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흥사 응진전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
안동 광흥사 응진전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安東 廣興寺 應眞殿 塑造釋迦如來五尊像 및 16 羅漢像 一括)은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재품리, 광흥사에 있는 불상이다. 2016년 4월 28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93호로 지정되었다.[1]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493호 (2016년 4월 28일 지정) |
---|---|
수량 | 42軀 |
소유 | 광흥사 |
위치 |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재품리 813 |
좌표 | 북위 36° 38′ 45″ 동경 128° 36′ 50″ / 북위 36.64583° 동경 128.61389°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지정사유 편집
안동 광흥사의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여래오존불과 16나한상 등은 총 42구(軀)의 불상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사례에 비해 그 수량이 많은 편이며 배치 또한 특이하다. 중앙 불단의 삼세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봉안되어 있고, 벽면의 불단에는 16나한상 및 나한상 사이사이에 16구의 동자상이 있다. 이 밖에도 인왕상 2구와 사자상 2구, 제석천상 1구가 배치되어 있다.[1]
이 존상들은 16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여주는 희귀한 사례이며, 제작시기가 임진왜란 이전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고, 전체 존상이 흙으로 제작된 사례는 매우 드문 경우이다.[1]
아울러, 학술적으로나 예술적으로도 가치가 뛰어난 작품이라 판단되므로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로 지정한다.[1]
지정내역 편집
일련번호 | 명칭 | 재료 | 구조·형식·형태 | 규격 | 수량 | 기타특징 |
---|---|---|---|---|---|---|
有形 文化財 493 |
安東 廣興寺 應眞殿 塑造釋迦如來五尊像 및 16羅漢像 一括 |
42軀 | ||||
-1) | 석가모니불 | 흙 | 좌상 | 높이 160cm, 슬폭 117cm |
1軀 | 제작연대 : 16세기 추정 |
-2) | 미륵보살 | 흙 | 좌상 | 높이 143.5cm, 슬폭 119cm |
1軀 | |
-3) | 제화갈라보살 | 흙 | 좌상 | 높이 148cm, 슬폭 112cm |
1軀 | |
-4) | 가섭존자 | 흙 | 입상 | 1軀 | ||
-5) | 아난존자 | 흙 | 입상 | 1軀 | ||
-6) | 나한상 | 흙 | 좌상 | 16軀 | ||
-7) | 동자상 | 흙 | 입상 | 16軀 | ||
-8) | 인왕상 | 흙 | 입상 | 2軀 | ||
-9) | 사자상 | 흙 | 입상 | 2軀 | ||
-10) | 제석천상 | 흙 | 입상 | 1軀 |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가 나 다 라 경상북도지사 (2016년 4월 28일). “경상북도 고시 제2016-104호 도지정문화재 지정고시(안)”. 《경상북도 도보》. 경상북도보 제6029호. 91-100(中91, 93)쪽.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안동 광흥사 응진전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