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수치예보모델사업단
형태재단법인
창립2011년 2월 15일
본사 소재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라매로 5길 35 한국컴퓨터빌딩 4층 한국형수치예보모델사업단
웹사이트http://www.kiaps.org/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Korea Institute of Atmospheric Prediction Systems ; KIAPS)은 대한민국 지형에 적합하고, 보다 정확하며, 기상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을 통해 재해를 예방하며, 국민생활에 편의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기상산업의 발전을 이뤄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이다.

인사말

편집

대한민국 기상 미래의 창, (재)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이 엽니다.

정확한 기상예측은 각종 재해로부터 우리 국민들의 인적·물적 피해를 경감하고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할 국가적 손실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지형과 독특한 기상상황에 적합한 고유의 수치예보모델 개발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 사업단은 그 동안의 연구개발을 통해 성공적인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의 토대를 닦았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현대 과학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수치예보모델을 만들어 대한민국이 기상예측의 세계 거점으로 도약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연혁

편집
  • 2014년 10월 2014 KIAPS 국제 심포지엄 개최, 제 3회 국제 자문위원회 개최
  • 2014년 8월 사업단 조직개편(2본부 6팀 1실)
  • 2014년 3월 3일 제2대 사업단장 홍성유 박사 취임
  • 2013년 12월 기상청 단계평가 결과 '매우 우수'등급
  • 2013년 10월 28일~30일 2013 KIAPS 국제 심포지엄 개최
  • 2013년 4월 17일 ~ 19일 기상학회 50주년 기념 KIAPS 국제 포럼 및 워크숍
  • 2012년 11월 15일 제1회 국제 자문위원회 개최
  • 2012년 11월 12일~14일 2012 KIAPS 국제 심포지엄 개최
  • 2012년 7월 23일~27일 2012국제워크숍 및 여름학교 개최
  • 2012년 6월 14일 (재)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이전 개소식
  • 2012년 3월 16일 제1대 사업단장 김영준 박사 취임
  • 2011년 12월 6일~7일 수치예보 서비스 2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 개최
  • 2011년 4월 28일 사업단 현판식 개최
  • 2011년 2월 15일 재단법인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설립
  • 2011년 2월 14일 기상청의 재단설립 허가
  • 2011년 1월 26일 창립총회 개최
  • 2011년 1월 11일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준비단 출범

설립

편집
  • 기상법 제5조 및 제32조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8조
  • 민법 제32조(비영리법인의 설립과 허가)
  •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사업목표

편집
  • 수치모델분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세계 일류 수준의 기상기술 자립화 달성

주요업무

편집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과 자료동화시스템 개발, 평가, 보급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과 자료동화시스템의 현업운용을 위한 제반기술의 개발과 보급
  • 국제공동연구 등 수치예보 관련 제반 연구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과 응용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훈련
  • 전문가 교환 방문연구 및 초청?방문과학자 프로그램 운영
  • 국내외 관련 기관 및 기구와의 교류?협력
  • 서적?정기간행물?보고서?연구논문 등의 발간 및 보급
  • 학술 및 국제협력회의 등의 개최?참가

조직

편집
  • 국제자문위원회
  • 수치예보자문위원회
  • 개발본부
    • 수치모델팀
    • 자료동화팀
    • 체계구축팀
  • 예보본부
    • 예보검증팀
    • 응용분석팀
    • 전산운영팀
  • 연구지원실

사업목표

편집
  • 수치모델분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세계 일류 수준의 기상기술 자립화 달성

단계별 개발 계획

편집

* 1단계(2011-2013)기반구축 및 기초기술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을 위한 사업단 설립과 연구개발 체계 구축
    • 역학코어, 물리모수화,

자료동화 분야에서의 기초기술 개발

* 2단계(2014-2016)시험예보시스템 개발

    • 독자기술을 기반으로 한 핵심모듈(역학코어, 물리과정, 자료동화) 완성
    • 핵심모듈의 커플링을 통한 한국형수치예보시스템 시험버전 개발
    • 시험버전의 실시간 운영 및 현업 모델과의 성능 비교 수행

* 3단계(2017-2019)현업예보시스템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시스템 버전1.0 개발 및 준현업 운영
    • 준현업 검증을 통한 한국형 수치예보 시스템의 안정화
    • 한국형 수치예보 시스템의 국제화

수치예보시스템 구성요소

편집
  • 역학코어란?
    • 역학코어는 대기의 3차원 운동을 표현하는 유체 및 열역학 방정식들을 수치기법을 사용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을 말한다. 대기운동을 결정하는 힘은 수평 및 수직 이류, 코리올리 힘, 그리고 기압 경도력 등이다.
  • 물리과정이란?
    • 물리과정은 태양/지구 복사, 지면 및 경계층, 대류 및 구름미세물리의 과정들을 포함하며, 물리모듈은 이 과정들을 수학적 방정식으로 정립한 후 프로그램으로 표현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모델 격자규모보다 작은 규모의 대기 운동을 표현하는 수치기법을 모수화라고 한다.
  • 자료동화란?
    • 자료동화란 모델의 초기 입력 자료를 실제 대기에 가깝도록 만들어 주는 과정으로, 모델이 예측한 기상장과 위성자료를 포함한 각종 관측자료를 혼합하여 3차원의 모델 초기입력자료를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 모델체계란?
    • 모델체계는 수치예보시스템 전반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구성한다. 모델링 프레임워크는 수치예보모델을 구성하는 역학코어, 물리과정, 자료동화 등의 컴포넌트들이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결합하는 전산 소프트웨어등을 의미한다.
  • 검증분석이란?
    • 수치모델의 예측 결과를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수치모델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수치모델의 특성을 이해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수치모델을 개선할 수 있다. 사업단에서는 모듈 개발 및 모델 성능 검증에 활용할 수 있는 악기상, 계절, 중기예측 표준검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국내.외 협력

편집
  • 수치예보 기술은 범세계적인 과학연구들의 집합체이며, 과학자들의 지식 교류를 통해 발전해왔다. 사업단에서는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효율적 개발을 위해 국내 및 국제적 연구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기상 선진국의 수치모델 기관 및 국내외 수치예보 학자들과의 연구개발 결과 공유, 사업단 기술의 대외 전파 등 교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 국제협력 현황

한국기상청 | 호주기상청 | 일본기상청 | 일본해양지구과학기술원 중국기상청 | 독일기상청 |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 | 영국기상청 유럽중기예보센터 | 세계기상기구·세계날씨연구기구 | 프랑스기상청 미국해군연구소 | 미국해군대학원 | 미국플로리다주립대 해양대기예측연구소 해양지표대기연구소 | 미국대기해양청 | 미국항공우주국 | 미국메릴랜드대 캐나다환경부 | 미국콜로라도주립대 | 미국대기연구소...

바깥고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