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국사상(神国思想, しんこくしそう)이란, 자국을 신의 나라(신국)라 여기는 사상으로[1], 선민 사상의 일종이다.[2] 신정정치가 발생한 지역에서는 모두 볼 수 있는 사상이지만,[1] 특히 일본에서는

  1. 신령들의 가호 아래 있는 나라
  2.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의 신손(神孫)인 천황이 통치하는 나라

이상의 두 가지 의미로 나뉜다.[3] 이나마도 고대에는 첫째 의미밖에 없었고, 「신국」이라는 단어 자체도 별로 사용되지 않았다.[3]

개요・역사 편집

근세 이전 편집

일본에서의 신국사상은 일본을 신의 나라로 파악하고[3] 일본 국토와 그 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신(가미)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지켜지고 있다는 사상이다.[4] 원래는 이자나기 · 이자나미에 의한 국토 창성이나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비롯한 신들의 탄생 등을 골자로 하는[3] 일본 신화를 원류로 하여[1] 농경 의례 등에 연결되는 소박한 신앙에 뿌리를 둔[4] 관념이었으나[3] 일본 국내의 정치적 통일이 진행되고 타국 혹은 타민족에 대한 의식이 싹트면서 일본을 타국보다 우수한 나라라고 하는 주장의 거점이 되어, 항상 배타적인 주장을 지지하는 사상이 되었다.[4] 이것이 일본 역사에 그 모습을 나타내는 것은 중세, 몽고습래라 불리는 사건이 벌어졌던 시대이다. 이러한 국가적인 위기가 일본인들에게 민족의식을 일깨웠고, 나아가 일본의 역사상 무가(武家)와 공가(公家)의 권력 교체기였던 이 시기에,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고대 귀족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로서 강조되면서였다.[3]

동시에 두 번째 의미로서의 신국관이 강조된다.[3] 그 대표적인 예로서,

대일본(大日本, 오야마토노쿠니)는 신국(神国, 가미노쿠니)라, 천조(天祖, 아마쓰미오야)로 비롯되어 기틀을 세우고, 태양신(日神, 히노카미)으로부터의 계통(統)을 전하느니라.
우리나라만이 이러한 일이 있으니, 이조(異朝)에는 이러한 일이 없으니, 이것이 '신국'이라 일컫는 까닭이니라.
—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

라고 하는 기타바타케 지카후사의 「신황정통기」의 첫머리를 들 수 있다.[3]

근세 이후 편집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의 이들 이른바 '천하인'(天下人)의 공통된 특징으로서 사후 신격화되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오다 노부나가는 스스로를 신이라 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도요쿠니 대명신(豊国大明神),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도쇼 대권현(東照大権現)으로서 모셔졌다. 이에 따라 에도 막부와 일본의 민중 사이에서는 닛코 참배 등을 통해 신국사상이 일반화되었다.[5]

근세 중기에는 조선으로부터 유입된 유교 사상(성리학)과 결합해 미토학(水戸学)이나 사키몬학(崎門学) 등 국수주의 사상을 만들어냈고[3] 유교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대해 전통적인 일본 독자적인 가치를 최상으로 봉건 체제에의 안티테제를 주장[6]고쿠가쿠(国学)에 의해 활성화된다.[3] 서구 열강에 대한 개항과 새로운 정치 권력 수립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던 에도 막부 말기에는 신국사상에 토대한 막부가 아닌 왕실을 정치 권위의 원천으로써 존경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존왕론으로 바뀌어[6] 존왕양이(尊王攘夷) 운동의 정치적인 기반을 제공하였고[3] 도막 운동(倒幕運動)의 이데올로기적 버팀목이 되었다.[6] 덧붙여 미토학이나 고쿠가쿠에서는 단순히 통치자인 천황뿐 아니라 그 신민(臣民) 자체도 신령들의 후예라는 생각이 나타나고, 신국사상은 민속으로서의 조상 숭배 와 연결되어 메이지 이후의 경신숭조(敬神崇祖)와 충효일치(忠孝一致)라는 이에(家) 제도의 국가를 지지하는 도덕사상으로서 이어지게 된다.[3]

정치적인 독립과 국민 통합이 강하게 의식되게 된 에도막부 말기의 메이지 유신기에는 고쿠가쿠와 신토가 그 사상적인 배경을 이루며, 제2차 세계대전파시즘 체제 하에서는 천황가를 종조(宗祖)라고 하는 가족국가론(家族国家論)이나 팔굉일우론(八紘一宇論)이 그 기초가 되어,[1] 이른바 대동아공영권(大東亜共栄圏)을 내세운 제국주의 일본의 국민 정신 통합 및 통제의 핵으로서 큰 역할을 했다.[3] 이처럼 중세에서 근현대에 걸쳐 대외 관계의 긴장이 높아지거나[4] 위기를 맞았을 때 신국사상은 강조되어 온 것이다.[1]

각주 편집

  1.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コトバンク. 2018年10月25日閲覧。
  2.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 選民思想 コトバンク. 2018年10月25日閲覧。
  3.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コトバンク. 2018年10月25日閲覧。
  4.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コトバンク. 2018年10月25日閲覧。
  5. 朝尾直弘 (1994). 《将軍権力の創出》. 岩波書店. ISBN 978-4000029421.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6.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 尊王論 コトバンク. 2018年10月25日閲覧。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