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톱
손가락과 발가락에 각각 달려 있는 반투명한 케라틴 재질


손발톱은 손가락과 발가락에 각각 달려 있는 반투명한 케라틴 재질이다. 문화어에서는 손발톱을 통틀어 간단히 톱으로 부른다.[1]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별한 생해나 장애가 없는 한 계속 자라며 영양 공급에 따라 그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기도 한다. 손발톱 밑의 피부에 멍이 들면, 애초에 멍은 시간이 지나며 사라지지만 손발톱이 자라면서 멍도 함께 밀려나며 사라진다. 그냥 좀 아플 뿐. 매니큐어나 색소를 발라 색을 입히기도 한다. 손톱을 꾸미는 네일아트도 있다.
또한 손톱반달은 확실하게 나와있는 사람이 있지만 그 길이가 짧거나 없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문제가 되거나 병은 아니다. 여기서부터 손톱이 자라난다.
구성편집
손톱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조갑(한국 한자: 爪甲, 조판(한국 한자: 爪板), 손톱판)
- 조구(한국 한자: 爪溝, 조곽(한국 한자: 爪郭))
- 조반월(한국 한자: 爪半月, 조근(한국 한자: 爪根), 조모(한국 한자: 爪母), 속손톱, 손톱반달)
- 조상피(한국 한자: 爪上皮, 상조피(한국 한자: 上爪皮), 각피(한국 한자: 角皮))
또한 손톱은 피부이다.
생장편집
손발톱은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름에 더 빨리 자란다.[2]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손발톱은 사망한 이후에는 자라지 않는다. 살갗이 탈수되어 팽팽하게 되면서 손발톱과 머리카락이 자라나게 된다.[3]
사진첩편집
전설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한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9년 7월)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톱: 네이버 국어사전”. 201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 Hunter, J. A. A., Savin, J., & Dahl, M. V. (2002). Clinical dermatology. Malden, Mass: Blackwell Science. p. 173. ISBN 0632059168
- ↑ http://www.bmj.com/cgi/content/full/335/7633/1288
- ↑ “[김상회 풍경소리]부모에게 받은 몸 훼손 않는 것도 효의 하나”. 세계일보 생활/문화. 2009년 8월 14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