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곡동(禾谷洞)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법정동이다. 면적 5.67km2, 인구 20만 5842명(2008)이다. 동쪽은 목동과 접하고, 서쪽은 우장산을 경계로 하여 발산동과 접하고 있다. 북쪽은 등촌동과 접하며, 남쪽은 양천구 신월동, 신정동과 마주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제1동
禾谷第1洞
Hwagok 1(il)-dong
화곡제1동주민센터
면적1.12 km2
인구51,915 명(2022년 2월)
인구 밀도46,400 명/km2
세대21,393가구
법정동화곡동
통·리·반52통 407반
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강서구 곰달래로 79
웹사이트화곡1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제2동
禾谷第2洞
Hwagok 2(i)-dong
화곡제2동주민센터
면적0.47 km2
인구17,760 명(2022년 2월)
인구 밀도38,000 명/km2
세대8,094가구
법정동화곡동
통·리·반20통 157반
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강서구 곰달래로37길 13
웹사이트화곡2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제3동
禾谷第3洞
Hwagok 3(sam)-dong
화곡제3동주민센터
면적0.51 km2
인구21,592 명(2022년 2월)
인구 밀도42,000 명/km2
세대9,048가구
법정동화곡동
통·리·반21통 150반
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33가길 17
웹사이트화곡3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제4동
禾谷第4洞
Hwagok 4(sa)-dong
화곡제4동주민센터
면적0.82 km2
인구20,484 명(2022년 2월)
인구 밀도25,000 명/km2
세대9,673가구
법정동화곡동
통·리·반24통 169반
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강서구 곰달래로57가길 26
웹사이트화곡4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본동
禾谷本洞
Hwagokbon-dong
화곡본동주민센터
면적1.11 km2
인구34,233 명(2022년 2월)
인구 밀도30,800 명/km2
세대14,791가구
법정동화곡동
통·리·반36통 258반
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강서구 초록마을로5길 29
웹사이트화곡본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제6동
禾谷第6洞
Hwagok 6(yuk)-dong
화곡제6동주민센터
면적1.11 km2
인구24,952 명(2022년 2월)
인구 밀도22,500 명/km2
세대9,934가구
법정동화곡동
통·리·반24통 173반
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312
웹사이트화곡6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제8동
禾谷第8洞
Hwagok 8(pal)-dong
화곡제8동주민센터
면적0.53 km2
인구24,384 명(2022년 2월)
인구 밀도46,000 명/km2
세대10,821가구
법정동화곡동
통·리·반24통 168반
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강서구 곰달래로25길 45
웹사이트화곡8동 주민센터

개요 편집

구 화곡리가 오늘날에는 강서구의 중심이 되었으며 9개동으로 확대되었으나 정작 옛날의 능동(菱洞), 반곡리(盤谷里), 역촌리(驛村里), 화곡리(禾谷里)가 오늘날의 화곡동이 된 것으로 능동은 오늘날 화곡4동이며 반곡리는 화곡3동, 역촌리는 화곡6 동, 화곡리는 화곡5동이었으며 화곡2동과 8동은 능꼴을 중심으로 한 조그만 마을이었고 화곡본동 역시 역촌리를 바라 보는 야산의 3가구가 살았던 조옥동(일명 초록동)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화곡1동은 사람이 거주한 기록이 없는 야산으로써 화곡8동의 더부리 마을에서 곰달래(고음월리)로 넘어가는 고갯길일 뿐이었다. 1963년 서울시에서 늘어나는 강북 인구를 강남으로 분산유치시키기 위해 화곡동 10만단지 주택조성사업을 계획하였다. 이 계획이 확대되어 1968년에 30만단지로 변경되면서 산 전체에 주택들이 들어섬으로써 오늘날 화곡1동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1]

교육 편집

초등학교 편집

중학교 편집

고등학교 편집

대학교 편집

교통 편집

주거 편집

아파트 편집

각주 편집

  1. 화곡동의 유래 Archived 2013년 12월 31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6월 15일 확인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