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녕군

(신녕현에서 넘어옴)

신녕군(新寧郡)은 경상북도의 옛 행정구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천군과 합면되었다. 현재의 영천시 신녕면·화산면·화북면·화남면과 경산시 와촌면 일대에 해당한다.

역사

편집
  • 신라시대 사정화현(史丁火縣)으로 칭하였다.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신녕현(新寧縣)으로 칭하고, 양주(良州) 임고군(臨皐郡, 현 영천시)에 속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감무를 두었다.
  • 1394년(조선 태조 3년) 이지현(梨旨縣)을 이속하였다.
  • 1413년(조선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
  • 1895년(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신녕군으로 개편되었다.[1]
  •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신녕군으로 개편되었다.[2]
  • 1913년 4월 1일: 남면을 하양군에 편입하였다.[3]
  • 1914년 4월 1일 영천군에 통폐합되었다.[4]

1914년 이후

편집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신녕군 현내면(縣內面) 가사동/명천동, 별일동 일부/별이동 일부/별삼동/별사동/별오동/어일동, 두지동/신양동/소근동, 신단동/관덕동/(아촌면)신안동 일부, 별일동 일부/별이동 일부/은점동, 하일동/하이동/하삼동/화암동 일부, 관기동/교동/성저동/유정동/화암동 일부 영천군 신녕면 가천동, 매양동, 연정동, 신덕동, 왕산동, 완전동, 화성동
신녕군 치산면(雉山面) 신계동/직동/이동/남원동 일부, 동지동/중리동/내포동/진곡동/신암동/남원동 일부, 무암동/온천동/상미동/갑현동/(현내면)별이동 일부, 화정동/도근동/(의흥군 부동면)박동 일부/판지동 일부 부산동, 치산동, 화남동, 화서동
신녕군 아촌면(牙村面) 화지동/당동/상지동, 신안동 일부/대평동 일부/암저동 일부/아황동 일부/(영천군 북습면)부룡동 일부, 암저동 일부/덕산동 일부/아황동 일부, 연제동/율전동/굴견동/원계동/덕산동 일부/(영천군 북습면)용호동 일부/(영천군 원림면)덕양동 일부/용강동 일부, 괴정동/효자동 영천군 화산면 당지동, 대안동, 덕암동, 연계동, 효정동
신녕군 대량면(代良面) 상추동/하추동, 호암동/구계동, 하기동/대동동 일부/월계동, 공암동/매동/하명동/(고현면)대리동 일부/(영천군 명산면)대군동 일부/녹전동 일부, 노암동/상기동/(영천군 원림면)당외동 일부/부제동 일부, 효지동/상화동/하화동 가상동, 귀호동, 대기동, 매산동, 암기동, 화산동
신녕군 고현면(古縣面) 생하동/생상동/화하동 일부/대리동 일부/신기동 일부, 노방동/사상동/사중동/사하동 일부, 학지동/유천동/객사동/화상동/신기동 일부/화하동 일부, 신흥동/다내동/사하동 일부 영천군 화동면 대천동, 사천동, 선천동, 신호동
신녕군 지곡면(知谷面) 내지동/중이동/능계동 일부/논곡동 일부, 시기동/보고동/막천동, 서원동/신안동/능계동 일부/온천동 일부/(영천군 자천면)온천동 일부, 지지동/운산동 일부/오동동 일부, 월령동/월점동/논곡동 일부/성곡동 일부 영천군 지곡면 금호동, 삼창동, 안천동, 오산동, 월곡동
신녕군 신촌면(新村面) 법화동, 상송동/아차동, 금계동/대재동 일부, 상평동/하인동, 죽전동/직당동/연지동/소일동, 내국동/외국동/하송동 영천군 신촌면 법화동, 상송동, 옥계동, 용소동, 죽전동, 하송동
신녕군 남면(南面) 강곡동/황학동, 대동동/중리동/유촌동, 박사동, 소월동, 신기동/한문동, 음지동/양지동 경산군 와촌면 강학동, 대동동, 박사동, 소월동, 신한동, 음양동

각주

편집
  1.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2.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3. 조선총독부령 제4호 (1913년 1월 23일)
  4.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