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아교세포
신경아교세포(神經阿膠細胞, glia, neuroglia, glial cell) 또는 신경교세포, 교세포, 아교세포는 뇌 속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세포이다.
역할편집
신경아교세포의 크기는 신경세포의 1/10 정도이나 수적으로는 약 10배 정도로 수천억 개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세포들은 그 자체로는 신경충격을 생성시키지 못하지만 신경원들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도움을 주며, 뇌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키는 데도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 밖에도 이 세포들은 신경세포에 영양물질의 공급, 신경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포외액의 조절, 슈반 세포에서처럼 보다 효과적인 신호전달을 위한 세포절연, 신경 세포의 면역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
신경생성편집
이들 아교세포는 SVZ(전뇌의 뇌실하 영역,subventricular zone)와 해마(hippocampus)의 치아이랑(dentate gyrus, DG)의 과립하 영역(subgranular zone, SGZ)에서의 신경줄기세포(NCS)와 신경생성(neurogenesis)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분류편집
신경아교세포도 형태에 따라서 신경상피세포(NEC, neuroepithelial cells) 또는 표피세포(Ependymal cells),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glia), 별아교세포(성상교세포, 성상세포, astrocyte), 미세 아교 세포(microglia)로 나뉜다.
방사상 신경교세포편집
전뇌의 뇌실하 영역(subventricular zone, SVZ)에서 방사상 신경교세포(radial glia)는 방사상 별아교세포 및 별아교세포와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glia)의 전구체 형태로 성장함에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외부 링크편집
- (GeneCards.org - GDNF Gene)https://www.genecards.org/cgi-bin/carddisp.pl?gene=GDNF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8, No. 8, 2005 출생 후 뇌의 내인성 신경세포 생성 Endogenous Neurogenesis in Postnatal Brain
- Yun Sil Chang, M.D., Ph.D.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ti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https://www.e-cep.org/upload/pdf/2005480802-20070306120406.PDF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Eric R. Kandel, 편집. (2006).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5.판. Appleton and Lange: McGraw Hill. ISBN 978-0071390118.
- ↑ J Neurosci . 2003 May 15;23(10):4240-50. Multiple cell populations in the early postnatal subventricular zone take distinct migratory pathways: a dynamic study of glial and neuronal progenitor migration Satoshi O Suzuki 1, James E Goldman, PMID: 12764112 PMCID: PMC6741090 DOI: 10.1523/JNEUROSCI.23-10-04240.2003
이 글은 해부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