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크롬 P450
헴 단백질의 종류
사이토크롬 P450(cytochromes P450, P450, CYPs) 또는 시토크롬 P450은 헴을 보조 인자로 함유하는 효소의 슈퍼패밀리로 대부분은 일산소화효소로 기능하지만 전적으로 일산소화효소로 기능하지는 않는다.[1] P450이라는 이름은 분광광도법에서 일산화 탄소와 결합한 효소가 450나노미터에서 피크를 보이는 것에서 따왔다.
Cytochrome P450 | |||||||||
---|---|---|---|---|---|---|---|---|---|
식별자 | |||||||||
상징 | p450 | ||||||||
Pfam | PF00067 | ||||||||
InterPro | IPR001128 | ||||||||
PROSITE | PDOC00081 | ||||||||
SCOP | 2cpp | ||||||||
SUPERFAMILY | 2cpp | ||||||||
OPM superfamily | 39 | ||||||||
OPM protein | 2bdm | ||||||||
CDD | cd00302 | ||||||||
|
사이토크롬 P450은 생명체의 모든 역과 계에서 발견된다. 동물, 식물, 균류, 고균, 세균 심지어 바이러스에서도 발견되지만,[2] 과학 연구에서 흔히 쓰이는 세균 종인 대장균에는 없다.[3][4] 알려진 사이토크롬 P450 단백질의 개수는 18,000개가 넘는다.[5]
명명법
편집분류
편집관련 수산화 효소
편집기작
편집구조
편집촉매 사이클
편집분광학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ytochrome P450”. 《InterPro》.
- ↑ Lamb DC, Lei L, Warrilow AG, Lepesheva GI, Mullins JG, Waterman MR, Kelly SL (2009). "The first virally encoded cytochrome P450". Journal of Virology 83 (16): 8266-9. PMID 19515774
- ↑ Roland Sigel; Sigel, Astrid; Sigel, Helmut (2007). 《The Ubiquitous Roles of Cytochrome P450 Proteins: Metal Ions in Life Sciences》. New York: Wiley. ISBN 0-470-01672-8.
- ↑ Danielson PB (December 2002). “The cytochrome P450 superfamily: biochemistry, evolution and drug metabolism in humans”. 《Curr. Drug Metab.》 3 (6): 561–97. doi:10.2174/1389200023337054. PMID 12369887.
- ↑ Nelson D. “Cytochrome P450 Homepage”. University of Tennessee. 2018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