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austrobaileya, 학명: Austrobaileya scandens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 스칸덴스[*])는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단형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austrobaileya科, 학명: Austrobaileyaceae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케아이[*])의 단형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속(austrobaileya屬, 학명: Austrobaileya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에 속하는 유일한 이다.[1][2]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과: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
Austrobaileyaceae
Croizat, 1943
속: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속
Austrobaileya
C.T.White, 1933
종: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
학명
Austrobaileya scandens
C.T.White, 1933

학명이명
이명 목록
  • Austrobaileya maculata C.T.White

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주에 분포하는 덩굴나무 또는 덩굴이다.

이름 편집

속명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는 "남쪽"을 뜻하는 라틴어 "아우스테르(auster)"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학자 프레더릭 맨슨 베일리(Frederick Manson Bailey)의 이름을 조합한 말이다. 종소명 "스칸덴스"는 라틴어로 "덩굴성의"라는 뜻이다.

계통 분류 편집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를 속씨식물군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의 유일한 과로 분류하며,[3]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및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4][5] 그 이전의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속씨식물군 아래에 목을 따로 두지 않고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만 인정했다.[6]

그 외에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7]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를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다.[8] 또한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는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뽀뽀나무목(Annon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9] 1964년 엥글러 분류 체계관상식물문(Siphonogamae[=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ychlamyde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다.[10]

각주 편집

  1. Croizat, Léon Camille Marius. Cactus and Succulent Journal 15: 64. 1943.
  2. White, Cyril Tenison. Contributions from the Arnold Arboretum of Harvard University 4: 29. 1933.
  3. Angiosperm Phylogeny Group; Byng, James W.; Chase, Mark W.; Christenhusz, Maarten J. M.; Fay, Michael F.; Judd, Walter S.; Mabberley, David J.; Sennikov, Alexander N.;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81 (1): 1‒20. doi:10.1111/boj.12385. 
  4.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Fay, Michael F.;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5.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41 (4): 399‒436. doi:10.1046/j.1095-8339.2003.t01-1-00158.x. 
  6.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Kåre; Chase, Mark W.; Stevens, Peter F.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DF).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영어) 85 (4): 531‒553. doi:10.2307/2992015. 
  7. Thorne, Robert F. (1992).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The Botanical Review》 (영어) 58 (3): 225‒327. doi:10.1007/BF02858611. 
  8. Cronquist, Arthur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영어).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38805. 
  9. Dahlgren, R. M. T. (1980).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80 (2): 91‒124. doi:10.1111/j.1095-8339.1980.tb01661.x. 
  10. Engler, Adolf (1964). Melchior, Hans; Werdermann, Erich, 편집.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독일어). Berlin: Gebrüder Borntraeger 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