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배영 200m 세계 기록 추이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수영 세계 기록국제 수영 연맹(FINA)이 공인하고 관리한다. 기록은 롱 코스(50m)와 쇼트 코스(25m)별로 남여로 나뉘어 집계된다. 쇼트 코스의 세계 기록은 1991년 3월 3일부터 공인되기 시작했다.

다음은 배영 200m 세계 기록 추이이다.

남자

편집

롱 코스

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개최지 경기장 주석 및 기타 동영상
1 3분 04초 4 Oskar Schiele   독일 1909. 06. 27   독일 베를린
2 2분 59초 8 George Arnold   독일 1910. 01. 03   독일 마그데부르크
3 2분 56초 4 Maurice Wechesser   벨기에 1910. 10. 18   벨기에 Schaerbeek
4 2분 50초 6 헤르만 펜츠 틀:DEU-1871 1911. 03. 11   독일 마그데부르크
5 2분 48초 4 오토 파어 틀:DEU-1871 1912. 04. 03   독일 마그데부르크
6 2분 47초 1 Walter Laufer   미국 1926. 06. 24   독일 브레멘
7 2분 44초 9 Walter Laufer   미국 1926. 06. 11 뉘른베르크
8 2분 38초 8 Walter Laufer   미국 1926. 07. 13   독일 마그데부르크
9 2분 37초 8 이레이 도시오   일본 1928. 10. 14   일본 다마가와
10 2분 32초 2 George Kojac   미국 1930. 06. 16   미국 뉴헤이번
11 2분 27초 8 앨버트 밴더웨이   미국 1934. 08. 30 호놀룰루
12 2분 24초 0 아돌프 키퍼   미국 1935. 04. 11   미국 시카고
13 2분 23초 0 아돌프 키퍼   미국 1941. 5. 23 호놀룰루
14 2분 22초 9 해리 홀리데이   미국 1943. 03. 18   미국 디트로이트
15 2분 19초 3 아돌프 키퍼   미국 1944. 03. 04 아나폴리스
16 2분 18초 5 앨런 스택   미국 1949. 05. 04 뉴헤이번
17 2분 18초 3 질베르 보종   프랑스 1953. 6. 26 ? 알제
규정 변경[1]
18 2분 18초 8 존 멍크턴   오스트레일리아 1958. 01. 15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19 2분 18초 4 존 멍크턴   오스트레일리아 1958. 2. 18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 2분 17초 9 프랭크 매키니   미국 1959. 7. 12   미국 로스앨터스
21 2분 17초 8 프랭크 매키니   미국 1959. 07. 25 오사카
22 2분 17초 6 찰스 비틱   미국 1960. 06. 26 로스앤젤레스
23 2분 16초 0 톰 스톡   미국 1960. 7. 24 털리도
24 2분 13초 2 톰 스톡   미국 1961. 02. 07   미국 시카고
25 2분 11초 5 톰 스톡   미국 1961. 08. 20 로스앤젤레스
26 2분 10초 9 톰 스톡   미국 1962. 08. 10 쿠야호가폴스
27 2분 10초 3 Jed Graef   미국 1964. 10. 13 제18회 하계 올림픽   일본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
28 2분 09초 4 Charles Hickcox   미국 1967. 8. 29   일본 도쿄
29 2분 07초 9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7. 11. 18 라이프치히
30 2분 07초 5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8. 8. 14 라이프치히
31 2분 07초 4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9. 7. 12 샌타글래라
32 2분 06초 6 게리 홀 시니어   미국 1969. 8. 14 루이빌
33 2분 06초 4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69. 08. 29 Ost-Berlin
34 2분 06초 3 마이크 스탬   미국 1970. 08. 20   미국 로스앤젤레스
35 2분 06초 1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0. 09. 11   스페인 바르셀로나
36 2분 05초 6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1. 9. 13 라이프치히
37 2분 02초 8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2. 7. 10   동독 라이프치히
38 2분 02초 82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2. 9. 2   서독 뮌헨
2 2분 01초 87 롤란트 마테스   동독 1973. 9. 6 제1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Tašmajdan Sports Centre
3 2분 00초 64 존 네이버   미국 1976. 06. 19   미국 롱비치
4 1분 59초 19 - 1.45초 존 네이버   미국 1976. 07. 27 제21회 하계 올림픽   캐나다 몬트리올
5 1분 58초 93 릭 캐리   미국 1983. 08. 03   미국 클로비스
6 1분 58초 86 릭 캐리   미국 1984. 6. 27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7 1분 58초 41 Sergei Zabolotnov   소련 1984. 8. 21   소련 모스크바
1분 58초 14 이고리 폴랸스키   소련 1985. 3. 3   동독 에르푸르트
1분 57초 30 마르틴 로페스수베로   스페인 1991. 8. 13   미국 포트로더데일
1분 56초 57 마르틴 로페스수베로   스페인 1991. 11. 23 앨라배마주 수영 롱코스 초청 대회   미국 터스컬루사 [2]
1분 55초 87 레니 크레이젤버그   미국 1999. 08. 27 제8회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1분 55초 15 에런 피어솔   미국 2002. 03. 20 미국 춘계 수영 선수권 대회   미국 미니애폴리스 [3]
1분 54초 74 - 0.41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4. 07. 12 미국 올림픽 대표 선발전   미국 롱비치
1분 54초 66 - 0.08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5. 07. 29 제11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몬트리올
1분 54초 44 - 0.22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6. 08. 19 제10회 범태평양 수영 선수권 대회   캐나다 빅토리아
1분 54초 32 - 0.12초 라이언 록티   미국 2007. 03. 30 제12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로드 레이버 아레나
1분 54초 32 = 에런 피어솔   미국 2008. 07. 04 미국 올림픽 수영 대표 선발전   미국 오마하 퀘스트 센터 오마하 [4]
1분 53초 94 라이언 록티   미국 2008. 08. 15 제29회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1분 53초 08 - 0.86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9. 07. 11 미국 올림픽 대표 선발전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1분 51초 92 - 1.16초 에런 피어솔   미국 2009. 07. 31 제13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로마 포로 이탈리코 수영장

쇼트 코스

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장소 주석 및 기타 동영상
1분 52초 47 레니 크레이젤버그   미국 1999. 11. 18   미국 칼리지파크
1분 52초 43 레니 크레이젤버그   미국 2000. 2. 6   독일 베를린
1분 51초 62 맷 웰시   오스트레일리아 2000. 10. 13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1분 51초 62 = Gordan Kožulj   크로아티아 2001. 1. 21   독일 베를린
1분 51초 17 에런 피어솔   미국 2002. 4. 7   소련 모스크바
1분 50초 52 에런 피어솔   미국 2004. 10. 11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1분 50초 43 마르쿠스 로간   오스트리아 2005. 12. 8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1분 49초 05 라이언 록티   미국 2006. 4. 9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1분 47초 84 마르쿠스 로간   오스트리아 2008. 4. 13   맨체스터
1분 47초 08 George Du Rand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9. 11. 7   러시아 모스크바
1분 46초 11 아르카디 뱌차닌   러시아 2009. 11. 15   독일 베를린

여자

편집

롱 코스

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개최지 경기장 주석 및 기타 동영상
1 3분 06초 8 시빌 바워   미국 1922. 6. 4 브라이턴비치
2 3분 03초 8 시빌 바워   미국 1924. 2. 9   미국 마이애미
3 2분 59초 2 마리 브라운   네덜란드 1928. 11. 24   벨기에 브뤼셀
4 2분 58초 8 엘리너 홈   미국 1930. 2. 1 Buffalo
5 2분 58초 2 엘리너 홈   미국 1930. 3. 1   미국 뉴욕 시
6 2분 50초 4 필리스 하딩   영국 1932. 9. 19 월러시
7 2분 49초 6 리 마스텐브룩   네덜란드 1935. 1. 20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8 2분 48초 7 엘리너 홈   미국 1936. 3. 3   미국 털리도
9 2분 44초 6 니다 센프   네덜란드 1937. 02. 0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0 2분 41초 3 Ragnhild Hveger   덴마크 1937. 2. 14 ? Aarhus
11 2분 41초 0 코르 킨트   네덜란드 1938. 04. 17 ? 오르후스
12 2분 40초 6 잇 판페헬런   네덜란드 1938. 10. 26 뒤셀도르프
13 2분 39초 0 잇 판페헬런   네덜란드 1938. 12. 1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4 2분 38초 8 코르 킨트   네덜란드 1939. 11. 29   네덜란드 로테르담
15 2분 35초 3 헤이르티어 빌레마   네덜란드 1950. 4. 2 ? 힐베르쉼
규정 변경[1]
1 2분 39초 9 필리파 굴드   뉴질랜드 1957. 1. 6   뉴질랜드 오클랜드
2분 38초 5 레니 더네이스   네덜란드 1957. 5. 17   영국 블랙풀
2분 37초 4 크리스티 본 살차   미국 1958. 8. 1   미국 토피카
2분 37초 1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59. 7. 12   일본 도쿄
2분 34초 8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0. 4. 2   일본 도쿄
2분 33초 5 린 버크   미국 1960. 7. 15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2분 33초 3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0. 7. 23   일본 도쿄
2분 33초 2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1. 7. 30   일본 도쿄
2분 32초 1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2. 6. 3   일본 벳푸
2분 31초 6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2. 7. 29   일본 오사카
2분 29초 6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2. 10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분 28초 9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2. 18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2분 28초 5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2. 21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2분 28초 2 다나카 사토코   일본 1963. 8. 4   일본 도쿄
2분 27초 4 캐시 퍼거슨   미국 1964. 9. 28   미국 로스앤젤레스
2분 27초 1 캐런 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1966. 7. 25   프랑스 베지에
2분 26초 4 캐런 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1966. 8. 18   미국 링컨
2분 24초 4 일레인 태너   캐나다 1967. 7. 26   캐나다 위니펙
2분 24초 1 캐런 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1968. 1. 6   남아프리카 공화국 킴벌리
2분 23초 8 캐런 뮤어   1968. 7. 21   미국 로스앤젤레스
2분 21초 5 수전 애투드   미국 1969. 8. 14   미국 루이빌
2분 20초 64 멀리사 벨로트   미국 1972. 8. 5   미국 시카고
2분 20초 58 멀리사 벨로트   미국 1972. 9. 4   서독 뮌헨
2분 19초 19 멀리사 벨로트   미국 1972. 9. 4   서독 뮌헨
2분 18초 41 울리케 리히터   동독 1974. 7. 7   동독 로슈토크
2분 17초 35 울리케 리히터   동독 1974. 8. 25   오스트리아
2분 16초 33 낸시 개러픽   캐나다 1975. 4. 27   캐나다 브랜트퍼드
2분 16초 10 비르기트 트라이버   동독 1975. 6. 6   동독 비텐베르크
2분 15초 46 비르기트 트라이버   동독 1975. 7. 27   콜롬비아 Cali
2분 14초 41 안톄 슈틸레   동독 1976. 2. 29   동독 동베를린
2분 13초 50 안톄 슈틸레   동독 1976. 3. 13   소련 탈린
2분 12초 47 비르기트 트라이버   동독 1976. 06. 04   동독 동베를린
2분 11초 93 - 0.54초 Linda Jezek   미국 1978. 08. 28 제3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서독 서베를린
2분 11초 77 - 0.16초 리카 라이니슈   동독 1980. 7. 27 제22회 하계 올림픽   소련 모스크바
2분 09초 91 코르넬리아 지르히   동독 1982. 8. 8   에콰도르 과야킬리
2분 08초 60 벳시 미첼   미국 1986. 06. 27   미국 올랜도
규정 변경[5]
2분 06초 62 에게르세기 크리스티너   헝가리 1991. 08. 25   그리스 아테네
2분 06초 39 - 0.23초 커스티 코번트리   뉴질랜드 2008. 02. 16 미국 수영 그랑프리 대회   미국 컬럼비아
2분 06초 09 - 0.30초 마거릿 홀저   미국 2008. 07. 05 미국 올림픽 대표 선발전   미국 오마하 [6]
2분 05초 24 - 0.85초 커스티 코번트리   짐바브웨 2008. 08. 16 제29회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베이징 국가 수영 센터 [7]
2분 04초 81 - 0.43초 커스티 코번트리   짐바브웨 2009. 08. 01 제13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로마 포로 이탈리코 수영장
2분 04초 06 - 0.75초 미시 프랭클린   미국 2012. 08. 03 제30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아쿠아틱스 센터 [8]

쇼트 코스

편집
# 시간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장소 주석 및 기타 동영상
2분 03초 62 내털리 코글린   미국 2001. 11. 27   미국 뉴욕
2분 03초 24 나카무라 레이코   일본 2008. 2. 23   일본 도쿄
2분 00초 91 커스티 코번트리   짐바브웨 2008. 4. 11   영국 맨체스터
2분 00초 18 사카이 시호   일본 2009. 11. 14   독일 베를린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Kluge, Volker: „Olympische Sommerspiele” – Die Chronik II (London 1948 – Tokio 1964), Sportverlag Berlin 1998, ISBN 3-328-00740-7, S. 462 ff.: Aufgrund der Zeitvorteile beim Wenden stammte der Großteil der bisherigen Bestmarken von Wettkämpfen in einem 25-m-Becken. Auf dem im Rahmen der Olympischen Spiele 1956 durchgeführten FINA-Kongress wurde schließlich festgelegt, dass Rekorde ab 1. Mai 1957 ausschließlich auf der Langbahn (50 Meter bzw. 55 Yards) offizielle Anerkennung finden. Davor datierte (Langbahn-)Bestmarken - vorrangig im Melbourner Olympiabecken erzielt - wurden nachträglich als erster offizieller 50-m-Bahn-Weltrekord anerkannt, wenn diese bis zum besagten Stichtag nicht mehr auf der Kurzbahn unterboten wurden.
  2. 200-meter Backstroke Record Falls To Former Uf Swimmer
  3. “World Record Falls At National Meet”. 《The New York Times》. 2002년 3월 21일. 2011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3일에 확인함. 
  4. 2008 U.S. Olympic Team Trials Omaha, NE - Men's 200m Backstroke Finals RESULT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Kluge, Volker: Olympische Sommerspiele. Die Chronik IV. Seoul 1988 – Atlanta 1996. Sportverlag Berlin, Berlin 2002, ISBN 3-328-00830-6, S. 301 u. 632
  6. “2008 U.S. Olympic Team Trials Omaha, NE - Women's 200m Backstroke Finals RESULTS” (PDF). 2010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4일에 확인함. 
  7. “Women's 200m Backstroke: Coventry finally wins gold”. Beijing 2008. 2008년 8월 16일. 2008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6일에 확인함. 
  8. “Womens 200m Backstroke Results”. www.london2012.com. 2012년 8월 3일. 2013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