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관상동맥

심장의 동맥
(우관상동맥에서 넘어옴)

심장관상순환에서 오른관상동맥(right coronary artery, RCA) 또는 오른심장동맥, 우관상동맥(右冠狀動脈)은 대동맥판의 오른쪽 첨판에 존재하는 오른쪽 대동맥굴에서 시작되는 동맥이다.[1][2] 이후에는 오른쪽 관상고랑을 따라 이동한다.[1][3] 심장의 오른쪽과 심실사이막에 혈액을 공급한다.[2][4]

오른관상동맥
심장의 관상순환. 오른관상동맥이 표시됨.
정보
위치심장
혈액 공급우심방, 우심실
좌심실의 25-35%
식별자
라틴어arteria coronaria dextra
영어right coronary artery
TA98A12.2.03.101
TA24131
FMA50039

구조 편집

오른관상동맥은 대동맥판 위의 오른쪽 대동맥굴 위에서 시작된다.[1][2] 이후 오른쪽 관상고랑(오른쪽 방실사이고랑)을 따라 관상고랑과 뒤심실사이고랑이 만나는 지점까지 주행한다.[1][3] 뒤심실사이동맥, 오른모서리가지, 굴심방결절동맥 등의 많은 가지를 낸다.[5]

분절 편집

  • 몸쪽: 오른관상동맥이 시작하는 지점부터 심장 오른쪽 경계까지 가는 길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6][7]
  • 중간: 몸쪽 부분이 끝나는 지점에서 오른쪽 경계까지의 부분.[6][7]
  • 먼쪽: 중간 부분부터 뒤심실사이동맥 시작 지점까지의 부분. 뒤심실사이고랑은 심장 바닥에서 관상고랑과 만나며 이 지점에서 뒤심실사이동맥이 시작된다.[6][7]

변이 편집

환자의 약 80%(오른쪽 우세, right dominant인 경우)에서 오른관상동맥은 뒤심실사이동맥(뒤내림동맥)을 낸다. 다른 20%의 경우(왼쪽 우세, left dominant거나 공동 우세, codominant인 경우)에서 뒤심실사이동맥은 왼관상동맥 휘돌이가지에서 의해 나오거나 오른관상동맥과 휘돌이가지 양쪽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8] 오른관상동맥은 심장의 아래쪽 벽, 심실사이막, 뒤안쪽 꼭지근에 혈액을 공급한다.

또한 오른관상동맥은 60%의 경우에서 굴심방결절동맥을 낸다. 나머지 40%에서는 휘돌이가지가 굴심방결절동맥을 낸다.

드물기는 하지만 왼쪽 대동맥굴에서 나오는 경우처럼 오른관상동맥의 몇 가지 비정상적인 경로가 기술된 바 있다.[9]

기능 편집

오른관상동맥은 우심방, 우심실, 심실사이막의 뒤쪽 3분의 1과 아래쪽 끝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한다.[2][4] 좌심실의 25~35%에 혈액을 공급할 수도 있다.[10]

관상동맥의 공급은 크게 겹친다.[2] 오른관상동맥은 50%의 경우 왼관상동맥보다 우세하고 20%의 경우와는 대등하며 30%의 경우에서는 왼관상동맥이 더 우세하다.[2]

추가 이미지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Aggeli, Constantina; Mavrogeni, Sofia; Tousoulis, Dimitris (2018년 1월 1일), Tousoulis, Dimitris, 편집., “Chapter 3.5.1 - Non-invasive Imaging Techniques in Coronary Artery Disease”, 《Coronary Artery Disease》 (영어) (Academic Press), 337–358쪽, doi:10.1016/b978-0-12-811908-2.00017-9, ISBN 978-0-12-811908-2,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2. Pappano, Achilles J.; Gil Wier, Withrow (2013년 1월 1일), Pappano, Achilles J.; Gil Wier, Withrow, 편집., “11 - Coronary Circulation”, 《Cardiovascular Physiology (Ten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Elsevier), 223–236쪽, doi:10.1016/b978-0-323-08697-4.00011-3, ISBN 978-0-323-08697-4,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3. Sivananthan, M. (2018년 1월 1일), 〈Coronary Anatomy〉, Vasan, Ramachandran S.; Sawyer, Douglas B., 《Encyclopedia of Cardiovascular Research and Medicine》 (영어), Oxford: Elsevier, 691–699쪽, doi:10.1016/b978-0-12-809657-4.99738-2, ISBN 978-0-12-805154-2,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4. Schipper, Paul; Sukumar, Mithran; Mayberry, John C. (2008년 1월 1일), Asensio, JUAN A.; Trunkey, DONALD D., 편집., “Pertinent Surgical Anatomy of the Thorax and Mediastinum”, 《Current Therapy of Trauma and Surgical Critical Care》 (영어) (Philadelphia: Mosby), 227–251쪽, doi:10.1016/b978-0-323-04418-9.50037-0, ISBN 978-0-323-04418-9,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5. Antonopoulos, Alexios S.; Siasos, Gerasimos; Antoniades, Charalambos; Tousoulis, Dimitris (2018년 1월 1일), Tousoulis, Dimitris, 편집., “Chapter 2.1 - Functional Anatomy”, 《Coronary Artery Disease》 (영어) (Academic Press), 121–126쪽, doi:10.1016/b978-0-12-811908-2.00008-8, ISBN 978-0-12-811908-2,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6. Villa, AD; Sammut, E; Nair, A; Rajani, R; Bonamini, R; Chiribiri, A (2016년 6월 28일). “Coronary artery anomalies overview: The normal and the abnormal.”. 《World Journal of Radiology》 8 (6): 537–55. doi:10.4329/wjr.v8.i6.537. PMC 4919754. PMID 27358682. 
  7. Kini, S; Bis, KG; Weaver, L (June 2007). “Normal and variant coronary arterial and venous anatomy on high-resolution CT angiography.”. 《AJR.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88 (6): 1665–74. doi:10.2214/AJR.06.1295. PMID 17515392. 
  8. Shahoud, James S.; Ambalavanan, Manoj; Tivakaran, Vijai S. (2020). 《Cardiac Dominance》. StatPearls Publishing. PMID 30725892. 
  9. Angelini, P. (2014년 7월 15일). “Novel Imaging of Coronary Artery Anomalies to Assess Their Prevalence, the Causes of Clinical Symptoms, and the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Circulation: Cardiovascular Imaging》 7 (4): 747–754. doi:10.1161/CIRCIMAGING.113.000278. PMID 25027456. 
  10. Wheeler, Derek S.; Wong, Hector R.; Shanley, Thomas P. (2014년 5월 22일).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Volume 2: Respiratory, Cardiova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s》 (영어). Springer. 306쪽. ISBN 978-1-4471-63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