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교의 기원

유대교의 기원청동기 시대다신교고대 셈족 종교들(Ancient Semitic religions), 이들 중 특히 가나안 종교(Canaanite religion)와 히브리 성경타나크》의 초기 예언서(네비임)에 나타나는 가나안 신 야훼(Yahweh) 숭배에 있다.[1][2] 기원전 6~5세기의 바빌론 유수(-幽囚, Babylonian captivity) 동안, 유수(幽囚: 잡아 가둠)에 처한, 즉 자신들이 살던 유대 땅으로부터 바빌론으로 추방된 유대 왕국인들 중 일부는 바빌론에서 일신교 · 선민 사상 · 율법(신의 법칙· 계약에 대한 기존의 개념과 관념을 재정립하여 후대의 유대 땅을 지배하게 될 신학을 성립하였다.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후 70년까지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는 유대인 디아스포라(Jewish diaspora)의 헬레니즘 유대교(Hellenistic Judaism) 뿐만 아니라 두 번째 성전 유대교(Second Temple Judaism) 시대의 다양한 신학적 학파들로 발전하였다. 이 시대 동안 히브리 성경의 텍스트들은 현존하는 모습으로 개정되었으며, 아마도 또한 이 텍스트들의 정경화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랍비 유대교(Rabbinic Judaism)가 고대 후기(2~8세기) 중 3~6세기 동안 성립되었다. 즉 히브리 성경마소라 본문(Masoretic Text: 자음으로 된 기존 텍스트에 모음을 더한 것)과 탈무드가 이 시대 동안 편찬 또는 성립되었다. 탈무드는 유대교의 율법, 윤리, 철학, 관습 및 역사 등에 대한 랍비의 토론을 담은 유대교의 성전으로 주류 유대교의 중심을 이루는 문헌이다. 탈무드는 기원후 220년 경에 형성된 미슈나와 기원후 500년 경에 형성된 게마라로 구성되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ordon J. Wenham: 《The Religion of the Patriarchs》 (PDF-Format), p. 9, A.R. Millard & D.J. Wiseman, eds., Essays on the Patriarchal Narratives. Leicester: IVP, 1980. Hbk. ISBN 0-85111-743-0.
  2. John Bright: 《A History of Israel》 Westminster John Knox Press, 7/1/2000. ISBN 978-0-664-220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