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利川 東山里 磨厓如來像)은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동산리, 마을 남서쪽 대덕산 기슭에 위치해 있는 마애불이다. 1986년 4월 14일 이천시의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1]

이천 동산리 마애여래상
(利川 東山里 磨厓如來像)
대한민국 이천시향토유적
종목향토유적 제9호
(1986년 4월 14일 지정)
수량1개
위치
이천 동산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이천 동산리
이천 동산리
이천 동산리(대한민국)
주소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동산리 산121
좌표북위 37° 11′ 38″ 동경 127° 24′ 25″ / 북위 37.19389° 동경 127.40694°  / 37.19389; 127.40694

개요 편집

동산리(東山里) 마을 남서쪽 대덕산(大德山) 기슭에 위치해 있다.[2]

불상의 모양 편집

불상(佛像)은 화강암 자연석을 깎아 높이 203cm, 폭 79~91cm, 두께 15~20cm의 좌경(左傾) 장방형 판석(板石)을 세우고, 그 전면에 세련되고 유연한 조각(彫刻) 솜씨로 여래(如來)의 입상을 1cm 깊이로 선해 놓았다.[3]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육계(肉髻)가 높직하고, 상호(相好)는 둥글고 원만하며 코 부위는 약간 마멸되어 있다. 두 귀는 양 어깨에까지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3도가 뚜렷하다. 옷은 통견의(通肩衣)로서 의문(衣文)은 사선(斜線) 또는 밑으로 자연스럽게 흘려 선각해 놓았다. 오른손은 가슴에 올려 엄지와 검지를 마주 댄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의 구품인(九品印) 중에 상품중생(上品中生)의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왼손은 엄지를 구부린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위에 가만히 올려 놓았다.[4] 머리 뒤쪽으로 지름 약 90cm의 두광(頭光)이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인 느낌은 입상이지만, 무릎 아래는 표현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입상인지 좌상인지 확인할 수 없다.[5]

불상과 입석사 편집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불우조(佛宇條)에는 입석사재호법리대덕산(立石寺在戶法里大德山)이라 기록된 것으로 보아, 이 산중에 입석사(立石寺)가 위치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6] 또 불상에서 서쪽으로 입석(立石)재 고개란 지명이 붙여진 것으로 보아, 이 모두가 여래상(如來像)이 새겨진 바위, 곧 입석(立石)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7] 하지만 마애여래상 위치에 입석사가 있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 마애여래상 서쪽으로 입석재 고개가 있으며, 그곳에 커다란 입석이 있다고 한다.[8]

이 불상 바로 옆에 입석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는데, 1978년 봄에 불법 건물로 철거되었다.[8]

입석사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근처 여주 북내면에 고달사가 있었다. 고달사는 국가에서 운영하던 큰 절로서, 그곳에 있던 국사(국가나 왕의 사표가 되는 고승)를 비롯한 고승대덕(큰 덕을 갖춘 고승)들이 노후에 입석사에 좌선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고려임금들이 고달사에 들렀다가, 고승대덕들을 보러 행차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9][10]

불상의 위치와 조성 연대 편집

불상의 현 위치가 원래 불상이 조성되었던 위치인지는 알 수 없다. 양식과 기법, 문헌을 종합하면 불상의 조성연대는 고려(高麗) 초기~중기로 추정된다.[4][5]

현재 보존 상태 편집

현재 많은 불상이 그렇듯, 동산리 마애여래상도 코 부분이 뭉개져 있는데, 이는 불상의 코를 갈아 먹으면 남아를 임신한다는 미신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전체보기 - 미디어이천”.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2. “문화재 - 미디어이천”.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3. “시 지정 문화재 - 문화관광”.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4. 현지 안내문 인용
  5. “동산리 마애여래상”.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6. 노원마신 (2011년 8월 28일). “신증동국여지승람 8권 이천도호부”. 2021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8월 8일에 확인함. 
  7. 이천시 (2004년 12월 31일). “이천시 향토유적”.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8. “경기도 메모리” (PDF). 《경기도사이버도서관》. 
  9. “대덕산 - 문화관광”.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10. “한국의 산하 - 대덕산”. 2021년 8월 6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