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김지영(본명 윤지영)은 부산에서 학창시절을보냈다.쌍둥이 언니가 윤지선이다. 2021년 창원대학교 철학과의 정규 전임교수로 임용되었으며. 그 전에는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연구전임교수로 활동했다.[1] 주요 학문 주제는 페미니즘 철학과 프랑스 현대철학이다.[2] 페미니즘 철학을 주제로 <말과활> 아카데미에서 강좌를 열기도 하고 건국대학교에서 2년간의 시민 강좌도 기획하였으며 여러 국내외 언론과 인터뷰도 하였다.[3][4][5][6][7][8][9][10][11]

경력 편집

  • 건국대학교 연구전임교수
  • 창원대학교 전임교수[12]
    • 담당과목 : 서양철학

학력 편집

논문 편집

  •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한국여성철학. 2015년 11월.[13][14][15]
  •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철학논집 제46집. 2016년 8월.[16]
  • 《현실의 운용 원리로서의 여성 혐오》. 철학연구 제115집. 2016년 12월.[17][18]
  • 30여 편의 SCI급 학술지 기고 논문들[19]

저서 편집

공저 편집

  • 윤지선·윤김지영. 《탈코르셋 선언》. 사월의책. 2019년. ISBN 9788997186815

역서 편집

  • 엘자 도를랑 저. 《자신을 방어하기》. 그린비. 2020년. ISBN 9788976829917

가족 편집

논란 편집

  • 이슬람 난민 인종혐오 논란 : 2018년 예멘 제주 난민 사태 당시 "난민 캠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난민 여성들에 대한 각종 성폭력과 상해, 살인, 협박, 갈취 등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는가부터 고심하는 것이 제주도 예멘 난민 정책에 대한 실질적 대책"이라고 주장하여 인종주의적 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21]
  • 숙명여대 트랜스포비아 옹호 논란 : 2020년 숙명여자대학교 트랜스젠더 학생 입학 논란 당시 "(여성들의 목소리를) 소수자 혐오로 보기 힘들다. 여성은 메일바디(Male Body), 즉 남성의 몸을 가지고 태어났던 사람, 남성 폭력에 가담하고 동조했던 경험이 있는 이에 대한 공포가 있기 때문에 거부 반응을 당연히 드러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여 트랜스여성에 대한 혐오에 동조하는 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22]

각주 편집

  1. “윤김지영 교수 "이제 페미니즘 얘기하지 않는 여성이 없다". 《뉴시스》. 
  2. 손정빈. 윤김지영 교수 "이제 페미니즘 얘기하지 않는 여성이 없다". 뉴시스. 2018년 6월 9일.
  3. 김계연. (신간)헬페미니스트 선언·여성괴물. 연합뉴스. 2017년 7월 5일.
  4. 황수현. (북 인터뷰)“헬조선의 지형도에도 여성은 없다". 한국일보. 2017년 7월 12일.
  5. 장정일. 그날 이후, 변이체와 비체가 왔다 Archived 2017년 8월 15일 - 웨이백 머신. 시사IN. 2017년 7월 20일.
  6. 윤김지영. 불편한 용기’의 분노는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한겨레. 2018년 12월 29일.
  7. Alexandra Stevenson. South Korea Loves Plastic Surgery and Makeup. Some Women Want to Change That.. The New York Times. Nov. 23, 2018.
  8. Min Joo Kim and Simon Denyer. Lipstick in kindergarten? South Korea’s K-beauty industry now targets those barely able to read.. The Washington Post. Feb. 16, 2019.
  9. South Korean Women Fight Back Against Spy Cams In Public Bathrooms. NPR. October 19, 2018.
  10. South Korean Women Face Threat Of Cameras In Bathroom Stalls. NPR. September 20, 2018.
  11. South Korean women v the patriarchy. The Economist. Dec 8th 2018.
  12. 전임교수
  13.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63282&language=ko_KR
  14. https://www.earticle.net/Article/A257717
  15. 구정모. 논문으로 본 올해 키워드는 여성혐오와 인공지능. 연합뉴스. 2016년 12월 25일.
  16. 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2ahUKEwjv_vOdtrrhAhXLF4gKHbpMCz0QFjAAegQIBBAC&url=http%3A%2F%2Fhome.sogang.ac.kr%2Fsites%2Fsgriphil%2Ftestmenu3%2FLists%2Fb101%2FAttachments%2F55%2F46-11_%25EC%259C%25A4%25EC%25A7%2580%25EC%2598%2581.pdf&usg=AOvVaw3vhTVFZg1S7oHBLiUlLvx-
  17.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097657&language=ko_KR
  1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d6acffb2c2c342f747de9c1710b0298d
  19. SCI급 논문 검색 및 활용: Journal list.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20. 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남근이성중심주의의 해체)
  21. 김봉수. 트럼프와 닮아간 한국의 급진 페미니스트들. 아시아경제. 2018년 6월 25일
  22. 박현광. 왜 페미니스트는 ‘트랜스젠더 여성’을 받아들이지 않을까. 일요신문. 2020년 2월 21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