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장(意味場, semantic field)은 언어학에서 특정 주제를 가리키도록 의미론적으로 묶인 단어들의 어휘적 집합이다.[1][2] 이 용어는 인류학,[3] 계산기호학,[4] 기술주석에도 사용된다.[5]

역사

편집

의미장 이론의 기원은 1930년대에 조스트 트리어가 선보인 의미장이론이지만[6]:31 존 라이언스에 따르면 역사적 뿌리는 빌헬름 폰 훔볼트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된다.[1]

의미 변화

편집

주어진 단어의 의미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영어 단어 man은 예외적으로 "인간"을 의미하는 반면 오늘날에는 "성인 남성"을 의미하는 것이 지배적이지만 의미장은 일부의 경우 일반적인 사람을 의미하도록 여전히 확장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oward Jackson, Etienne Zé Amvela, Words, Meaning, and Vocabulary, Continuum, 2000, p14. ISBN 0-8264-6096-8
  2. Pamela B. Faber, Ricardo Mairal Usón, Constructing a Lexicon of English Verbs, Walter de Gruyter, 1999, p67. ISBN 3-11-016416-7
  3. Ingold, Tim (1996). Key debates in anthropology. Routledge. ISBN 0-415-15020-5, ISBN 978-0-415-15020-0. Source: [1] (accessed: Sunday May 2, 2010), p.127
  4. Andersen, Peter Bøgh (1990). A theory of computer semiotics: semiotic approaches to construction and assessment of computer systems. Volume 3 of Cambridge series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9336-1, ISBN 978-0-521-39336-2. Source: [2] (accessed: Sunday May 2, 2010), p.327
  5. DA Carson, Exegetical Fallacies, section "Expansion of an Expanded Semantic Field"
  6. David Corson, Using English Words, Springer, 1995. ISBN 0-7923-37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