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룩매가오리속

얼룩매가오리속(Aetobatus)은 매가오리목에 속하는 가오리류 집단이며, 얼룩매가오리과(Aetobatidae)의 유일한 속 분류군이다.[1] 과거에는 매가오리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취급되었다.[2]

얼룩매가오리속
화석 범위:
팔레오세 후기-홀로세
얼룩매가오리 (Aetobatus narinari)
얼룩매가오리 (Aetobatus narinari)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연골어강
아강: 판새아강
상목: 가오리상목
목: 매가오리목
아목: 매가오리아목
과: 얼룩매가오리과
(Aetobatidae)
White & Naylor, 2016
속: 얼룩매가오리속
(Aetobatus)
Blainville, 1816
  • 본문 참조

상세 편집

얼룩매가오리속의 종들은 대서양인도-태평양의 아열대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먼 거리를 이동하는 원양 어류 집단이다.[3] 대한민국에서는 얼룩매가오리(Aetobatus narinari)와 박쥐가오리(Aetobatus narutobiei)가 보고되었다.[4][5][주 1][주 2]

삼각형 형태의 가슴지느러미는 눈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주둥이는 눈보다 좀 더 아래 쪽에 위치해 있다. 주둥이 끝 부분은 길쭉한 삽 모양이다. 입과 코는 몸통 밑바닥 부분에 존재하며 주둥이 부분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매가오리과와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1] 기다란 꼬리에는 독가시가 존재한다.

분류 편집

얼룩매가오리속은 2016년 이전까지 조셉 넬슨(Joseph S. Nelson)에 의해 매가오리과의 하위 분류군인 매가오리아과(Mylobatinae)의 한 속으로 취급되었다.[2] 그러나 2016년 이후, 윌리엄 화이트(William T. White) 및 동료 연구진들의 분류 개정으로 얼룩매가오리속은 매가오리과에서 따로 분리되어 독자적인 분류군을 형성하였다.[1] 얼룩매가오리과 내에 속하는 속 분류군은 얼룩매가오리속이 유일하다.

과거에는 세 종류의 현생종이 알려졌는데, 여기서 얼룩매가오리(A. narinari)의 일종으로 취급되었던 개체군을 서식지에 따라 서로 다른 종-대서양 서식종(A. narinari), 인도-서태평양 서식종(A. ocellatus), 그리고 동태평양 서식종(A. laticeps)-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현생종은 다섯 종류인 것으로 추정된다.[7][8]

종 목록 편집

각주 편집

  1. "박쥐가오리"란 이름은 원래 Aetobatus flagellum에 해당되는 국명이었지만, 2013년에 윌리엄 화이트(William T. White)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도양와 인도네시아에 서식하는 종이 Aetobatus flagellum이며, 베트남, 홍콩, 대한민국, 그리고 일본 남부에 보고된 Aetobatus flagellum 개체군은 별개의 종인 Aetobatus narutobiei로 새롭게 명명하였다. 따라서 국명 "박쥐가오리"에 해당하는 학명은 Aetobatus narutobiei이다.[6]
  2. "얼룩매가오리"란 이름은 Aetobatus narinari에 해당되는 국명이지만, 리처드 및 화이트가 주장하는 종 분할에 따라 인도-서태평양에서 서식하는 Aetobatus ocellatus가 "얼룩매가오리"라는 국명에 해당하는 학명이 될 수도 있다. (분류 문단 참조.)

참고 자료 편집

  1. White, W. T. & Naylor, G. J. P. (2016년). “Resurrection of the family Aetobatidae (Myliobatiformes) for the pelagic eagle rays, genus Aetobatus”. 《Zootaxa》. 
  2. Nelson, J.S. (2006년). 《Fishes of the World (네 번째 개정판)》. 
  3. Froese, Rainer, and Daniel Pauly, eds. (2015년). “Species of Aetobatus. 《피시베이스》. 
  4. “얼룩매가오리”. 《국립수산과학원》. 2017년 8월 1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박쥐가오리”.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2017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4일에 확인함. 
  6. White, W.T. (2013년). “A New Species of Eagle Ray Aetobatus narutobiei from the Northwest Pacific: An Example of the Critical Role Taxonomy Plays in Fisheries and Ecological Sciences”. 《PLOS ONE》. 
  7. Richards, V.P., M. Henning, W. Witzell & M.S. Shivji (2009년). “Species delineation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lobally distributed spotted eagle ray (Aetobatus narinari)”. 《Journal of Heredity》. 
  8. White, W.T. (2014년). “A revised generic arrangement for the eagle ray family Myliobatidae, with definitions for the valid genera”. 《Zoota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