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사군의 난
![]() | |||||||||||
---|---|---|---|---|---|---|---|---|---|---|---|
선사 시대 (동선 문화) | |||||||||||
전설 시대 (홍방, 어우락) | |||||||||||
중국의 제1차 베트남 지배 (진나라, 남월 - 찌에우 왕조, 전한) | |||||||||||
한: 쯩 자매 | |||||||||||
중국의 제2차 베트남 지배 (후한, 육조) | |||||||||||
후한 말기: 사섭 동오: 찌에우티찐 | |||||||||||
전 리 왕조 | |||||||||||
중국의 제3차 베트남 지배 (수나라, 당나라) 당: 마이툭로안 당: 풍흥 당: 즈엉타인 | |||||||||||
베트남 자주 시기 당, 후량: 쿡씨 남한: 즈엉딘응에 남한: 끼에우꽁띠엔 | |||||||||||
응오 왕조, 십이사군의 난 | |||||||||||
딘 왕조 | |||||||||||
전 레 왕조 | |||||||||||
리 왕조 | 남진 ↓ | ||||||||||
쩐 왕조 | |||||||||||
호 왕조 | |||||||||||
중국의 제4차 베트남 지배 (명나라) |
후 쩐 왕조 | ||||||||||
후 레 왕조 전기 | |||||||||||
막 왕조 | |||||||||||
남북조시대 | 후 레 왕조 후기 |
막 왕조 | |||||||||
후 레 왕조 후기 | |||||||||||
찐-응우옌 분쟁 |
응우옌 주 | 찐 주 | 후 레 왕조 후기 | ||||||||
떠이선 왕조 | |||||||||||
응우옌 왕조 | |||||||||||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 응우옌 왕조 안남보호국 | |||||||||||
일본의 베트남 지배 베트남 제국 | |||||||||||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 코친차이나 공화국 |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 | ||||||||||
베트남국 | |||||||||||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 |||||||||||
남베트남 공화국 |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
![]() | |||||||||||
십이사군의 난(十二使君의 亂, 베트남어: Loạn 12 Sứ Quân/
12 장군편집
- 응오녓카인(Ngô Nhật Khánh)은 당림(손 타이시)을 점거
- 끼에우꽁한(Kiều Công Hãn)은 봉우리주(푸토 성)를 점거
- 끼에우투언(Kiều Thuận)은 회호(푸토 성 캠 케이)를 점거
- 응우옌코안(Nguyễn Khoan)은 3대(비후크성 빈 투 온)를 점거
- 응우옌투띠엡(Nguyễn Thủ Tiệp)은 선유(바크닌성)를 점거
- 응우옌시에우(Nguyễn Siêu)는 서부열(하노이시 타인치)을 점거
- 레쿠에(Lý Khuê)는 초류(바크닌성 투 자기 인)를 점거
- 라드엉(Lã Đường)은 호소에(훈이엔성 바잔)를 점거
- 팜박호(Phạm Bạch Hổ)는 등주(藤州)(훙엔 성 킴돈)를 점거
- 도까인탁(Đỗ Cảnh Thạc)은 두동강(하 타이성 쿠오크오아이)을 점거
- 쩐람(Trần Lãm)은 타이빈 시 점거
- 응오쓰엉씨(Ngô Xương Xí)은 평교(타인호아 성 치에우손)를 점거
평정편집
사군(장군) 쩐람과 동맹을 맺어, 범백호를 아군으로 만든 딘보린은 다른 사군들을 차례로 토벌하였다.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 연전연승했기 때문에 만승왕으로 존경받은 딘보린의 앞에 사군은 차례차례로 토벌되어 투항하였다. 967년에 베트남은 정부령에 의해 통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