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철
신명철(申命澈[1], 1978년 8월 6일 ~ )은 전 KBO 리그 kt 위즈의 내야수이자, 현 KBO 리그 kt 위즈의 2군 타격코치이다.
신명철 Shin Myeong-Cheol kt 위즈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생년월일 | 1978년 8월 6일 | (41세)
출신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
신장 | 181 cm |
체중 | 77 kg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수비 위치 | 2루수, 1루수, 유격수 |
프로 입단 연도 | 2001년 |
드래프트 순위 | 1997년 고졸우선지명(롯데 자이언츠) |
첫 출장 | KBO / 2001년 |
마지막 경기 | KBO / 2015년 10월 5일 마산 대 NC전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아시안게임 | 1998년 방콕 |
월드컵 | 1998년 이탈리아 |
메달 기록 | |||
---|---|---|---|
![]() | |||
남자 야구 | |||
아시안 게임 | |||
금 | 1998 방콕 | 야구 |
선수 시절편집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1997년에 롯데 자이언츠의 고졸우선 지명을 받은 뒤 연세대 체육교육학과 재학 시절 뛰어난 타격과 안정된 수비로 국가대표팀에 선출됐다. 방콕 아시안 게임에 참가했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2001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으나 아마추어 때만큼의 실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2006년 11월 21일 당시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였던 강영식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09년에 내야수 김상수와의 경쟁으로 인해 처음으로 두 자리수 홈런을 기록하는 등 기량이 늘었고 2009년 포스트 시즌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강봉규와 함께 그 해 9월 23일에 20-20 클럽 목록에 이름을 올리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2] 이 때 당시 타격코치였던 나가시마의 조련도 받아 타격감도 높였다. 그러나 2011년부터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고, 2013 시즌 후 구단에 방출을 요청해 팀을 떠났다.[3] 방출 이후 kt 위즈와 계약을 맺었다.
kt 위즈 시절편집
팀의 초대 주장으로 선임됐으나, 성적 부진 및 기량 저하로 인해 은퇴했다.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특이 사항편집
그가 타석에 나오면 투수가 실투를 하거나 수비수가 실책을 자주 한다는 농담 섞인 속설이 있다. 또한 그의 등장 음악인 아이비의 '유혹의 소나타'에 빗대 일부 팬들은 그가 투수나 수비수를 유혹시켜서 그런거라며 그를 '유혹의 명철신'으로 불렀다. '유혹의 명철신'은 대한민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에서 국내 야구 갤러리의 4대 신으로 추앙받는다.
출신 학교편집
등번호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도 | 소속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희생타 | 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실책 | 타율 | 장타율 | 출루율 |
---|---|---|---|---|---|---|---|---|---|---|---|---|---|---|---|---|---|---|---|
2001 | 롯데 | 28 | 33 | 6 | 5 | 1 | 0 | 0 | 5 | 1 | 0 | 2 | 0 | 8 | 1 | 2 | 0.152 | 0.182 | 0.200 |
2002 | 81 | 127 | 12 | 26 | 4 | 2 | 2 | 10 | 7 | 3 | 4 | 0 | 35 | 0 | 6 | 0.205 | 0.315 | 0.227 | |
2003 | 101 | 271 | 31 | 67 | 11 | 3 | 6 | 33 | 3 | 11 | 13 | 1 | 52 | 1 | 10 | 0.247 | 0.376 | 0.283 | |
2004 | 54 | 140 | 18 | 37 | 6 | 2 | 0 | 9 | 6 | 5 | 11 | 1 | 31 | 3 | 2 | 0.264 | 0.336 | 0.322 | |
2005 | 116 | 344 | 47 | 88 | 16 | 3 | 5 | 33 | 21 | 26 | 25 | 3 | 79 | 5 | 5 | 0.256 | 0.363 | 0.311 | |
2006 | 73 | 166 | 14 | 29 | 6 | 1 | 0 | 9 | 5 | 11 | 8 | 0 | 40 | 2 | 4 | 0.175 | 0.223 | 0.211 | |
2007 | 삼성 | 126 | 416 | 43 | 105 | 20 | 2 | 5 | 31 | 19 | 25 | 27 | 3 | 68 | 11 | 12 | 0.252 | 0.346 | 0.301 |
2008 | 97 | 244 | 29 | 45 | 8 | 0 | 1 | 17 | 9 | 13 | 19 | 2 | 32 | 7 | 5 | 0.184 | 0.230 | 0.244 | |
2009 | 124 | 423 | 71 | 123 | 17 | 2 | 20 | 61 | 21 | 13 | 48 | 1 | 72 | 10 | 4 | 0.291 | 0.482 | 0.362 | |
2010 | 125 | 397 | 56 | 111 | 22 | 1 | 9 | 57 | 20 | 19 | 56 | 4 | 82 | 14 | 13 | 0.280 | 0.408 | 0.369 | |
통산 | 10시즌 | 925 | 2561 | 327 | 636 | 111 | 16 | 48 | 265 | 112 | 126 | 213 | 15 | 499 | 54 | 63 | 0.248 | 0.360 | 0.310 |
각주편집
- ↑ 한국야구위원회, 2010 가이드북
- ↑ 삼성 신명철, 시즌 2번째 '20-20 클럽' 가입 - 이데일리
- ↑ '20-20 클럽' 삼성 신명철, 구단에 방출 요청…"1군에서 뛰고 싶다" -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