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온주의
시온주의(히브리어: ציונות, 영어: Zionism 시오니즘[*]) 또는 유대주의, 유태주의(猶太主義, 문화어: 유태복고주의猶太復古主義)는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목적으로 한 민족주의 운동이다.[1][2]
19세기 말 프랑스에서 유대인 차별, 인권유린 사건인 드레퓌스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를 지켜본후 충격을 받은 유대계 오스트리아 언론인인 테오도어 헤르츨이 1897년 스위스 바젤에서 제1회 시온주의 세계대회를 개최하며 본격적으로 유대인 국가 건설 작업이 시작되었다.[3] 1948년 유대인 국가인 이스라엘을 건국하는 데 성공하였다. 유대인 국가라는 개념은 기원전 1200년에서 제2성전시대 사이에 시작되었다.[4] 시온주의는 유대인과 이스라엘을 연결하는 종교적 전통에 토대를 두지만, 현대 시온주의는 현세적이며 당시 유럽에 존재하던 반유대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시작되었다.
시온주의 지지자들은 시온주의를 ‘디아스포라 민족주의’라고 묘사하며 유대인의 자결을 완성하는 민족 해방 운동으로 여긴다.[5][6] 시온주의에 반대하는 이들은 그 근거를 종교적인 이유에서 비윤리적이나 비현실적이라는 점을 종교적인 데 둔다.[7] 이스라엘이 건국되기 전, 인간의 손으로 이스라엘을 재탄생시키는 것은 신에게 죄를 짓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유대인도 일부 있었다.[8]
용어편집
시온주의라는 이름은 "시온" (히브리어: ציון 지욘)이라는 단어에서 왔다. "시온"은 예루살렘에 있는 언덕(산)의 지명으로, 예루살렘과 이스라엘을 가리키는 단어로 통용되고 있다. 1890년 유대계 오스트리아인 작가 나단 버바움이 "Self-Emancipation" (자기해방)이라는 저널에서 최초로 이 단어를 쓴 걸로 알려져 있다.[9] 버바움은 카디마라고 불렸던 최초 학생 유대민족주의 운동의 창시자였다. 시온주의는 주로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용도로 쓰이지만 종교적 시온주의, 노동 시온주의, 수정주의적 시온주의 등의 상반되는 관념들이 시온주의 내에 포함될 때도 있다. 몇몇 역사가들은 반유대자들이 시온주의와 시온주의자라는 단어를 반유대주의를 정당화하거나 유대인들을 비하할 때 사용한다고 지적한다.[10]
역사편집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이스라엘로 돌아가는 것은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실패로 끝나고 서기 70년에 예루살렘이 함락되었을 때부터 유대인들의 소망이었다.[11] 135년 유대인들은 바르 코크바의 반란으로 이스라엘을 되찾으려고 시도했지만 이 역시 실패로 끝났다. 헬레니스틱 시대 당시 많은 유대인들은 지중해 근처에 있던 다른 나라들로 떠났다.[12]
알리야편집
알리야(עלייה)는 이스라엘로 이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히브리어로 상승을 뜻한다. 디아스포라 후 유대인들은 주로 과월절(유월절)과 욤 키푸르(대속죄일)를 지킬 때 "다음 해에는 예루살렘에서"라는 말로 기도를 마쳤다.[13] 할라카와 613가지 율법은 알리야를 명예로운 행위으로 여겼다. 중세시대에 랍비이자 철학자였던 마이모니데스의 글에서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돌아가는 것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겼음을 찾아볼 수 있다.
시초편집
시온주의가 지지를 얻기 전 나폴레옹은 1799년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들을 위한 나라를 건국하자는 제안을 했다.[14] 빅토리아 여왕과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과 존 아담스 역시 시온주의를 지지한 적이 있다.[15] 1894년 프랑스에 일어난 드레퓌스 사건은 유대인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을 지켜본 사람들 중 유대계 오스트리아인 기자 테오도르 헤르츨이 있었다. 이 사건이 일어나기 전 그는 시온주의를 반대했으나 이 사건 후 시온주의를 옹호하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이 팔레스타인을 지배하고 있었다. 그곳에 살고 있던 50만 명 중 유대인들은 2만 명에 불과했다. 러시아 제국에서 포그롬이 일어나자 유대계 러시아인들 소수가 이스라엘로 귀화하면서 첫 알리야가 시작되었다.[16]
1917년 밸푸어 선언 전까지는 현재의 이스라엘 지역 외에도, 우간다 및 아르헨티나가 지역적으로 거론된 바 있다.
분파편집
노동시온주의편집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노동시오니스트들은 유대인들이 나라를 세울 때 농민들이 키부츠 같은 공동생산하는 농지를 가지며, 이스라엘을 사회주의적 국가 즉, 노동자, 농민, 민중이 중심이 되는 국가로 만들 것을 주장했다.
자유시온주의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수정시온주의, 민족주의적 시온주의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신(Neo)시온주의, 포스트시온주의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같이 보기편집
- 시온 장로 의정서
- 미국 이스라엘 공공문제위원회(AIPAC)
- 유대인의 정체성
각주편집
- ↑ Zionism On The Web, "Definitions of Zionism", a compiled collection, Accessed January 10, 2007.
- ↑ [네이버 국어사전] 시온주의 Zion主義.....역사 유대인들의 민족 국가 건설을 위한 민족주의 운동.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던 유대인들이 그들 조상의 땅인 팔레스타인에 국가를 건설하려는 운동으로, 1948년에 이스라엘이 독립함으로써 실현되었다.
- ↑ 아서 골드워그 <이즘과 올로지>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12.4, p131
- ↑ Friedland, Roger와 Hecht, Richard To Rule Jerusalem 27 페이지.
- ↑ Ernest Gellner, 1983년. Nations and Nationalism (First edition), p 107-108.
- ↑ "시오니즘은 유대인들의 민족해방운동이다." (Zionism is a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f the Jewish people.) 해리스, 롭. Ireland's Zionist slurs like Iran, says Israel, Jewish Telegraph, 2005년 12월 16일. accessed August 17, 2006.
- ↑ 노엄 촘스키, The Chomsky Reader
- ↑ "유대인들이 국민 신분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메시아를 기다려야 한다는 믿음으로 처음엔 과반수의 정통파 유대인노들은 시오니즘을 거부했다." (Most Orthodox Jews originally rejected Zionism because they believed the Jews must await the Messiah to restore them to nationhood.) Settings of Silver: An Introduction to Judaism. Stephen M. Wylen, 2000, Paulist Press, 356페이지
- ↑ [네이버 지식백과] 시온주의의 태동과 이념 (이스라엘사, 2007. 9. 12., 최창모, 위키미디어 커먼즈)......시온주의(Zionism)라는 용어는 19세기 말 나단 번바움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이다. 그는 1890년 4월 1일자 잡지인 「Selbstemanzipation」에서 시온주의를 '에레츠 이스라엘을 향한, 과도기에 설치한 민족적, 정치적 시온주의자 정당'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이 글에서 시온주의를 정치적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 후 시온주의의 아버지인 헤르츨은 『유대국가(Der Judenstaat)』(1896)에서 이 개념을 재천명하였다.
- ↑ Laqueur, Walter. Dying for Jerusalem: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Holiest City (Sourcebooks, Inc., 2006) ISBN 1-4022-0632-1. 55페이지
- ↑ 사이먼, 브리아나. Yearning for Zion (시온을 위한 갈망) Archived 2007년 5월 18일 - 웨이백 머신
- ↑ “The Jewish Diaspora in the Hellenistic Period (헬레니스틱 시대 당시의 유대인 디아스포라)”. 2012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여호와께서 열방을 향하여 기호를 세우시고 이스라엘의 쫓긴 자를 모으시며 땅 사방에서 유다의 이산한 자를 모으시리니. (이사야 11장 12절)"
- ↑ 아비네리, 슐로모. The Making of Modern Zionism: Intellectual Origins of the Jewish State, 45 페이지, Basic Books (1981년), ISBN 0-465-04328-3
- ↑ Palestine: The Original Sin , Meir Abelson [1]
- ↑ Scharfstein, Sol, Chronicle of Jewish History: From the Patriarchs to the 21st Century, p.231, KTAV Publishing House (1997), ISBN 0-88125-545-9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Central Zionist Archives site in Jerusa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