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삼어
아삼어는 인도의 아삼 주의 공용어이다. 방글라데시와 부탄에서도 인도유럽어족인 이 언어가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사용 국가 | 인도, 방글라데시 |
---|---|
사용 지역 | 아삼 주 |
언어 인구 | 약 1600만 명 (2007) |
순위 | 65 |
문자 | 아삼 문자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인도아리아어군 동부 인도아리아어군 벵골아삼어 아삼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언어 부호 | |
ISO 639-1 | as
|
ISO 639-2 | asm
|
ISO 639-3 | asm 아삼어
|
글로톨로그 | assa1263[1] |
음운편집
닿소리편집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ng(/ŋ/) | |||
파열음 | 무성 무기음 | p | t | k(/k/) | ||
무성 유기음 | ph(/pʰ/) | th(/tʰ/) | kh(/kʰ/) | |||
유성 무기음 | b | d | g(/ɡ/) | |||
유성 유기음 | bh(/bʱ/) | dh(/dʱ/) | gh(/ɡʱ/) | |||
마찰음 | 무성음 | s(/s/) | x(/x/) | h | ||
유성음 | j(/z/) | |||||
유음 | 설측음 | l | ||||
비설측음 | r(/ɹ/) | |||||
반모음 | w(/w/)[2] | y(/j/) |
홑홀소리편집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u | |
근고모음 | w(/ʊ/)[3] | ||
중고모음 | é(/e/) | ó(/o/) | |
중저모음 | e(/ɛ/) | o(/ɔ/) | |
저모음 | a(/ä/) |
겹홀소리편집
a | i | u | |
---|---|---|---|
a | ai | au | |
i | iu | ||
u | ua | ui | |
e | ei | eu | |
o | oi | ou | |
ɔ | ɔi |
지도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아삼어 위키백과 |
각주편집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2). 〈Assamese〉. 《Glottolog 4.6》.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원래 문자로는 'ৱ'이다.
- ↑ 원래 문자로는 'ও'이다.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