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

새마을금고중앙회(-金庫中央會)는 새마을금고 업무의 지도감독, 공동이익 증진, 건전한 발전 도모를 위해 설립된 비영리 법인으로, 대한민국 행정안전부가 주무 감독기관이 된다.

중앙회 본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114길 20(삼성1동 164)에 위치하고 있다.

설립 근거

편집

주요 업무

편집
  • 지도 · 감독사업: 금고의 경영지원 및 감독 · 검사
  • 신용사업: 금고의 운용자금 조절(중앙은행으로서의 역할)
  • 공제사업: 금고 및 금고의 회원을 위한 공제사업
  • 예금자보호준비금 관리사업: 금고 회원의 예 · 적금 환급보장을 위한 예금자 보호기능
  • 교육 · 홍보사업: 금고 및 중앙회 임직원의 교육훈련 및 대외 홍보
  • 조사 · 연구사업: 금고 및 중앙회의 장기 발전을 위한 국내 · 외 조사 · 연구활동
  • 국제협력사업: 국제협동조합 기구와 우호 증진 및 협력강화 등

연혁

편집
  • 1963년 5월 향토개발사업으로 새마을금고 태동
  • 1973년 3월 새마을금고연합회 창립
  • 1982년 12월 새마을금고법 제정
  • 1983년 1월 새마을금고법 시행
  • 1989년 4월 중앙회관 강서구 화곡동으로 신축 이전
  • 1992년 6월 새마을금고임직원상조복지회 설립
  • 1994년 4월 국제협동조합연맹(I.C.A) 가입
  • 1996년 5월 새마을금고의 날 제정
  • 1997년 7월 중앙회관 강남구 삼성1동으로 이전
  • 1998년 1월 새마을금고법 개정
  • 2000년 5월 새마을금고연수원 개원(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 2001년 3월 삼성카드 제휴 신용카드 사업 실시
  • 2001년 9월 금융결제원 가입
  • 2011년 9월 새마을금고중앙회로 명칭 변경
  • 2012년 9월 새마을금고 총자산 100조 원 돌파
  • 2013년 5월 MG손해보험(구 그린손해보험) 출범
  • 2013년 5월 MG신용정보(구 한국신용평가) 출범
  • 2018년 12월 우리카드와 업무제휴 체결
  • 2021년 2월 M캐피탈(구 효성캐피탈) 출범

조직

편집
  • 총회(대의원회)
  • 이사회
  • 감사위원회

새마을금고중앙회장

편집
  • 경영전략실
  • 준법지원부문
  • 리스크관리부
  • 홍보실
  • 관리부
  • 감사실
  • 비서실
  • 관리이사
  • 기획관리실
  • 총무부
  • MG인재개발원
  • MG금융경제연구소
  • 전산정보부
  • 정보보호부
  • 감독이사
  • 경영지원부
  • 사업지원부
  • 검사부
  • 금융소비자보호실

전무이사

편집
  • 기획관리실
  • 총무부
  • MG인재개발원
  • MG금융경제연구소
  • 전산정보부
  • 정보보호부
  • 감독이사
  • 경영지원부
  • 사업지원부

검사부

편집
  • 금융소비자보호실
  • 신용공제사업 대표이사
  • 금융기획부
  • 자금운용부문
  • 여신금융부
  • 공제관리부
  • 공제마케팅부

지역본부

편집
  • 서울지역본부
  • 부산지역본부
  • 대구지역본부
  • 인천지역본부
  • 대전충남지역본부
  • 광주전남지역본부
  • 울산경남지역본부
  • 경기지역본부
  • 강원지역본부
  • 충북지역본부
  • 전북지역본부
  • 경북지역본부
  • 제주지역본부

소속기관

편집
  • 제주 새마을금고연수원, 천안 MG인재개발원, 새마을금고배드민턴단, 새마을금고지역희망나눔재단, 새마을금고복지회

예금자 보호

편집
  • 제3조(국가 등의 협력의무)
    • ①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금고나 중앙회가 행하는 사업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하며, 국공유재산을 금고나 중앙회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대여하거나 사용·수익하게 할 수 있다.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금고의 원활한 발전을 위하여 예산의 범위에서 중앙회에 보조금을 내줄 수 있다.
  • 제71조(예금자보호준비금 설치 등)
    • ①중앙회는 금고의 회원(제30조에 따른 비회원을 포함한다)이 납입한 예탁금, 적금, 그 밖의 수입금과 중앙회의 공제금, 자기앞수표를 결제하기 위한 별단예탁금에 대한 환급(還給)을 보장하며 그 회원의 재산을 보호하고 금고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중앙회에 예금자보호준비금(이하 “준비금”이라 한다)을 설치·운영한다.
    • ②금고 및 중앙회는 제1항에 따른 준비금에 가입하여야 한다.
    • ③중앙회는 준비금의 운용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결정하기 위하여 준비금관리위원회를 두며, 준비금의 운용과 준비금관리위원회의 구성·운영 등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④회장은 금고가 예탁금, 적금, 그 밖의 수입금을 지급할 수 없거나 중앙회가 공제금, 자기앞수표를 지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준비금관리위원회가 결정하는 바에 따라 그 금고 또는 중앙회를 갈음하여 변제할 수 있다.
    • ⑤제4항에 관하여는 「민법」 제482조부터 제485조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 제46조(준비금의 운용)
    • ① 법 제71조제1항의 준비금은 특별회계로 운용한다.
    • ② 준비금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1. 해산등기를 마친 금고가 예탁금, 적금, 그 밖의 수입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에 그 예탁금, 적금, 그 밖의 수입금의 변제 또는 해산등기를 마친 중앙회가 중앙회 공제금 및 별단예탁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에 중앙회 공제금 및 별단예탁금의 변제
  2. 금고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재무구조 개선이나 금고의 예탁금, 적금 및 그 밖의 수입금의 환급이 필요한 금고에 대한 자금의 대출 또는 지원
  3. 금고 간 합병을 추진하거나 합병을 한 경우에 금고의 정상운영에 필요한 자금의 대출 또는 지원
  4. 법 제80조의2에 따른 계약이전을 위한 자금지원
  5. 그 밖의 준비금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경비
    • ③ 제2항제1호에 따른 대위변제의 범위는 예탁금, 적금, 그 밖의 수입금 및 중앙회 공제금 및 별단예탁금의 원금과 그에 대한 이자로 하며, 동일인에 대한 대위변제의 한도는 《5천만원》으로 한다. 이 경우 이자는 원금에 관리위원회가 정하는 이자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 ④ 제2항에 따른 준비금의 사용방법이나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관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회장이 정한다.
    • ⑤ 준비금의 여유자금은 제33조에 따라 운용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새마을금고법 제54조(목적과 설립) ① 금고의 업무를 지도·감독하며 그 공동 이익의 증진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금고를 구성원으로 하는 중앙회를 둔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