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협착

식도가 좁아지거나 조이는 상태

식도협착(esophageal stricture) 또는 양성식도협착(benign esophageal stricture, peptic stricture[1])은 식도가 좁아지거나 조여지는 상태를 말하며, 삼킴장애를 일으킨다.

식도협착
다른 이름peptic stricture
식도협착의 내시경 사진
진료과위장병학
일반외과

증상과 징후

편집

식도협착의 증상에는 속쓰림, 입에서 나는 쓴맛이나 신맛, 호흡곤란, 기침, 잦은 트림이나 딸꾹질, 삼킴장애, 삼킴통증, 입에서 피를 토하는 토혈, 체중 감소 등이 있다.[2]

원인

편집

위 식도 역류병(GERD),[1] 식도염, 아래식도조임근의 기능 이상, 식도 운동성 장애, 잿물을 삼킨 경우, 틈새탈장 등이 원인이 되거나 관련되어 식도협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식도의 수술이나 레이저 치료, 광역동 치료 이후에 협착이 생기기도 한다. 상처가 생긴 부위가 나으면서 흉터가 생기는데, 이 흉터가 조직을 당기면서 조이게 만들어 음식을 삼키기 힘들게 만든다.[3]

진단

편집

바륨삼킴검사를 통한 X선 촬영, CT 스캔, 생검,[4] 내시경 등을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

치료

편집

만일 감염으로 인한 식도염이 협착의 원인이라면 항생제 등을 이용하여 감염을 치료하는 방식으로 흔히 치료한다. 좁아진 부분을 넓히기 위해 외과에서 식도확장술을 시행하기도 한다.[3]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그 예로는 기저 원인인 위산 역류를 치료하기 위한 H2 수용체 길항제(라니티딘 등)나 양성자 펌프 억제제(오메프라졸 등)가 있다.

역학

편집

위 식도 역류병은 전체 성인의 40% 가량에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협착은 위 식도 역류병을 치료하지 않은 환자 중 7~23%에서 발병한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haker, Reza; Belafsky, Peter C.; Postma, Gregory N.; Easterling, Caryn, 편집. (2012년 9월 27일). 《Principles of Deglutition》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46쪽. ISBN 978-1-4614-3794-9. 2016년 6월 26일에 확인함. Chronic GERD i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benign esophageal strictures, referred to as peptic strictures. 
  2. PDRhealth – Esophageal Stricture: (http://www.pdrhealth.com/disease/disease-mono.aspx?contentFileName=ND7417G.xml&contentName=Esophageal+Stricture&contentId=506&TypeId=2)
  3. Ginex, Pamela K., Manjit S. Bains, Jacqueline Hanson, and Bart L. Frazzitta. 100 Questions & Answers About Esophageal Cancer (100 Questions & Answers). New York: Jones and Bartlett, Inc., 2005. Print.
  4. Craner, David J. “Esophageal Strictue”. 《Discovery Health》. 
  5. Esophageal Stricture - eMedicine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