해 합의를 모으고, 합의된 결과물을 공식화하고 검사하는 등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틀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사용자들의 표준 활동이 지속적‧순환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조직‧절차‧제도로 구성된 체계(framework) 를 ‘공간정보 표준체계(이하 표준체계)’라 한다.


공간정보표준에 관한 많은 기존 연구들은 산출물의 관점에서 표준 그 자체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어떤 종류의 표준을 개발할 것인지 표준개발을 기획하는 작업과 표준을 개발하는 활동에 노력이 집중되어져 왔다. 그 결과 표준과 관련된 다른 활동들이나 제도적인 측면이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으며, 이것은 결국 많은 표준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의 활용도가 저조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공간정보표준을 연구하거나 정책을 마련할 경우, 표준을 산출물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표준과 관련된 활동들, 제도적 환경,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공간정보 표준체계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때 공간정보 표준이 정보 공유를 위해 기능을 다 할 수 있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정의와 각각의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공간정보표준체계의 개념적 틀을 첫째, 표준 활동의 주체가 되는 표준이해당사자들, 둘째,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표준 활동, 셋째 활동의 결과로 산출된 공간정보 표준명세, 마지막으로 이러한 표준 활동을 수행하는 근거가 되는 제도로 정의하고자 한다.


공간정보표준화 편집

공간정보 표준 이해당사자들이 공간정보 표준을 만드는데 필요한 다양한 활동들은 표준이 생산되어 소멸되기까지의 순환적 주기(life-cycle) 측면에서 기획‧개발-제정-준수-유지관리(사용자 feedback)활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순환적 주기 안에서 표준활동들은 순차적 관계에 있으며, 하나의 표준활동이 미진한 경우 이는 다른 표준활동이 취약해지는 원인이 되어 결국 공간정보 표준체계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림1> 공간정보표준활동

먼저, <그림 1>에서와 같이, 공간정보 표준활동 주기에서 첫 번째 단계는 공간정보 표준을 기획하는 활동으로 표준이해당사자들의 요구와 사회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적 필요에 의해 실시된다.

공간정보표준 기획’이란 신규 개발해야할 표준을 계획하는 활동으로, 공간정보를 둘러싼 기술‧사회 환경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요구를 수렴하는 등의 활동들을 의미한다.

공간정보표준 개발’이란 공간정보체계가 제공하는 일련의 절차 안에서 여러 사용자들이 합의하여 공동으로 준수할 규칙(내용)을 만드는 활동으로, 활동 결과물로 공간정보표준(안)이 나온다.

공간정보표준 제정’은 합의에 의해 작성된 공간정보표준(안)을 인정된 기관에 의해 승인하는 작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국가표준으로 제정할 경우 기술표준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기술기준으로 제정할 경우 관련 정부 부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공간정보표준 준수’는 성과품이 공간정보 표준에 기술된 내용을 만족하는지, 혹은 성과품들 간에 공간정보/기능이 상호운용되는 지를 검사하는 검사/인증 등의 작업을 말한다. ‘공간정보 표준 유지관리’란 공간정보 표준이 최신성 가지면서 사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의견을 수렴하는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표준 활동들은 지속적이고 순환적이며,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특징을 가진다. 즉, 표준 기획 후 개발활동이 수행되며, 개발 후 제정 활동이, 제정 후 준수 활동이, 그리고 유지관리 활동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유지관리 결과는 다시 기획 활동으로 연결되어 표준 활동이 계속 순환된다.


앞에서 살펴 본 공간정보 표준 이해당사자들 중, 정부는 모든 표준활동을 수행하지만 정부를 제외한 표준 이해당사자들은 표준 개발활동과 표준 준수 활동을 수행한다.

공간정보인프라에서 공간정보표준의 역할 편집

공간정보표준은 국토정보인프라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다른 공간정보인프라 구성요소들인 기본공간정보 구축체계와 유통체계와 상호작용한다. 즉, 공간정보표준은 공간정보인프라를 구축할 때 기본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준수할 공통 규칙을 개발하고 제정‧관리하는 활동, 활동의 결과, 활동에 필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이때 공간정보인프라에서 공간정보표준의 역할은 첫째, 기본공간정보를 공유하는데 필요한 공통 규칙을 개발하고 제정‧관리하는 활동이란 누가 언제 공간정보표준을 개발하는지(주체와 시기), 그리고 무엇을 표준화시켜야 하는지(표준화 대상)에 대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활동의 결과는 사용자 합의에 의해 생산된 공간정보표준을 의미한다. 공간정보표준에 대한 정의는 각 표준기구마다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토정보인프라 관점에서 공간정보표준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 정의에는 공간정보 국제 공식표준기구에서 권고하고 있는 공간정보표준의 유형을 기술하고, 이 유형에 기초하여 국토정보인프라 관점에서 개발되어야 할 표준 유형들을 기술할 것이다.

셋째, 활동을 위한 논리적 기반은 공간정보표준을 개발‧제정‧관리 활동에 필요한 기준이나 원칙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간정보표준 활동별 주체 선정기준, 책임업무 분담기준 등이 해당된다.


넷째, 활동을 위한 물리적 기반이란 활동의 결과인 공간정보표준과 결과를 생산하는 중간과정 산출물을 관리할 수 있는 표준업무 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표준업무 정보시스템은 공간정보표준과 활동, 활동산출물 등의 다양한 지식을 축척‧관리함으로서 공간정보표준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이상의 내용들을 수행하는 주체들을 기술한 추진체계와 추진 근거를 제공하는 법제도가 정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정보인프라 내에서 공간정보표준의 역할은 <그림 2>에서 처럼 공간정보인프라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공간정보표준의 상호관계에서도 잘 나타난다. 공간정보표준화를 위해서는 법제도가 제공되어야 하고, 표준화는 공간정보유통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함으로서 공유를 활성화시켜 산업과 행정효율화를 증가시킨다.



공간정보표준화 정책 편집

공간정보표준화 정책 정의 및 구성요소 편집

공간정보표준화는 1995년 제1차 NGIS사업부터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는데 정책 구성요소측면에서 변화되어온 과정을 살펴보면 <표>와 같다. 각 시기별 정책 구성요소의

       시기  |  제1차   |   제2차    |     제3차      제4차

정책구성요소 | (95-00) | (01-05) | (06-10) (11-15)


+---------+-----------+-----------+-----------

정책주체 | 정책영역 | 정책대상 | 정책목표 | 정책수단 | 기본방침 |


공간정보표준정책체계 편집

공간정보표준 정책체계는

공간정보표준화 정책평가 편집

한국 공간정보표준체계 편집

표준 목록(기준일 : 2011.11) 편집

국내 공간정보표준에는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 의해 운영되는 한국 국가표준인 한국산업표준(KS)과 구 정통부에서 운영하던 정보통신표준(KICS)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 의해 운영되는 단체표준인 TTA표준이 있다.

<그림> 공간정보표준 제정현황

 

국가표준(KS, KICS) : 공간정보표준 목록 편집

번호 규격명 표준이름
1 KSX1516 지리적인 점 위치를 위한 위도, 경도 및 고도의 규격표시
2 KSXISOTS19101-2 지리정보 - 참조모델 - 영상
3 KSXISOTS19104(KSX6801-4) 지리정보(GIS) - 제4부:용어
4 KSX6803(XOGC01-026r1) 지리정보 - 지오 코더 서비스 규격
5 KSXISO19101 지리정보 - 참조모델
6 KSXISO19103 지리정보 - 개념적 스키마 언어
7 KSXISO19105 지리정보 - 적합성 및 시험
8 KSXISO19106 지리정보 - 프로파일
9 KSXISO19107 지리정보 - 공간객체 스키마표준
10 KSXISO19108(XISODIS19108) 지리정보-시간개요(스키마)
11 KSXISO19109 지리정보 - 응용스키마 규칙
12 KSXISO19110 지리정보 - 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13 KSXISO19111(XISODIS19111) 지리정보-좌표에의한공간참조
14 KSXISO19112(XISO/DIS19112) 지리정보 - 지리 식별 인자에 의한 공간 참조
15 KSXISO19113(XISODIS19113) 지리정보 - 품질 원칙
16 KSXISO19114 지리정보 - 품질 평가 과정
17 KSXISO19115 지리정보 - 메타데이터
18 KSXISO19116 지리정보 - 위치결정 서비스
19 KSXISO19117 지리정보 - 묘화
20 KSXISO19118 지리정보 - 인코딩
21 KSXISO19119 지리정보 - 서비스
22 KSXISO19123(XISODIS19125-1) 지리정보-커버리지 기하 및 함수에 대한 스키마
23 KSXISO19125-1 지리정보 - 단순 피처(특징) 접근 - 제1부:공통 구조(아키텍처)
24 KSXISO19125-2 지리정보 - 단순 지형지물 연결 - 제2부: SQL 옵션
25 KSXISO19128 지리정보-웹맵 서버 인터페이스
26 KSXISO19131 지리 정보-데이터 제품 사양
27 KSXISO19132_2006 지리정보 - 위치기반서비스 - 참조모델
28 KSXISO19133(XISO19133_2006) 지리정보 - 위치기반서비스 - 트래킹 및 네비게이션
29 KSXISO19134 지리정보 - 위치기반 서비스 - 복합 교통수단 경로탐색 및 네비게이션
30 KSXISO19135 지리정보-지리정보항목등록절차
31 KSXISO19136_2006 지리정보 - 지리 마크업 언어
32 KSXISO19137 지리 정보-공간 스키마의 핵심 프로파일
33 KSXISO19141 지리 정보-이동 지형지물 스키마
34 KSXISOTS19138 지리정보-데이터 품질 측정기준
35 KSXISOTR19120(XISO/TR19120) 지리정보 - 기능 표준
36 KSXISOTR19121(XISO/TR19121) 지리정보 - 영상과 그리드 데이터
37 KS X 6801-1 지리 정보(GIS)-제1부: 참조모델
38 KS X 6801-14 지리 정보(GIS)-제14부: 품질 평가 과정
39 KICS.KO-10.0066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공통데이터 교환 포맷표준
40 KICS.KO-10.0067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국가기본도 표준 - 지형지물 및 속성 부호 버전1.0

기술기준(국토해양부 외) : 공간정보 기술기준 목록 편집

지도도식규칙, 국토지리정보원 부령

수치지형도작성작업규칙, 국토지리정보원 부령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지리정보보안관리규정,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훈령

국토해양부 국가공간정보 보안관리규정, 국토해양부 훈령

기상청 국가지리정보보안관리규정, 기상청 훈령

통계지리정보관리지침 통계청, 훈령

지식경제부 국가지리정보 보안관리규정, 지식경제부 훈령

농촌진흥청 지리정보보안관리 규정, 농촌진흥청 훈령

환경부 지리정보보안관리규정, 환경부 훈령

행정안전부 지리정보보안관리규정, 행정안전부 훈령

산림지리정보보안관리규정, 산림청 훈령

농림수산식품부 국가공간정보 보안관리규정, 농림수산식품부 훈령

해양관측 업무 표준화 규정, 국토해양부 예규

항만지하시설물의 공간정보 보안 및 운영관리지침, 국토해양부 예규

문화재청 국가지리정보 보안 관리 규정, 문화재청 예규

공공측량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기본지리정보 구축작업지침,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수치지도수정용 건설공사준공도면 작성에 관한 지침,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1/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1/10,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1/25,000 및 1/50,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1/250,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1/1,000,000 지형도 도식적용 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항공사진측량작업내규,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영상지도제작에관한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항공레이저측량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3차원국토공간정보구축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정밀1차기준점측량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정밀2차기준점측량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GPS에 의한 기준점측량 작업내규,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수준측량 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통합기준점측량 작업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기본지리정보구축을 위한 단일평면직각좌표계,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해상경계확인을 위한 수로측량 업무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수로측량업무규정 시행기준,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지리정보목록의 작성관리에관한지침, 국토해양부 고시

토지종합정보망도면데이터베이스구축지침, 국토해양부 고시

토지종합전산망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규정, 국토해양부 고시

지반조사성과 전산화 및 활용에 관한 지침, 국토해양부 고시

단체표준(TTA) : 공간정보표준 목록 편집

TTAS.IF-RFC2119 웹 피처 서비스

TTAS.IS-19109 지리정보 DB의 설계지침

TTAS.IS-19109_R1 지리정보 DB 설계지침 버전2.0

TTAS.IS-19110 지형지물(Feature)의 구성내용 및 정의방식 표준

TTAS.IS-19115 지리정보 관리용 메타데이터 표준

TTAS.KO-10.0082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국가기본도 표준 - 축척별 구분 및 데이터 형태 - 버전 1.0

TTAS.KO-10.0083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지하시설물도 표준(상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송유관, 난방부분) - 축척별 구분 및 데이터 형태

TTAS.KO-10.0083R1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지하시설물도 표준(상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송유관, 난방부분) - 축척별 구분 및 데이터 형태 버전1.1

TTAS.KO-10.0084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주제도 표준 - 국토이용계획도, 도시계획도 버전1.0

TTAS.KO-10.0084R1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주제도 표준 - 국토이용계획도, 도시계획도 버전1.1

TTAS.KO-10.0093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국가기본도 및 표준수치지도 표준 -지형지물 및 속성부호 버전1.1

TTAS.KO-10.0094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지하시설물도 표준(상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송유관, 난방부분) - 축척별 구 분 및 데이터 형태 버전1.0

TTAS.KO-10.0095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주제도 표준 - 행정구역도

TTAS.KO-10.0096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수치지도 통합표준 -국가기본도, 지하시설물도

TTAS.KO-10.0097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공통데이터 교환형식 표준 위상벡터 데이터 프로파일

TTAS.KO-10.0098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자료이력서(메타데이터) 잠정표준

TTAS.KO-10.0139 지리정보 유통 목록(메타데이터) 표준

TTAS.KO-10.0139/R1 지리정보 유통 목록(메타데이터) Ver.2

TTAS.KO-10.0156 지리정보 관련 용어표준

TTAS.KO-10.0157 지리정보 품질 표준

TTAS.KO-10.0158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지물 통합 표준

TTAS.KO-10.0159 GIS 개발지침

TTAS.KO-10.0160 Simple Feature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모델 표준

TTAS.KO-10.0176 모바일 GIS 서비스용 기능

TTAS.KO-10.0177 GIS 사업적용을 위한 표준적용 참조모델 및 프로파일

TTAS.KO-10.0177/R1 GIS 표준 참조모델 및 프로파일 Ver.2

TTAS.KO-10.0178 기존 GIS DB를 활용한 모바일 서비스용 GIS DB 구축 지침

TTAS.KO-10.0193 파일 기반 기본지리정보 교환

TTAS.KO-10.0194 그리드데이터 유통목록(메타데이터)

TTAS.KO-10.0195 GML 기반 기본지리정보 교환

TTAS.KO-10.0196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

TTAS.OG-Catalog 공간정보 유통을 위한 카탈로그 인터페이스 표준

TTAS.OG-GML3.0 GML3.0 기반 지리정보 엔코딩 표준

TTAS.OG-SFCORBA CORBA를 위한 개방형 GIS 인터페이스 표준 -단순지형지물사양

TTAS.OG-SFOLECOM OLE/COM을 위한 개방형 GIS 인터페이스 표준 -단순지형지물사양

TTAS.OG-SFSQL SQL을 위한 개방형 GIS 인터페이스 표준 단순지형지물 사양

TTAS.OG-WMS 공간정보 유통을 위한 웹 맵 서비스 표준

TTAS.OT-10.0021 교통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 모델

TTAS.OT-10.0022 기본지리정보 데이터 모델 설계지침

TTAS.OT-10.0023 수자원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 모델

TTAS.OT-10.0024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 모델

TTAS.OT-10.0025 행정경계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 모델

TTAS.OT-10.0045 COM을 위한 그리드 커버리지 인터페이스

TTAS.OT-10.0046 모바일 GIS용 음성정보 모델

TTAS.OT-10.0140 표준 및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GIS 구축 지침

TTAS.OT-10.0141 SLD(Styled Layer Descriptor) 적용 지침

TTAS.OT-10.0142 공간정보 유통을 위한 카탈로그 인터페이스 Ver.2

TTAK.KO-10.0177/R2 GIS 표준 참조모델 및 프로파일 Ver.2.1

TTAK.KO-10.0313 GPS 기반 단순 정보 교환 포맷

TTAK.KO-10.0314 수치표고 자료생산 절차

TTAK.OT-10.0125/R1 웹서비스 품질기술언어 2.0

TTAK.KO-10.0156/R1 공간정보 용어 Ver.1.1

TTAK.KO-10.0327 공간정보 권한 제어를 위한 저작권 표현 인터페이스: 기능 요구조건

TTAK.KO-10.0328 공간통계정보 데이터 제품사양 프로파일

TTAK.OT-10.0261 수치 정사 영상 생산절차

TTAK.OT-10.0262 수치지형도 Ver.2 묘화 사양

TTAK.OT-10.0273 웹 피처 서비스 Ver.1.1

TTAK.KO-10.0327/R1 공간정보 권한 제어를 위한 저작권 표현 인터페이스: 기능 요구조건

TTAK.KO-10.0329 센서 기반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모델

TTAK.KO-10.0177/R3 GIS 표준 참조 모델 및 프로파일 Ver. 3

TTAK.OT-10.0253 웹 맵 서비스 Ver.1.3 TTAK.KO-10.0382 지리 공간 정보 센서 데이터 스트림 처리 서비스: 아키텍처 및 기능 요구 조건 TTAK.KO-10.0326 격자형 자료 색채 묘화

표준운영(국토해양부)과 담당업무 편집

1.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정책관 공간정보기획과

  - 공간정보표준업무(기술표준원 업무를 제외한) 총괄
  - 관련사이트 : www.ngis.go.kr

2. 기술표준원

  - 국제공간정보표준기구(ISO/TC211) 공식대응 및 국가(KS)공간정보 표준 제.개정 관리
    <그림> 공간정보표준 업무별 담당부처(출처: 국토해양부. 2011. "국가공간정보표준화연구")
 

공간정보표준 활용(적용, implement not compliant) 현황 편집

공간정보사업 154건과 이사업을 수행하는 사업자 187명을 대상으로

"공간정보표준 154건 중 사업에 적용한 표준"을 조사하였다(출처: 국토해양부. 2011. 국가공간정보표준화연구).


공간정보표준 활용현황 조사대상 총 187명 사업자들 중에서 129명(67%)는 회신을 하지 않았고, 63명은 회신하였다.

63명 중, 58명(30%)의 사업자가 공간정보표준을 사업에 적용했다고 응답했고, 5명(3%)은 공간정보표준을 사업에 적용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설문조사에 회신한 63명 사업자만 고려한다면 92%(58명)가 공간정보표준을 적용했다고 응답한 것이다.

그리고 표준을 사업에 적용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8%(5명)는 그 사유로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 표준적용/구현방법을 몰라서
- 사업과 관련있는 표준이 없었기 때문에(전자해도 제작은 IHO의 S-57표준을 따라 제작하기 때문에)
- 사업 시작할 때 위의 표준이 있는지 몰랐음


<그림> 공간정보표준의 사업적용 현황

 

사업에는 표준보다 기술기준이 더 많이 사용됨

설문조사에 사용된 KS표준(38건), 기술기준(66건), TTA(50건)의 전체 수를 고려하면 KS표준이 이 상위랭크에 포함되는 비율은 11%, 기술기준이 18%, TTA표준이 16%이다. 즉, 기술기준이 KS표준이나 TTA표준보다 실무에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공간정보표준별로 공간정보사업에 가장 많이 적용된 표준은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로 총 17명의 사업자들이 이 표준을 사업에 적용했다고 응답하였다.

그 뒤로 15명의 사업자들이 ‘KS표준 지리적인 점 위치를 위한 위도, 경도 및 고도의 규격표시’와 ‘TTA표준 국가지리정보(NGIS)의 국가기본도 표준- 축척별 구분 및 데이터 형태- 버전 1.0’를 사업에 적용했다고 하였다.

공간정보표준을 가장 많이 적용한 사업 편집

공간정보표준을 가장 많이 적용한 사업은 국토지리정보원 지리정보과에서 발주한 국가기본도 수정(안양지구) 및 1/1000 수치지형도 수정제작(아산지구) 사업!

63명의 사업자 중에서 공간정보표준을 가장 많이 적용한 사업자는 한진정보통신으로 국토해양부(국토지리정보원 지리정보과)에서 발주한 국가기본도 수정(안양지구) 및 1/1000 수치지형도 수정제작(아산지구) 사업을 추진하면서 56건(참고 <그림 3-12>)의 공간정보표준을 적용했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많은 공간정보표준을 적용한 사업자는 범아엔지니어링으로 국토해양부(국토지리정보원 공간영상과)에서 발주한 「국가공간영상정보구축사업」을 수행하면서 53건의 공간정보표준을 적용했다고 응답했다. 세 번째로 많은 공간정보표준을 적용한 사업자는 위아(주)로 파주시가 발주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구축사업」을 수행하면서 33건의 공간정보표준을 적용했다고 응답했다.

사업에 가장 많이 적용된 공간정보표준 유형 : 지리정보자원관련 표준 편집

공간정보표준 분류별로 사업에 적용되는 현황을 살펴보면,

지리정보자원의 국가기본지리정보에 관한 공간정보표준이 18.85%로 가장 많이 공간정보사업에 적용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지리정보자원의 지리정보 메타데이터에 관한 공간정보표준이 12.46%,
기반개념의 개념 모델 및 표현 관련 표준이 12.14%로 공간정보표준에 많이 적용되었다.

<그림> 공간정보표준 분류별 사업적용 현황

 

지리정보자원분야 공간정보표준들 중 공간정보 사업에 가장 적용빈도가 높은 표준은 TTAS.IS-19109/R1(지리 정보 DB 설계지침 버전 2.0)와 KS X ISO 19115(지리정보 - 메타데이터)였다.

<그림> 지리정보자원분야 공간정보표준 사업적용 현황

 

주석 편집

  1. http://www.standard.go.kr/code02/user/0A/02/StdOutline_Intro.asp?OlapCode=STAU010201
  2. 일반적 표준정의(위키피디아, 2008): 제품이나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재료 등의 정량적, 혹은 정성적인 특성의 집합을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어의 정의, 설계나 건축 지침, 세부절차 양식, 혹은 제품이나 절차의 성능 기준 등
  3.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표준 정의: 표준이란 공공 이익의 증진을 목적으로 과학, 기술, 경험에 기반하여, 표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단체의 동의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가/지역/국제 수준의 표준기구에 의해 승인을 받은 기술적 상세서 혹은 이와 관련된 문서
  4. 유럽표준기구인 CEN의 표준 정의: 표준이란 미래세대의 기술에 대해 등대역할을 할 원칙을 제공하기 위해 호환성과 상호운용성을 부여하여 내린 결정
  5. 공간정보 표준의 다양한 정의
  6. 공간정보 국제표준기구(ISO/TC211)의 정의: 국제GIS표준기구인 ISO/TC211은 GIS표준을 ‘서로 다른 사용자(시스템)들 및 위치들 간에 지리정보를 교환․관리․획득․처리․분석․접근․묘사하는데 필요한 방법/툴/서비스들에 대한 명세’라고 정의
  7. GIS분야 국제단체표준기구인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정의: GIS표준을 ‘다양한 지리정보 데이터 저장매체, 서비스들, 및 어플리케이션들 간에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승인된 인터페이스 및 인코딩 명세서’라고 정의
  8. 국내 공간정보표준 연구의 정의: ‘GIS관련분야의 합의에 의해 작성되고, 국가의 승인을 통해 GIS목표에 대한 성취가 가능한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에 대한 규정’이라고 정의(국토해양부. 2007. 「2007년도 국가GIS지원연구-국가GIS표준체계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