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언어/표기 원칙

다음은 위키프로젝트:언어에서 사용할 언어명과 어족명의 표기 원칙입니다.

표기 원칙

편집

1. 어원을 중시한다

편집
  • 옮기려는 언어명의 어근이 된 어원을 그대로 한국어로 옮긴다. 즉, 영어나 러시아어로 된 언어명에서 형용사화 접미사 등은 옮기지 않는다.
버림 취함 비고
인도네시안 인도네시아어 Indonesian의 -n은 접미사로, 옮기지 않는다.
인도유러피언어족 인도유럽어족 Indo-European의 -an은 접미사로, 옮기지 않는다.
구자라티어 구자라트어 Gujarati의 -i는 접미사로, 옮기지 않는다.
마라트어 마라티어 Marathi는 어원이 मराठी (marāṭhī)이므로 -i가 접미사가 아니다.
파마늉안어족 파마늉아어족 Pama-Nyungan의 -n은 접미사로, 옮기지 않는다.
  • 예외 사항 추가

2. 원어 독음을 우선한다

편집
  • 해당 언어의 원어 독음을 우선시합니다. (예시 추가)
  • 예외 사항 추가

3. 널리퍼진 지명/국명을 있으면 우선한다. (또는 복수 인정)

편집
버림 취함 비고
더치어, 네데를란츠어 네덜란드어 영어명 Dutch (더치), 네덜란드어명 Nederlands (네데를란츠)보다 국명인 '네덜란드'가 더 널리 사용되므로 지명을 언어명에 그대로 사용한다.
타이어 태국어 민족과 언어를 가리키는 영어명 Thai 또는 원어명 ไทย (타이)보다 한자어 국명인 '태국'이 더 널리 사용되므로 지명을 언어명에 그대로 사용한다. 관련 토론1 관련 토론2
  • 지명/국명이 존재한다고 반드시 원칙을 고수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 빈도와 정치적 상황 등을 감안하여 유연하게 적용한다.
버림 취함 비고
카자흐스탄어 카자흐어
소말리아어 소말리어
르완다어 키냐르완다어

4.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을 따른다

편집
  • 국립국어원의 외래어표기법과 기타 언어 표기 세칙을 준수한다.
  • 단, 국립국어원 표기 시안이나 표준국어대사전 표제어가 크게 잘못 되었다고 여겨지는 경우 따르지 않는다.
버림 취함 비고
유토아스텍어족 유트아스테카어족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유토아스텍어족'이 등재되어 있으나, 원칙 1을 중대하게 어기는 오류이다.

표제어 관련 토론 목록

편집
  1. 토론: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