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

성씨(姓氏, 영어: surname, family name, last name)는 성(姓)과 씨(氏)의 합성어로, 고대 중국 이후에 성과 씨의 개념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성과 씨의 구분이 없어지고 출생의 계통을 나타내는 겨레붙이의 칭호이다. 성씨는 단계혈연집단의 한 명칭이며, 혈족을 구분하는 기준의 하나이다.
국가별 현황편집
대한민국의 성씨는 여성이 혼인해도 아버지의 성씨를 변경하지 않는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5,582개의 성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 현재는 대한민국에서 관습적으로 자녀가 아버지의 성씨를 따르나, 법률로는 아버지나 어머니의 성씨를 선택하여 따를 수 있고,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양육권을 가진 어머니가 재혼할 경우 새아버지의 성씨로 바꿀 수도 있다.
영국을 중심으로 한 영어권 국가(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영국 등)나 일본은 지역을 가리키거나 직업을 바탕으로 성씨를 가지는 경우가 다수이고, 라이언 긱스와 같이 부모의 이혼과 재혼으로 성씨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
미얀마, 몽골, 말레이시아 등 일부 국가에서는 성씨를 아예 사용하지 않으며, 주로 스페인어권이나 포르투갈어권의 국가에서는 부계성과 모계성을 모두 사용한다. 다른 나라 성씨 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하는 나라도 일부 있다.
혼인 성씨가 법으로 강제되어 결혼 후 여성이 남편의 성씨로 변경해야 하는 나라는 오스트리아, 브라질, 일본 등이고, 미국은 혼인 성씨의 사용을 권장하지만 혼인 전 성씨의 사용이 가능하고, 러시아는 당사자들의 협의에 따라 성씨를 결정한다.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이 글은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