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재 (1936년)
출신 학교편집
활동편집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학생회장으로 4.19 혁명을 맞이했으며, 졸업 후 크리스천 아카데미에서 활동하다가 1980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옥고를 치뤘다.
1991년 민중당의 상임대표로 서울 구로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고, 이후 민주자유당에 입당했다. 15대 총선에 신한국당 소속으로 당선되었고, 16대에는 8.8재보궐 선거에서 당선했다. 당선 후 국가보안법 개정에 반대하고 1996년 크리스마스의 노동법 날치기에 참가한 이유로 시민사회단체의 낙천대상이 되었다. [1]
그러던 중 2003년 7월에 한나라당의 소장개혁파였던 이부영, 안영근, 김부겸, 김영춘과 함께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천정배, 정동영, 신기남 등의 새천년민주당의 친노세력들과 함께 열린우리당을 창당한다.
그러나 17대 총선 후보 경선에서 민주당 지구당위원장이었던 이목희에 패한 뒤 2005년 4월부터 2008년 4월까지 한국마사회 회장을 지내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특기 사항편집
마사회장으로 재직하던 2007년 7월 31일 교통사망사고를 내었다. 300여 미터를 더 운전하고, 사고 10분 뒤 119 신고를 해 뺑소니 의혹을 받았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제14대 총선 | 국회의원(서울 구로구 을) | 14대 | 민중당 | 20.4% | 25,134표 | 3위 | 낙선 |
제15대 총선 | 국회의원(서울 금천구) | 15대 | 신한국당 | 37.31% | 41,412표 | 1위 | |
제16대 총선 | 국회의원(서울 금천구) | 16대 | 한나라당 | 39.96% | 41,204표 | 2위 | 낙선 |
8·8 재보궐선거 | 국회의원(서울 금천구) | 16대 | 한나라당 | 54.0% | 24,649표 | 1위 |
링크 자료편집
각주편집
- ↑ 김당 (2000년 2월 1일). “누가 '부적격 의원' 인가?”. 신동아. 2008년 4월 12일에 확인함.
- ↑ 송인걸 (2007년 8월 7일 13쪽). “이우재 마사회장 교통사망사고 내”. 한겨레. 이후 사건 처리 결과는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없었다
외부 링크편집
전임 (신설) |
제15대 국회의원(서울 금천구)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신한국당 → 한나라당 |
후임 장성민 |
전임 장성민 |
제16대 국회의원(서울 금천구) 2002년 8월 9일 ~ 2004년 5월 29일 한나라당 → 무소속 → 열린우리당 |
후임 이목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