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도론확률론에서 추이 측도(推移測度, 영어: transition measure)는 첫 번째 변수에 대하여 가측 함수이며 두 번째 변수에 대하여 측도인 이변수 함수이다. 추이 측도를 통해 곱 가측 공간 위에 측도를 유도할 수 있다.

정의 편집

가측 공간    사이의 추이 측도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위의 측도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가측 함수이다.

만약 임의의  에 대하여  확률 측도라면,  확률 추이 측도(確率推移測度, 영어: probability transition measure)이라고 한다.

시그마 유한 추이 측도 편집

가측 공간    사이의 추이 측도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측 집합들의 족  가 존재한다면,  시그마 유한 추이 측도(-有限推移測度, 영어: sigma-finite transition measure)라고 한다.

 
 
 

가측 공간    사이의 추이 측도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측 집합들의 족   가 존재한다면,  균등 시그마 유한 추이 측도(均等-有限推移測度, 영어: sigma-finite transition measure)라고 한다.

 
 
 
 

성질 편집

유한 차원 곱공간 위의 측도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개의 가측 공간  
  •  에 대하여,    사이의 시그마 유한 추이 측도  . (특히,    위의 시그마 유한 측도이다.)

그렇다면, 곱 가측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은 시그마 유한 측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측도이다.

 

또한, 임의의 적분 가능 가측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가산 차원 곱공간 위의 확률 측도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가산 무한 개의 가측 공간  
  •  에 대하여,    사이의 확률 추이 측도  . (특히,    위의 확률 측도이다.)

그렇다면, 이오네스쿠 툴체아 정리(-定理, 영어: Ionescu Tulcea theorem)에 따르면 곱 가측 공간   위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확률 측도  가 존재한다.

 

범주론적 성질 편집

3개의 가측 공간  ,  ,    위의 확률 추이 측도    위의 확률 추이 측도  가 주어졌을 때,   위에 다음과 같은 확률 추이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확률 추이 측도의 합성은 결합 법칙을 만족시키며, 이에 따라 가측 공간과 확률 추이 측도는 범주를 이룬다.

편집

가측 공간  ,    위의 측도  가 주어졌을 때, 함수

 

   사이의 추이 측도를 이룬다. 만약  시그마 유한 측도 · 확률 측도라면, 이는 각각 (균등) 시그마 유한 추이 측도 · 확률 추이 측도를 이룬다.

유한 이산 가측 공간  이 주어졌고, 행렬  

 

를 만족시킬 때, 함수

 

  위의 확률 추이 측도를 이룬다. 이 경우 확률 추이 측도의 합성은 행렬의 곱셈에 대응한다.

역사 편집

이오네스쿠 툴체아 정리는 카시우스 토크빌 이오네스쿠 툴체아(루마니아어: Cassius Tocqueville Ionescu Tulcea)가 증명하였다.[1]

참고 문헌 편집

  1. Ionescu Tulcea, Cassius Tocqueville (1949). “Mesures dans les espaces produits”. 《Atti della 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Rendiconti della Classe di Scienze Fisiche, Matematiche e Naturali (8)》 (프랑스어) 7: 208–211. MR 36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