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요금소(서울 料金所, Seoul TG)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240 (궁내동)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 본선 상의 요금소이다. 요금소 인근에 한국도로공사 교통센터와 서울하이패스센터가 있다.

서울 요금소 (요금소 간판 변경 전 및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전)

경부고속도로 개통 당시에는 요금소 명칭처럼 양재 나들목 인근인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12길 73-71 (원지동)에 요금소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요금소에 매표 박스가 7개에 불과해 상습 정체를 빚자 1987년 10월 5일에 서울 기점에서 20.4km 떨어진 곳(현 위치)으로 이설하면서 매표 박스를 19개로 확장했다. 요금소가 이설되면서 이 곳에서 서울까지의 경부고속도로 구간이 무료가 되었고 당시 고속도로 통행료가 300원 ~ 800원까지 인하가 되었다.[1]

옛 서울 요금소 부지에는 등산·낚시·관광 등을 떠나는 사람이 함께 모여 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휴게소가 건설되었는데, 그 휴게소가 1988년 6월 24일에 개장한 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이다.[2]

2011년 5월 26일 디자인서울 정책 일환으로 요금소 건물이 리모델링되면서 요금소 간판이 한글 자음과 모음이 적힌 서울서체 간판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12월 요금소 내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이 중 서울방향은 2019년 12월 27일에, 부산방향은 2019년 12월 30일에 도입되었다.

명칭이 순수 한국어인 몇안되는 대한민국 고속도로 요금소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연혁

편집
  • 1968년 12월 21일 : 경부고속도로 서울 ~ 수원 구간 개통에 따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에서 영업 개시[3]
  • 1985년 2월 19일 : 요금소 확장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강남구 원지동 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1987년 10월 5일 : 현 위치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으로 이설. 이로 인해 판교 나들목의 판교영업소 폐지 및 경부고속도로 통행요금 기산점을 판교 나들목으로 변경하고 경부고속도로 시점 ~ 판교 나들목 구간을 무료화.[5]
  • 2011년 5월 26일 : 디자인서울 정책 일환으로 요금소 간판이 서울서체 간판으로 변경[6]
  • 2019년 12월 27일 : 서울방향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7]
  • 2019년 12월 30일 : 부산방향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7]

교통량 정보

편집
요금소 통행량 (대/일) 각주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서울 (폐쇄식) 95,622 97,127 100,765 100,765 100,669 101,910 102,294 98,366 93,634 91,488 [8]
요금소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서울 (폐쇄식) 94,981 98,789 101,670 105,639 107,001 109,433 107,160 108,132 107,34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서울 방향(상행선)

편집
  • 하이패스 고속 진출차로 : 1,2,3,4차로
  • 하이패스 일반 진출차로 : 15,16,17차로
  • 일반 진출차로 : 5,6,7,8,9,10,11,12,13,14차로

부산 방향(하행선)

편집
  • 하이패스 고속 진입차로 : 1,2,3,4차로
  • 하이패스 일반 진입차로 : 8,12차로
  • 일반 진입차로 : 5,6,7,8,9,10,11차로

관련 사항

편집
  • 교통량이 굉장히 많은 톨게이트이며,지방으로 가거나 서울로 오는 차량들이 굉장히 많아 서울TG는 항시 빽빽하게 붐빈다.그나마 새벽이나 밤에는 좀 덜한편이다.
  • 하행편의 경우 요금소 바로 옆에 하이패스센터가 자리하고 있으며 진입 전에 도로가 분기되어 들어간다.
  • 서울 요금소 지하로는 수서평택고속선이 지나간다.
  • 서울 요금소를 통과하기 전 오른쪽을 보면 그린팩토리를 볼 수 있다. 또한 두산그룹이 2021년 1월, 신사옥 분당 두산타워를 완공함에 따라 서울 요금소 바로 옆에 두산타워가 우뚝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해당 위치 바로 오른쪽으로 분당수서로가 같이 지나가며,오른쪽으로 더 가면 300m 정도 거리에 분당선신분당선 정자역이 있다.
  • 전국에서 가장 많은 차로를 가지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