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킴두
엔킴두(𒀭𒂗𒆠𒅎𒁺)는 메소포타미아의 신으로, 농업과 관개의 신이다. 시 〈두무지드와 엔킴두〉로 잘 알려져있으나, 여러 애가들에서는 두무지드 대신 아무루와 관련된 존재로 나온다.
개요
편집엔킴두는 농업의 신이며,[1] "둑과 수로의 신"으로도 불렸다.[2] 또다른 메소포타미아의 신 목록 '안=아눔'에서는 "수로와 제방"의 신으로 루갈에파라라는 신이 등장하는데, 엔킴두의 또다른 이름으로 보기도 한다.[3] 아카드어로 작성된 신의 목록에서 엔킴두는 나부의 경작인으로 등장한다.[4] 엔비루루와 비교되기도 한다.[4] 움마에서 숭배되었는데, 관개시설을 의인화한 신격으로 추정한다.[5]
여러 애가들에서는 아무루와 모종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온다.[6]
신화
편집엔킴두와 두무지드
편집엔킴두는 두무지드와 함께 이난나에게 구애하는 내용의 신화인 〈엔킴두와 두무지드〉 이야기에서 나타난다.[1] 이 신화는 1944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가 다른 제목으로 출판하였다.[7] 뒤의 내용이 결손되어 처음에는 이난나가 엔킴두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맺음될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이후 연구가 축적되며 이러한 해석은 폐기되었다.[7] 처음에 이난나의 동생 우투는 그녀에게 두무지드를 선택하라고 재촉하지만, 이난나는 망설이고 선택하지 못한다.[8] 엔킴두는 자신이 지배하는 세력과 관련하여 그녀에게 줄 수 있는 선물들을 나열하고, 두무지드는 엔킴두의 말을 자신이 줄 수 있는 것들로 반박한다.[9] 엔킴두와 두무지드의 논쟁이 끝난 뒤에, 그들은 친구가 된다.[1] 여기서 엔킴두의 역할은 대체로 수동적인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10] 이 이야기의 마지막은 이난나에 대한 짧은 찬양으로 끝나는데, 이처럼 승자를 선택하는 맡은 신에 대한 찬양이 마지막에 삽입되는 것은 수메르 문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논쟁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11]
이와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는 애가들에서는 두무지드 대신 마르투가 등장한다. 이는 양치기 등 목축의 신인 마르투를 농경의 신인 엔킴두와 비교하여 서술하기 위한 문학적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12] 제이콥 클라인은 두무지드가 엔킴두를 반박하며 이난나에게 구애하는 모습이 마르투가 누무슈다의 딸의 손을 잡고 싶어한다는 신화에서 마르투가 승리한 것 사이에 유사성이 존재한다고 본다.[13]
다른 문헌
편집〈엔키와 세계의 질서〉라는 신화에서 여러 농경 집단이 엔킴두를 찬미하는 장면이 등장한다.[14] 엔킴두는 여기서 엔릴의 농부로 묘사된다.[5] 이외에도 우르남무 찬가는 우르남무왕을 엔킴두에 비교한다.[15]
미겔 시빌은 〈경작하는 황소의 노래〉가 엔킴두가 다른 사람 사이의 대화를 묘사하고 있는데, 이 대화에서 엔킴두는 어떻게 논밭에 물을 대는지 설명한다고 말한다.[16]
현대
편집시카고 대학의 근동 연구소에서 MASS(Modeling Ancient Settlement Systems; 고대 거주지 모델링 시스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한 시뮬레이션 엔진에 ENKIMDU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7] 이 엔진은 아곤 국립 연구소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18] 기원전 4천년 말에서 3천년 사이의 고대 근동 사회의 발전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특히 주요 작물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7] 시리아의 텔 베이다르에 이 시뮬레이션이 처음으로 시행되었다.[17]
각주
편집- ↑ 가 나 다 Black 2006, 86쪽.
- ↑ Flückiger-Hawker 1999, 105쪽.
- ↑ Lambert 1987, 138쪽.
- ↑ 가 나 Lambert 2013, 486쪽.
- ↑ 가 나 Cohen 1993, 184쪽.
- ↑ Klein 1997, 104쪽.
- ↑ 가 나 Mittermayer 2015, 383쪽.
- ↑ Black 2006, 87쪽.
- ↑ Mittermayer 2015, 387쪽.
- ↑ Mittermayer 2015, 395쪽.
- ↑ Ayali-Darshan 2020, 87쪽.
- ↑ Klein 1997, 105쪽.
- ↑ Klein 1997, 109쪽.
- ↑ Vanstiphout 1997, 117쪽.
- ↑ Flückiger-Hawker 1999, 46쪽.
- ↑ Civil 2017, 396쪽.
- ↑ 가 나 다 Hritz 2014, 242쪽.
- ↑ Wilkinson, Christiansen & Ur 2007, 58쪽.
참고 문헌
편집- Ayali-Darshan, Noga (2020). “The Closing Hymn of the Ugaritic Baal Cycle (KTU 1.6 VI 42–54): A Mesopotamian Background?”. 《Die Welt des Orients》 (Vandenhoeck & Ruprecht (GmbH & Co. KG)) 50 (1): 79–96. ISSN 0043-2547. JSTOR 26977754.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 Black, Jeremy A. (2006). 《The Literature of Ancient Sumer》.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9633-0.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 Civil, Miguel (2017) [1976]. 〈The Song of the Plowing Oxen〉. 《Studies in Sumerian Civilization. Selected writings of Miguel Civil》. Publicacions i Edicions de la Universitat de Barcelona. ISBN 978-84-9168-237-0. OCLC 1193017085.
- Cohen, Mark E. (1993). 《The cultic calendars of the ancient Near East》. Bethesda, Md.: CDL Press. ISBN 1-883053-00-5. OCLC 27431674.
- Flückiger-Hawker, Esther (1999). 《Urnamma of Ur in Sumerian Literary Tradition》. Vandenhoeck & Ruprecht.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 Hritz, Carrie (2014). “Contributions of GIS and Satellite-based Remote Sensing to Landscape Archaeology in the Middle East”. 《Journal of Archaeological Research》 (Springer) 22 (3): 229–276. ISSN 1059-0161. JSTOR 24018073.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 Klein, Jacob (1997). 〈The God Martu in Sumerian Literature〉. Finkel, I. L.; Geller, M. J. 《Sumerian Gods and their Representations》. ISBN 978-90-56-93005-9.
- Lambert, Wilfred G. (1987), 〈Lugal-epara〉,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 Lambert, Wilfred G. (2013). 《Babylonian creation myths》. Winona Lake, Indiana: Eisenbrauns. ISBN 978-1-57506-861-9. OCLC 861537250.
- Mittermayer, Catherine (2015). “Der Wettstreit zwischen Dumuzi und Enkimdu” (PDF). 《Babel und Bibel》 (Penn State University Press) 8. doi:10.1515/9781575063553-015. 2022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Vanstiphout, Herman L. J. (1997). 〈Why did Enki Organize the World?〉. Finkel, I. L.; Geller, M. J. 《Sumerian Gods and their Representations》. ISBN 978-90-56-93005-9.
- Wilkinson, T. J.; Christiansen, J. H.; Ur, J. (2007). “Urbanization within a Dynamic Environment: Modeling Bronze Age Communities in Upper Mesopotamia”. 《American Anthropologist》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09 (1): 52–68. ISSN 0002-7294. JSTOR 4496588.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