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현
신주현(중국어: 新竹縣, 병음: Xīnzhú Xiàn, 한자음: 신죽현)은 중화민국 타이완섬 북서부에 위치한 현이다. 타오위안시, 이란현, 타이중시, 먀오리현, 신주시와 접한다.
신주 현 | |
新竹縣,신죽현 | |
![]() | |
행정 | |
나라 | 중화민국 |
---|---|
청사소재지 | 주베이 시 |
인구 | |
인구 | 540,193명 (2015년) |
지리 | |
면적 | 1,427.5369 km2 |
기타 | |
시간대 | GMT+8 |
지역번호 | 03 |
지리편집
신주 현은 타이완섬 북서부에 위치하고 북쪽은 타오위안시, 남쪽은 먀오리현과 접하고 서쪽은 타이완 해협에 면하며 동쪽에는 쉐산 산맥 다바젠 산(大霸尖山)이 위치하고 있다. 지형은 펑산 계(鳳山渓), 터우첸 계(頭前渓)의 하구에 충적평야가 펼쳐진 것 외에 보궁강 대지(伯公岡台地) 및 후구 대지(湖口台地) 등의 대지, 구릉지가 펼쳐져 있다. 연평균 기온은 섭씨 21도, 연평균 강수량은 1949.1mm이다.
역사편집
신주의 옛 이름은 죽참(竹塹)이다. 이 지명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강희 16년(1677년)에 쓰여진 《비해기유(裨海紀遊)》이다. 그 유래는 옹정 11년(1733년)에 쓰여진 《담수청성비기(淡水廳城碑記)》에 '궐초환식자죽위위,고이죽참명성(厥初環植莿竹爲衞,故以竹塹名城)'이라는 표기가 있어 대나무로 둘러싸인 관청이 있어 죽참이라는 지명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1683년, 청의 대만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신주 일대는 제라현(諸羅県)의 관할에 놓여졌고 관인에 의해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1723년, 제라현에서 담수청(淡水廳)의 관할로 개편되었고 1875년에는 담수청을 담수현 및 신죽현으로 분할하였고 현 정부가 설치되었으며 신죽으로 개칭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 당초에는 다이호쿠 현 신치쿠 지청이 설치되었지만 1901년에 신치쿠, 도엔 지청이 합병해 신치쿠 주가 성립되었으며 하부에 8군을 관할하게 되었고 주 정부는 신치쿠 군에 설치되었다. 2차 대전 후인 1945년 11월, 신주 시 정부가 성립했고 하부에 7구, 현재의 신주 시, 주둥 진, 바오산 향 등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듬해, 성할시가 된 신주 시 외에 신주, 타오위안, 중리, 먀오리의 8구를 설치해 신주 현 정부가 성립했으며 현 정부는 타오위안으로 옮겼다.
1950년의 지방제 개편으로 신주 현은 타오위안 현, 신주 현, 먀오리 현으로 분할되었고 신주 시는 신주 현의 소관이 되었다. 1982년 7월 1일, 신주 시와 샹산 향이 통합되면서 다시 신주 시가 성할시로 승격하였고 현 정부는 주베이 시로 옮겨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행정 구역편집
1시 3진 9향을 관할한다.
인구편집
연도 | 인구 | ±% |
---|---|---|
1985 | 366,566 | — |
1990 | 374,492 | +2.2% |
1995 | 408,577 | +9.1% |
2000 | 439,713 | +7.6% |
2005 | 487,692 | +10.9% |
2010 | 513,015 | +5.2% |
2015 | 542,042 | +5.7% |
Source:“Populations by city and country in Taiwan”. Ministry of the Interior Population Census. 2017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7일에 확인함. |
경제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9년 6월) |
교육편집
교통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 국도 1호선
- 국도 3호선
외부 링크편집
- (중국어) 신주 현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