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검사(finger tapping test,FTT) 또는 두드리기 비율(tapping rate)는 신경근 시스템의 무결성을 평가하고 운동 제어를 검사하기 위해 제공되는 심리 테스트중 하나이다. 손가락 두드리기 테스트(FTT)는 관성 및 세그먼트 간 상호 작용이 매우 작아서 운동에 대한 생체 역학적 영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순수한 신경학적으로 구동되는 운동 과제로 평가될수있는 장점이 있다.[1] 손가락 두드리기에는 시간, 공간 진폭 및 주파수의 세 가지 중요한 기능이 포함한다.[2] 연구에 따르면 10 초 간격 당 평균 탭 횟수는 경미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을 구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3][4][5][6] 오랜동안 훈련된 권투 선수와 공을 자주 헤딩한 축구선수 그리고 경미한 외상성 뇌 손상을 입은 사람의 한 달 후에서 FTT의 두드리기 비율(tapping rate)은 더 낮다라고 보고된다.[4][7]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및 두드리기 비율은 또한 초기 외상성 뇌 손상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4] 경미하고 중등도의 외상성 뇌 손상으로부터 회복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8]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1. Collyer CE, Broadbent HA, Church RM (1994). “Preferred rates of repetitive tapping and categorical time produc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55 (4): 443–453. doi:10.3758/bf03205301. PMID 8036123. 
  2. Liu W, Forrester L, Whitall J (2006). “A note on time-frequency analysis of finger tapping”. 《Journal of Motor Behavior》 38 (1): 18–28. doi:10.3200/JMBR.38.1.18-28. PMC 2670435. PMID 16436360. 
  3. Geldmacher DS, Hills EC (1997). “Effect of stimulus number, target-to-distractor ratio, and motor speed on visual spatial search quality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1 (1): 59–66. doi:10.1080/026990597123818. 
  4. Haaland KY, Temkin N, Randahl G, Dikmen S (1994). “Recovery of simple motor skills after head injury”.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6: 448–456. doi:10.1080/01688639408402655. 
  5. Hills EC, Geldmacher DS (1998). “The effect of character and array type on visual spatial search acuity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2: 69–76. doi:10.1080/026990598122872. 
  6. Prigatano GP, Borgaro SR (2003). “Qualitative features of finger movement during the Halstead finger oscillation test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9: 128–133. doi:10.1017/s1355617703000134. 
  7. Murelius O, Haglund Y (1991). “Does Swedish amateur boxing lead to chronic brain damage? A retrospective neuropsychological study”.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83: 9–13. doi:10.1111/j.1600-0404.1991.tb03952.x. 
  8. Dikmen SS, Machamer JE, Winn HR, Temkin NR (1995). “Neuropsychological outcome at 1-year post head injury”. 《Neuropsychology》 9: 80–90. doi:10.1037/0894-4105.9.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