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타마 붓다의 보리수

(석가모니의 보리수에서 넘어옴)

석가모니의 보리수는 불교의 창시자 석가모니가 나무 뿌리에 앉아 깨달음을 얻은 보리수를 말한다.

역사

편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보리수인 스리 마하 보리수는 기원전 3세기 인도 아쇼카 왕의 딸 상가미타가 인도 부다가야의 보리수 가지를 가져와 옮겨 심은 것이다. 이 보리수는 부처가 정각(正覺)을 이룬 나무로 신성시된다. 수령(樹齡)이 2,200년이 넘는 이 보리수는 잎은 무성하지만 줄기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가늘다.보리수 오른편에는 40개씩의 돌기둥이 40줄로 늘어서 있는 ‘로하 파사다’ 절터가 있어 그 옛날의 영화를 보여준다. 그 너머로는 높이가 50m에 이르는 루완웰 리 대탑이 하늘을 찌를 듯 위용을 드러내는데, 이 탑은 338개의 코끼리 조각품으로 둘러싸여 있어 이채롭기 그지없다.

대한민국

편집

2014년 1월 16일, 박근혜 대통령이 인도 뉴델리를 방문,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한-인도 정상회담을 했으며, 인도 정부가 석가모니 보리수를 기증해,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온실에 심었다. 40 m 높이까지 자라는데, 한국의 기후에는 맞지 않아서 온실이 필요하다. 보드가야 보리수나무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득도한 보리수나무의 씨앗을 채취해 묘목으로 키운 것으로 태국과 스리랑카에 이어 한국에 세 번째로 선물했다. 인도 정부는 이 인도보리수가 석가모니 부처의 현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 함부로 나무를 증식하는 데 반대한다.[1]

2019년 2월 22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한국을 국빈방문해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인도 정부는 김해시에 석가모니 보리수를 기증했다. 인도 정부는 지금까지 태국, 스리랑카 등 7개 국가에 석가모니 보리수 8본을 기증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 2014년 한-인도 정상회담의 우호 상징목으로 기증받았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석가모니 보리수나무 국내에도 두 그루…어디 있을까, 중앙일보, 2018-05-21
  2. 석가모니 보리수 김해에 뿌리 내린다, 파이낸셜뉴스, 2019-02-22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스리 마하 소리수"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