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 (불교)
안식(眼識, 산스크리트어: cakṣur-vijñāna 착수르 비즈냐-나, 팔리어: cakkhu-viññāṇa 짝쿠 윈냐-나) 또는 눈의 알음알이는 시각적 지각 또는 인식을 뜻한다. 즉, 사물의 시각적 측면(색경) 즉 색깔(현색)과 모양(형색)에 대한 앎(알음), 요별, 분별, 또는 지식을 말한다.[1][2]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의 5식(五識) 또는 전5식(前五識) 중 하나이다. 즉, 감각적 인식 또는 감각적 마음에 속한다. 또는 물질적 마음의 한 측면이다.
-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 · 의식의 6식(六識) 중 하나이다. 즉, 마음에 속한다. 또는 마음의 한 측면이다.
- 안처(眼處) · 이처 · 비처 · 설처 · 신처 · 의처(意處) · 색처 · 성처 · 향처 · 미처 · 촉처 · 법처의 12처 중 안처에 해당한다. 엄밀히 말하면, 안처에 속한다 즉 안처의 일부이다.
- 안계 · 이계 · 비계 · 설계 · 신계 · 의계 · 색계 · 성계 · 향계 · 미계 · 촉계 · 법계 · 안식계(眼識界) · 이식계 · 비식계 · 설식계 · 신식계 · 의식계의 18계 중 안식계에 해당한다. 즉, 안식계와 동의어이다.
12처의 법체계에 따르면, 안처를 이루는 것이 안근(눈)과 안식(눈의 앎)이다. 즉, 12처의 법체계의 관점에서는 안근과 안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런데 18계의 법체계에 따르면, 안근은 안계에 해당하고 안식은 안식계에 해당하여 서로 별개이다. 즉, 안근과 안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별개의 법(존재·현상)이다. 불교에 따르면, 18계의 법체계는 둔근자에게 가르친 세세한 가르침이고 12처의 가르침은 이미 18계의 가르침을 잘 알고 있는 이에 대한 가르침이다. 따라서, 정확한 해석은 18계에 의한다. 즉, 안계(눈)와 색계(시각적 대상)와 안식계(시각적 앎, 시각적 인식)는 별개로서, 엄밀한 표현으로, '안근(눈)과 색(색경)을 연하여 안식이 생겨난다'고 표현하며, 이것은 다시 '별개의 존재(법)인 안근(눈)과 별개의 존재인 시각적 대상을 조건으로 하여 별개의 존재인 안식(눈의 앎, 눈의 알음알이)이 생겨난다'는 뜻이다. 달리 말해, 안근이 안식을 가지고 있어서 안근에 의해 안식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색경이 안식을 가지고 있어서 색경에 의해 안식이 생겨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안근(눈)과 안식(시각적 앎 또는 보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별도의 나가 있어서 안식이 생겨나는 것도 아니다. 다만, 항상 엄밀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지 않기 때문에, 세상의 일반적인 통용 표현으로 '안근에 의해 안식이 생겨난다' 또는 '색경에 의해 안식이 생겨난다' 또는 '나의 안식이 생겨난다' 또는 '내가 본다'라는 표현을 허용할 뿐이다.
경론별 설명
편집아비달마품류족론
편집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서는 안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眼識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於眼所識色。諸已正當了別。是名眼識。
안식(眼識)이란 무엇인가? 안근(눈)과 색경(색깔 · 모양)을 연하여 생겨나는 '시각적 인식'[眼識, 안근의 인식, 눈의 앎, 눈의 알음알이]을 말한다. 이와 같이 안근이 소의[增上, 발동근거]가 되고 색경이 소연(所緣, 인식대상)이 되어 안근에 의해 알게 되는 바인, 색경에 대한 모든 과거의 앎(요별) · 현재의 앎 · 미래의 앎을 통칭하여 안식이라 이름한다.
보는 능력에 대한 이견
편집안근(눈)과 안식(시각적 앎)과 색경(시각적 앎의 대상)이 서로 별개의 법(존재 · 현상)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불교의 제 부파가 의견이 일치한다. 하지만, '보는 능력[見]'이 이 셋 중 어디에 속해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2] 물론, 색경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므로 색경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이는 없다. 보는 능력에 대한 이견이란 근(인식도구)과 식(인식 그 자체) 중 무엇을 더 주체라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의견이 갈린다는 것을 뜻한다. 나아가, 근이 더 주체라면 그릇된 인식 즉 비리작의 즉 전도(顚倒)를 극복하는 수행에 있어서 몸(근, 물질적인 것, 신체)에 변형을 일으키는 것에 무게를 두어 수행을 해야 할 것이고 식이 더 주체라면 수행에 있어서 마음(정신적인 것, 멘탈)에 변형을 일으키는 것에 무게를 두어 수행을 해야 할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설일체유부에서는 보는 능력이 안근에 있다는 '안근이 본다[眼根見]'는 근견설(根見說)을 정통설로 본다.
대중부의 법구(法救) 등의 논사는 보는 능력이 안식에 있다는 '안식이 본다[眼識見]'는 식견설(識見說)을 정통설로 본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보는 능력이 안근과 안식의 화합에 있다는 '안근과 안식의 화합이 본다[根識和合見]'는 화합견설(和合見說)을 정통설로 본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眼識(안식)" , 운허. 《불교사전》:
眼識(안식)
【범】 cakṣur-vijñāna 5식의 하나. 모양ㆍ빛깔 등을 분별하고 아는 작용. 시각(視覺). - ↑ 가 나 "眼識"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眼識
梵語 cakṣur-vijñāna,巴利語 cakkhu-viññāṇa。即以眼根為所依,了別色境之識,隨根而立名。五識之一,六識之一,十八界之一。眼根雖有二處,眼識則唯一。大毘婆沙論之正義,以眼根能見色,而立「眼根見」之說;法救主張眼識能見色,而立「眼識見」之說;唯識家則立「根識和合見」之說。其中,有部宗之本義,世稱眼見家;對此,大眾部法救等論師則稱為識見家。唯識家以萬法為唯識所變現,眼識與色之相分相合,產生分別,故其識顯現似色之識。〔大毘婆沙論卷十三、卷七十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二、成唯識二十論述記卷上〕(參閱「眼根」5988)p5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