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시헌

손시헌(孫時憲[1], 1980년 10월 19일 ~ )은 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내야수이자, 전 KBO 리그 창원 다이노스의 수비코치이다.
| ||||
![]() 두산 베어스 시절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0년 10월 19일 | (42세)|||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신장 | 172 cm | |||
체중 | 73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유격수, 3루수 | |||
프로 입단 연도 | 2003년 | |||
드래프트 순위 | 지명없음(육성선수 입단) | |||
첫 출장 | KBO / 2003년 7월 1일 잠실 대 삼성전 | |||
마지막 경기 | KBO / 2019년 10월 1일 잠실 대 두산전 | |||
획득 타이틀 |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WBC | 2013년 대만 | |||
아시안게임 | 2010년 광저우 | |||
월드컵 | 2007년 대만 | |||
선수 시절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서울화곡초등학교, 선린중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의 동기였던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 권오준과 동기생으로 1999년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야구부 창단 멤버였다.
두산 베어스 시절편집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졸업 후 지명을 받지 못하고 2003년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그 해 강한 어깨와 매끄러운 수비를 인정받아 그 해 7월 1일 1군으로 정식 승격된 후, 같은 날 삼성 라이온즈전의 경기부터 출전했고 59경기에 출전해 2할대 타율을 기록했다.[2] 이어 팀의 주전 유격수였던 김민호가 그 해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 후 2004년부터 주전으로 자리잡아 그 해 122경기에 출전했다. 2005년에는 골든 글러브 유격수 부문 투표에서 326표 중 260표를 받아 장종훈, 박경완에 이어 신고선수 출신으로는 3번째 골든 글러브 수상자가 됐다.[2]
상무 야구단 시절편집
2007년에 입단하였다.
두산 베어스 복귀편집
2008년에 복귀하였다. 2009 시즌 후 김동주의 뒤를 이어 주장으로 선임됐다.[3] 그는 2005년 말 상무 야구단에서 제대하자마자 현대 유니콘스에서 방출된 선린정보산업고 동기 외야수 이종욱을 두산 베어스에 소개해, 이종욱의 부활에 도움을 줬다. 광저우 아시안 게임을 통해 데뷔 첫 국가대표팀에 발탁돼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13년 WBC편집
주로 유격수로 출전했다.
- 기록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비고 |
---|---|---|---|---|---|---|---|---|---|---|---|---|---|---|---|---|
0.000 | 3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013년 삼성 라이온즈와의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 4타수 3안타, 1홈런, 2타점, 1득점을 기록했다. 신용운을 상대로 홈런을 쳐 냈고 이 홈런은 포스트시즌 첫 홈런이었다.[4]
NC 다이노스 시절편집
2014년 시즌편집
2013 시즌 후 FA를 선언했으나 협상이 결렬됐다. 2013년 11월 17일 이종욱과 함께 두산 베어스의 전 감독이었던 김경문이 있는 팀에 4년 총액 30억원(계약금 12억원, 연봉 4억원, 옵션 2억원)의 조건으로 이적했다.[5] 2014년 4월 15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크리스 옥스프링을 상대로 시즌 2호 홈런을 기록했다. 이 홈런은 팀 창단 100번째 홈런이었다.[6] 5월 29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역대 107번째 10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7] 8월 6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김종호의 땅볼 타구에 홈으로 파고들다 상대 포수 강민호와 부딪혀 오른쪽 무릎 내측 인대가 부분 파열됐다. 이에 따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8] 인천 아시안 게임 이후 10월 2일 58일만에 1군에 콜업됐다.[9] 이종욱과 함께 센터 라인 수비 강화에 기여했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준플레이오프 4경기에서 타율 0.300, 3안타를 기록했다.
- 기록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비고 |
---|---|---|---|---|---|---|---|---|---|---|---|---|---|---|---|---|
0.300 | 4 | 10 | 0 | 3 | 1 | 0 | 0 | 0 | 0 | 0 | 1 | 1 | 1 | 0 | 1 |
2015년 시즌편집
2015년 시즌 개막 후 10경기 48타석 연속 무안타를 기록하며 유지훤의 47타석 연속 무안타 기록을 갱신하는 불명예 기록을 남겼다. 4월 11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채병용을 상대로 10경기만에 안타를 기록했다.[10] 5월 31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역대 87번째 통산 11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11] 전반기에 타격 부진에 시달리며 79경기에서 49안타, 타율 0.201, 6홈런, 22득점, 12타점, 16볼넷, 37삼진을 기록했다. 8월 8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임준혁을 상대로 시즌 7호 홈런을 기록했다.[12] 8월 21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윤성환을 상대로 연타석 홈런을 쳐 냈다. 이 홈런은 시즌 8, 9호 홈런이었고 이는 그의 프로 첫 연타석 홈런이었다.[13] 후반기에는 61경기에서 59안타, 타율 0.301, 7홈런, 155득점, 66타점, 20볼넷, 29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홈런은 개인 시즌 최다 홈런이었다.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 5경기에서 타율 0.444, 8안타 3타점을 기록해 타자 중 가장 뛰어난 타격을 보였다. 또한, 3차전에서 박민우가 결정적인 실책을 하자 "결정적인 끝내기 실책 나 역시 했었다. 하지만 다음 플레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조언을 하며 내야 수비에도 기여했다.[14]
- 기록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비고 |
---|---|---|---|---|---|---|---|---|---|---|---|---|---|---|---|---|
0.444 | 5 | 18 | 3 | 8 | 3 | 0 | 0 | 3 | 0 | 0 | 1 | 0 | 4 | 0 | 1 |
2016년 시즌편집
4월 13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역대 73번째 통산 12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15] 5월 1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레일리를 상대로 역대 76번째 통산 1000안타를 기록했다. 그는 경기 후 "신인 시절 때부터 지켜봐 주시고 기회를 주신 감독님과 코칭스태프, 동료선수들에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1000안타 달성 소감을 밝혔다.[16]8월 5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 카스티요의 150km 직구에 오른쪽 옆구리를 맞았다. 정밀검사 결과 후방 갈비뼈가 골절된 것으로 나타났고, 재활에는 4주에서 6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17]
2017년 시즌편집
2018년 시즌편집
2019년 시즌편집
4월 7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KBO리그 43번째 통산 1,5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18]
6월 8일 창원NC파크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9회말 만루에서 고영창을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다. NC 다이노스는 5-4로 승리했다.[19]
2019년 시즌 68경기 타율 0.267 36안타 2홈런 10타점 17득점을 기록했다.
201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15년 간 1559경기에서 타율 0.272, 70홈런 550타점 546득점 31도루를 기록했다.[20]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별명편집
- 김동주의 별명인 '두목곰'을 따 온 '부두목곰'이다.
경력편집
수상편집
국가대표 경력편집
- 2010년 광저우아시안게임 대표
- 2013년 WBC 대표
출신 학교편집
에피소드편집
- 당시 두산 베어스 투수였던 리오스가 최고의 유격수로 여겼던 그가 군 병역 문제가 걸려 있는 도하 아시안 게임 대표로 선발되지 못하자 기자들에게 했던 말이다. 그 후 대표팀 차출 문제에 대해 불만을 가졌던 그의 팬들이 'Why not 손시현'이라는 오자가 있는 현수막을 제작해 화제가 됐다. 그리고 프로 야구 중계에서 'why? not 손시헌'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당시 감독이었던 김재박은 그를 엔트리에 넣지 않았고, 그 때 외야수 추신수도 엔트리에 넣지 않아 크게 논란이 일었다. 결국 2007년 상무 야구단에 입대했다. 그 해 아시안 게임에서 야구 대표팀에게 도하의 참극이 일어나고 말았다. 제대한 이후 기량이 더 발전해 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유격수로 선발돼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2004년 이재영, 이재우, 채상병 등과 함께 병역 회피 혐의를 받았으나 2005년 10월 13일, 대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21] 2006년 시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했다. 그가 상무 야구단에 있는 동안 이대수가 2007년 SK 와이번스에서 나주환과의 트레이드로 두산 베어스에 와서 주전 유격수를 맡았다. 2009년에 복귀해 다시 주전 자리를 잡았다.[22]
- 2014년 12월 9일 모교인 동의대학교에 대학발전기금 2,000만원을 기탁했다. 그는“후배들이 더욱 잘할 수 있도록 동의대학교 스포츠 재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고 전했다.[23]
- 2015년 2월 16일 둘째를 득남했다. 그는“1차 캠프를 무사히 마친 시점에 고맙게도 둘째가 세상의 빛을 보았다. 기분 좋은 마음으로 2차 캠프를 시작하게 됐다. 그라운드와 가정에서 더욱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이겠다”고 말했다.[24]
응원가편집
마룬 5의 lucky strike를 따서 만들었다.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장타율 | 출루율 | 실책 |
---|---|---|---|---|---|---|---|---|---|---|---|---|---|---|---|---|---|---|---|---|
2003 | 두산 | 0.220 | 59 | 141 | 16 | 31 | 4 | 0 | 1 | 38 | 6 | 2 | 0 | 6 | 1 | 23 | 10 | 0.270 | 0.257 | 7 |
2004 | 0.231 | 122 | 347 | 45 | 80 | 20 | 2 | 2 | 110 | 39 | 0 | 2 | 30 | 6 | 56 | 9 | 0.317 | 0.298 | 13 | |
2005 | 0.276 | 126 | 416 | 59 | 115 | 18 | 5 | 4 | 155 | 60 | 2 | 5 | 48 | 4 | 59 | 7 | 0.373 | 0.352 | 14 | |
2006 | 0.267 | 126 | 404 | 29 | 108 | 16 | 4 | 2 | 138 | 34 | 2 | 3 | 35 | 10 | 48 | 5 | 0.342 | 0.339 | 15 | |
2009 | 0.289 | 121 | 412 | 56 | 119 | 22 | 3 | 11 | 180 | 59 | 6 | 3 | 42 | 12 | 67 | 5 | 0.437 | 0.369 | 10 | |
2010 | 0.273 | 128 | 433 | 51 | 118 | 19 | 1 | 8 | 163 | 62 | 0 | 2 | 46 | 7 | 64 | 12 | 0.376 | 0.350 | 14 | |
2011 | 0.282 | 92 | 298 | 39 | 84 | 10 | 1 | 4 | 108 | 28 | 2 | 1 | 37 | 9 | 44 | 9 | 0.362 | 0.378 | 6 | |
2012 | 0.246 | 86 | 272 | 24 | 67 | 11 | 1 | 5 | 95 | 31 | 4 | 2 | 21 | 4 | 40 | 12 | 0.349 | 0.306 | 5 | |
2013 | 0.252 | 93 | 234 | 35 | 59 | 14 | 1 | 1 | 78 | 26 | 3 | 1 | 21 | 6 | 38 | 5 | 0.333 | 0.328 | 4 | |
2014 | NC | 0.293 | 97 | 307 | 39 | 90 | 20 | 1 | 5 | 127 | 39 | 2 | 1 | 34 | 7 | 53 | 10 | 0.414 | 0.368 | 6 |
2015 | 0.245 | 140 | 440 | 56 | 108 | 24 | 2 | 13 | 175 | 58 | 3 | 2 | 36 | 14 | 66 | 16 | 0.398 | 0.319 | 13 | |
2016 | 0.305 | 110 | 341 | 36 | 104 | 21 | 2 | 5 | 144 | 39 | 1 | 0 | 38 | 13 | 48 | 13 | 0.422 | 0.394 | 13 | |
2017 | 0.350 | 124 | 349 | 32 | 122 | 17 | 1 | 5 | 156 | 45 | 1 | 0 | 16 | 8 | 44 | 5 | 0.447 | 0.386 | 10 | |
2018 | 0.188 | 67 | 128 | 12 | 24 | 4 | 0 | 2 | 34 | 14 | 2 | 0 | 15 | 5 | 20 | 3 | 0.266 | 0.295 | 3 | |
2019 | 0.267 | 68 | 135 | 17 | 36 | 4 | 1 | 2 | 48 | 10 | 1 | 2 | 5 | 5 | 23 | 2 | 0.356 | 0.317 | 4 | |
통산 | 15시즌 | 0.272 | 1559 | 4657 | 546 | 1265 | 224 | 25 | 70 | 1749 | 550 | 31 | 24 | 430 | 111 | 693 | 123 | 0.376 | 0.344 | 137 |
주요 기록편집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통산 1000경기 출장 | 2014년 5월 29일 | NC | 한화 | 대전 | 역대 107번째 | |
통산 1100경기 출장 | 2015년 5월 31일 | NC | KIA | 광주 | 역대 87번째 | |
통산 1200경기 출장 | 2016년 4월 21일 | NC | 삼성 | 대구 | 역대 73번째 | |
통산 1300경기 출장 | NC | |||||
통산 1400경기 출장 | NC | |||||
통산 1500경기 출장 | 2019년 4월 7일 | NC | 두산 | 잠실 | 역대 43번째 |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상대투수 | 구장 | 기타 |
---|---|---|---|---|---|---|
통산 1안타 | 2003년 7월 1일 | 두산 | 삼성 | 잠실 | ||
통산 1000안타 | 2016년 5월 1일 | NC | 롯데 | 레일리 | 사직 | 역대 76번째 |
각주편집
- ↑ KBO (2009년 3월 10일). 《한국 프로야구 기록대백과》 제4판. 692쪽.
- ↑ 가 나 김효경, '손시헌, 골든 글러브 유격수의 귀환',《SPORTS 2.0》, 2008, 12, 8
- ↑ 곰우리 정권 교체…‘새 두목곰’에 손시헌 Archived 2015년 6월 10일 - 웨이백 머신 - 동아일보
- ↑ '솔로홈런 포함 3안타' 손시헌, 1차전 MVP - 머니투데이 뉴스
- ↑ 이호준과 이종욱 손시헌이 만들 노하우 하모니는? - 이데일리
- ↑ ‘FA 이적 첫 홈런’ 손시헌, NC 100번째 홈런 주인공 - OSEN
- ↑ 손시헌, 통산 1000경기 출장 '역대 107번째' - OSEN
- ↑ NC 다이노스 부상 악재…손시헌 무릎 인대 파열 - 국제신문
- ↑ NC손시헌 무릎인대파열 부상 털고 선발 유격수 복귀 - 스포츠서울
- ↑ ‘슬럼프 탈출’ 손시헌, 10G 만에 안타기록 - MK 스포츠
- ↑ NC 손시헌, 통산 87번째 1100경기 출장 - 일간스포츠
- ↑ '103일만의 3타점' 손시헌, 7연승 NC의 일등공신 Archived 2015년 9월 24일 - 웨이백 머신 - 스포츠Q
- ↑ 베테랑 손시헌, 4안타 2홈런 대폭발…NC의 3연승을 이끌다. Archived 2015년 12월 22일 - 웨이백 머신 - 한국경제
- ↑ 권혁재 (2015년 10월 24일). “'KS 탈락' 속 빛난던 '가을남자' 손시헌”. 《엑스포츠뉴스》. 2015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박현진 (2016년 4월 13일). “NC 손시헌, 통산 73번째 1200경기 출장 달성”. 《스포츠서울》. 2016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조형래 (2016년 5월 1일). “NC 손시헌, "야구 선수로 1000안타, 영광스럽다"”. 《OSEN》. 2016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이상학 (2016년 8월 6일). “NC 또 악재, '최대 6주' 손시헌 공백 어쩌나”. 《OSEN》. 2016년 8월 7일에 확인함.
- ↑ 조인식 (2019년 4월 7일). “'손시헌 끝내기 안타' NC, KIA에 연이틀 끝내기 승리”. 《뉴스1》. 201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서장원 (2019년 6월 8일). “'손시헌 끝내기 안타' NC, KIA에 연이틀 끝내기 승리”. 《스포츠서울》. 201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김주희 (2019년 10월 11일). “NC '은퇴' 손시헌 코치로 영입…강인권 수석코치 합류”. 《뉴시스》. 201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손시헌, ‘키작은 연습생’ 닦아보니 진주였네 - 밑에서 4번째 줄 '이후 법정에서 무죄 판결을 받기는 했지만' -《경향신문》
- ↑ '예비역 3종 세트', 두산의 2009 히트 상품[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OSEN
- ↑ 프로야구 NC 다이노스 손시헌 선수, 모교 동의대에 발전기금 이천만원 기탁 - 부산일보
- ↑ NC 손시헌, 두아들 아빠됐다 “더 책임감 가질것” - 뉴스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