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자불화

조선 도조의 왕자

이완자불화(李完者不花, 생몰년 미상)은 추존왕 조선 도조와 후처 양빈 조씨의 사이에 태어난 장자이다.

생애

편집

그의 아들 순녕군 이지조선 태조의 종제이기도 하다.

그는 8세 나이에 조실부모하여 외숙부의 사저에서 자라다가 조선 태조가 잠저로 불러서 양육하였다.

그 후 1377년, 태조를 따라 지리산에 침입한 왜구를 소탕하는데 공을 세웠다.

태조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키자 중랑장으로 참여하였고 조선 개국 후, 상호군에 오르고 순녕군에 봉해졌다. 벼슬은 영의정부사 직무대행 서리 직책에 이르렀다.

가계

편집
  • 아버지 : 조선 도조 이춘(李椿)
  • 어머니 : 양빈 조씨 - 쌍성총관 조양기(趙良琪)의 딸
    • 부인 : 안변 박씨(安邊 朴氏) - 박득현(朴得賢)의 딸[1]
      • 아들 : 순녕군(順寧君) 이지(李枝)[2]
    • 형제 : 이나해(李那海)
    • 남매 : 문혜공주(文惠公主) - 대장군(大將軍) 문인영(文仁永)에게 하가
    • 남매 : 문숙공주(文淑公主) - 다루가치(達魯花赤) 김마분(金馬紛)에게 하가
    • 남매 : 문의공주(文懿公主) - 허중(許重)에게 하가

각주

편집
  1.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권, 총서 21번째기사
  2.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35권, 세종 9년 1월 3일 임진 2번째기사 / 영돈녕부사로 치사한 이지의 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