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레모테리움

에레모테리움(Eremotherium)은 신생대 플라이오세에서 홀로세까지 지금의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 일대에서 살았던 메가테리움과에 속하는 빈치상목 땅늘보 포유류이다.[1] 속명의 뜻은 그리스어로 '초원 또는 또는 사막의 짐승'(ἔριμος θnetριον)을 의미한다.[2]

에레모테리움

생물 분류ℹ️

발견

편집
 
에레모테리움의 화석 분포도

에레모테리움은 미국사우스캐롤라이나주부터 브라질의 리오그란데도술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화석이 발견되었고, 완전한 형태로 보존된 화석 표본들도 많이 출토되었다.[3]

특징

편집
 
프랑스 파리의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에레모테리움의 화석

에레모테리움의 크기는 6 미터 (20 ft)로 코끼리와 비슷하고, 무게는 약 4~6.5톤이며, 이는 가까운 친척인 메가테리움보다 약간 높은 수치이다. 긴 팔다리와 강한 몸을 가지고 있었으나, 두개골은 상대적으로 가늘었으며, 이빨은 균일한 형태이다. 가죽 속에 골질 구조를 띄고 있었다.[4]

남미의 온대 기후에 서식했던 메가테리움과 달리, 에레모테리움은 주로 열대아열대 저지대의 에 널리 서식했다.[5]

각주

편집
  1. Paul, Gregory S. (1998). 〈Terramegathermy And Cope's Rule In The Land Of Titans〉 (PDF). Wimbledon, W.A; Fraser, N.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An Interdisciplinary Study》.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179–217쪽. ISBN 90-5699-183-3. S2CID 209844769. 
  2. Cartelle, Cástor (2000). “Preguiças terrícolas, essas desconhecidas”. 《Ciência Hoje》 (포르투갈어) (Instituto Ciência Hoje). 
  3. McDonald, H. Gregory (2023년 6월 6일). “A Tale of Two Continents (and a Few Islands): Ecology and Distribution of Late Pleistocene Sloths”. 《Land》 (영어) 12 (6): 1192. doi:10.3390/land12061192. ISSN 2073-445X. 
  4. Dantas, Mário André Trindade; Cherkinsky, Alexander; Bocherens, Hervé; Drefahl, Morgana; Bernardes, Camila; França, Lucas de Melo (2017년 8월 15일). “Isotopic paleoecology of the Pleistocene megamammals from the Brazilian Intertropical Region: Feeding ecology (δ13C), niche breadth and overlap”. 《Quaternary Science Reviews170: 152–163. doi:10.1016/j.quascirev.2017.06.030. ISSN 0277-3791. 2024년 1월 2일에 확인함 – Elsevier Science Direct 경유. 
  5. Richard M. Fariña, Sergio F. Vizcaíno and Gerardo de Iuliis: Megafauna. Giant beasts of Pleistocene South America.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 pp. 1-436 (pp. 216-218) ISBN 978-0-253-002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