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

경기도의 자치시

이천시(利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이다. 동쪽으로 여주시, 서쪽으로 용인시,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 남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이천시
利川市
이천시청
이천시청
시기
행정
행정 구역2읍 8면 4행정동 15법정동
청사 소재지경기도 이천시 부악로 40
시장김경희(국민의힘)
국회의원송석준(국민의힘, 이천시)
지리
면적497.9 km2
상징
시목소나무
시화진달래
시조까치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icheon.go.kr/

역사

편집

삼국시대 초에는 백제의 영지였으나, 고구려 제20대 장수왕 63년 고구려에 속하며 남천현이라 불렸다. 551년 신라 제24대 진흥왕 때 남천주로 군주(오늘날 도청소재지)를 두었다. 757년 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 황무현으로 개칭하고 광주(지금 광주)의 편입시켰다. 936년 고려 태조후백제 남정을 할 때 이천군이라 칭하였고 고려 제23대 고종 44년에는 영창이라 불렀다. 1390년 제34대 공양왕 8년 남천군이라 이름을 바꾸고 승격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 이천현으로 감무를 두었으며, 제 3대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 1444년 세종 26년에 도호부가 되어 부사의 부임지가 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되었다.[1]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이천군으로 개편하였다.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이천군으로 개편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이천군과 음죽군(陰竹郡)을 통합하여 죽천군(竹川郡)을 신설하고 군청을 기존 이천군 청사 소재지에 두었다.[2][3]
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이천군 읍면(邑面) 읍내면(邑內面) 갈산리, 관고리, 안흥리, 율현리, 중리, 증일리, 증포리, 진리, 창전리
이천군 신면(新面) 이천군 둔면(屯面) 송정리 사음리
신둔면 남정리, 도암리, 수하리, 지석리 고척리, 마교리, 소정리, 용면리, 수광리, 수남리, 인후리
이천군 사면(沙面) 도봉리, 장동리
백사면 경사리, 도립리, 송말리, 신대리, 현방리
이천군 백면(栢面) 내촌리, 도지리, 모전리, 백우리, 상룡리, 우곡리, 조읍리,
이천군 호면(戶面) 호법면 단천리, 동산리, 매곡리, 안평리, 유산리, 주미리, 주박리, 후안리
이천군 모면(暮面) 송갈리
모가면 두미리, 소고리, 소사리, 어농리, 원두리
이천군 가면(加面) 산내리, 서경리, 송곡리, 양평리, 진가리
이천군 대면(大面) 신갈리
대월면 단월리, 대포리, 도리리
이천군 초면(草面) 고담리, 대대리, 대흥리, 부필리, 사동리, 장록리, 초지리
이천군 월면(月面) 구시리, 군량리, 송라리, 장평리
이천군 부면(夫面) 부발면 고백리, 대관리, 무촌리, 신원리, 죽당리
이천군 발면(鉢面) 가산리, 가좌리, 마암리, 산촌리, 송온리, 수정리, 신하리, 아미리, 응암리
이천군 마면(麻面) 마장면 관리, 덕평리, 오천리, 양촌리, 작촌리, 회억리
이천군 장면(長面) 각평리, 이평리, 목리, 이치리, 장암리, 표교리, 해월리
음죽군 군내면(郡內面) 청미면(淸渼面) 방추리, 선읍리
음죽군 동면(東面) 나래리, 노탑리, 와현리, 이황리, 풍계리
음죽군 남면(南面) 대서리, 송산리, 어석리, 오남리, 장호원리, 진암리
음죽군 서면(西面) 설성면 금당리, 신필리, 장능리, 제요리, 행죽리
음죽군 근북면(近北面) 상봉리, 송계리, 암산리, 자석리
음죽군 원북면(遠北面) 대죽리, 수산리, 장천리
음죽군 상율면(上栗面) 율면 본죽리, 북두리, 산성리, 산양리, 석산리, 오성리
음죽군 하율면(下栗面) 고당리, 신추리, 월포리, 총곡리
대동여지도》 중 이천(가운데 동그라미 부분)
  • 1914년 9월 27일, 죽천군을 이천군(利川郡)으로 개칭하였다.[4]
  • 1938년 10월 1일, 읍내면을 이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41년 10월 1일, 청미면을 장호원읍으로 승격하였다.[5]
  • 1966년 4월 21일, 대월면에 초지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9년 4월 1일, 부발면을 부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6년 3월 1일, 이천군 전체를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이천시를 설치하였다.[6]
  • 1996년 5월 1일, 대월면 가운데 초지출장소가 관리하지 않는 지역을 중리동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 법정구역
기존 개편 후
중리동 중리동 중리동, 증일동, 율현동, 진리동
대월면 단월리, 대포리, 고담리, 장록리
대월면 초지리, 사동리, 대대리, 대흥리, 도리리, 구시리, 군량리, 송라리, 장평리, 부필리

산업

편집

지역내 총생산

편집

이천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23조 1,380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5,217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5조 9,880억원으로 69.7%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조 4,987억원으로 28.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와 주택단지가 건설되고 있어 건설업(3.8%)과 사업서비스업(3.5%), 도소매업(3%)과 운수업(2.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7]

산업별 종사자 현황

편집

2014년 이천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99,369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90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33,823명으로 3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5,154명으로 65.6%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1.4%), 숙박 및 음식점업(9.3%), 사업서비스업(9.3%), 운수업(6.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8]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편집

이천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190,673명이고 주간인구는 202,07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6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405명, 유출인구는 11,41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903명, 유출인구는 2,501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1,397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9]

지리

편집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동서간 거리가 27km, 남북간 거리가 36km로 총 면적은 461km2이다. 동쪽으로는 여주시, 서쪽에는 용인시, 서남쪽은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남북의 지형은 마치 긴 표주박 모양이고, 타 시군과의 경계 주위에는 구릉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강 지류인 복하천이 시내 중심부를 흘러 소평야를 이루고 있어 관개의 이점이 있음으로 지질은 대체로 비옥한 편이다.

남북의 중부, 동서의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국도 제3호선수원에서 여주를 잇는 국도 제42호선이 교차하는 사통팔달의 교통요충지로써 좋은 산업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10]

기후

편집
이천시 (이천기상관측소, 부발읍 신하리)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14.5
(58.1)
20.8
(69.4)
24.8
(76.6)
32.5
(90.5)
33.7
(92.7)
35.7
(96.3)
38.3
(100.9)
39.4
(102.9)
34.5
(94.1)
29.1
(84.4)
25.4
(77.7)
18.2
(64.8)
39.4
(102.9)
일평균 최고 기온 °C (°F) 2.7
(36.9)
6.0
(42.8)
12.2
(54.0)
19.3
(66.7)
24.4
(75.9)
27.9
(82.2)
29.4
(84.9)
30.2
(86.4)
26.0
(78.8)
20.4
(68.7)
12.1
(53.8)
4.4
(39.9)
17.9
(64.2)
일일 평균 기온 °C (°F) −3.1
(26.4)
−0.3
(31.5)
5.4
(41.7)
11.9
(53.4)
17.6
(63.7)
22.0
(71.6)
24.7
(76.5)
25.0
(77.0)
19.8
(67.6)
13.0
(55.4)
5.8
(42.4)
−1.2
(29.8)
11.7
(53.1)
일평균 최저 기온 °C (°F) −8.5
(16.7)
−6.1
(21.0)
−0.9
(30.4)
5.0
(41.0)
11.2
(52.2)
16.7
(62.1)
20.9
(69.6)
21.1
(70.0)
15.0
(59.0)
7.0
(44.6)
0.2
(32.4)
−6.3
(20.7)
6.3
(43.3)
역대 최저 기온 °C (°F) −26.5
(−15.7)
−22.8
(−9.0)
−12.1
(10.2)
−4.9
(23.2)
2.0
(35.6)
6.5
(43.7)
12.9
(55.2)
12.1
(53.8)
2.9
(37.2)
−5.0
(23.0)
−15.6
(3.9)
−25.7
(−14.3)
−26.5
(−15.7)
평균 강수량 mm (인치) 19.2
(0.76)
29.6
(1.17)
42.9
(1.69)
78.5
(3.09)
93.2
(3.67)
128.2
(5.05)
364.3
(14.34)
288.0
(11.34)
153.1
(6.03)
50.9
(2.00)
45.1
(1.78)
22.9
(0.90)
1,315.9
(51.81)
평균 강수일수 (≥ 0.1 mm) 5.7 5.5 6.8 7.5 7.9 9.1 15.3 13.3 8.8 5.5 8.2 7.4 101.0
평균 상대 습도 (%) 63.3 59.4 56.8 55.2 60.8 66.7 77.1 76.8 74.3 70.8 67.9 66.3 66.3
평균 월간 일조시간 170.8 174.3 202.4 214.9 232.0 203.3 150.0 170.4 173.7 189.9 153.2 161.3 2,196.2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2년~현재)[11][12]

지질

편집

이천시의 지질은 단순한 편이며, 경기 지괴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선캄브리아기의 암석보다는 중생대 쥐라기화강암이 주를 이룬다.[13] 화강암이 분포하는 지역은 많은 풍화가 진행되어 이천시는 대부분 저지대의 지형을 보이고 있다.[14]

유일한 변성암 흑운모 편마암(PCEbgn; Precambrian biotite granite)은 신둔면백사면 북부, 마장면 서부 등 이천시 일부 지역에만 분포한다.[13] 본 암석은 주로 흑운모가 우세한 우흑대(優黑帶)와 소량의 각섬석을 함유한 우흑대가 석영장석의 우백대(優白帶)와 교호(交互)하는 호상구조를 나타낸다. 본 암은 대개 북동 60°의 주향과 남동 58°의 경사를 보인다. 이곳 경기변성대의 퇴적기원(堆積起源)의 변성암의 연대는 루비듐-스트론튬(Rb-Sr) 연대측정법에 의해 생성연대가 26억 6천만년 전으로 추정된다.[14]

유일한 화성암 흑운모 화강암(Jbgr; Jurassic biotite granite)은 편마암 분포 지역을 제외한 이천시의 거의 전 지역에 분포하며 중생대 쥐라기한반도를 대규모로 관입한 대보 화강암의 일부이다. 심한 풍화를 받아 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13][14]

이천시에는 단 하나의 단층만이 통과한다. 그 이름은 고척 단층(고척:高尺)으로,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에서 신둔면 고척리, 호법면 안평리대포동 등을 지나 모가면까지 연장 발달되리라 추정되는 북서-남동 방향의 추정 단층이다. 지질도에 나온 단층의 연장은 약 18km이다.[13][14] 그 외에는 금왕 단층장호원읍 동쪽―이천시 경계 밖인 음성군 감곡면―을 지난다.


인구

편집

이천의 인구는 2022년 9월 현재 232,782명이며, 세대수 104,066가구, 인구 밀도는 480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9.4%, 65세 이상 인구는 9.9%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7%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5%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9%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3으로 남자가 다소 많다.[15]

이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66년 119,115명
1970년 106,426명
1975년 113,610명
1980년 109,049명
1985년 124,869명
1990년 148,662명
1995년 155,093명
2000년 179,081명
2005년 187,514명
2010년 192,918명
2015년 209,003명

행정 구역

편집

이천시의 행정 구역은 2, 8, 4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천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61.3km2이다. 2014년 2월말 기준으로 인구는 80,016세대, 210,331명이며, 인구밀도는 453명/km2이다.[16] 전체 인구 중 43%인 90,152명이 시내 동 지구에 거주한다.

이름 한자 인구 (명) 면적 (km2) 행정 지도
부발읍 夫鉢邑 39,195 41.88  
장호원읍 長湖院邑 16,403 60.35
대월면 大月面 14,298 31.44
마장면 麻長面 8,253 51.36
백사면 栢沙面 10,794 32.55
신둔면 新屯面 11,345 36.46
설성면 雪星面 5,491 51.66
호법면 戶法面 6,021 37.93
모가면 慕加面 5,174 40.99
율면 栗面 3,205 36.77
관고동 官庫洞 10,791 7.756
중리동 中里洞 15,197 22.09
증포동 增浦洞 49,367 9.96
창전동 倉前洞 19,818 1.13

문화재

편집

국가 지정 문화재

편집
 
시 지정 문화재 안흥지 애련정
  • 반룡송(蟠龍松)
  • 어재연장군생가(魚在淵將軍生家)
  • 영월암 마애여래입상(映月庵 磨崖如來立像)
  • 이천 설봉산성(利川 雪峰山城)
  • 이천백송(利川白松)
  •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
  •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靑磁 陽刻蓮瓣文)

도 지정 문화재

편집
  • 김좌근 고택(金左根 古宅)
  • 벼루장(硯匠) 신근식(무형문화재)
  • 사기장(沙器匠,백자) 서광수(무형문화재)
  • 설성산성(雪城山城)ㅗ
  • 소고리 마애여래좌상(所古里磨崖如來坐像)
  • 이천거북놀이(무형문화재)
  • 이천어석리석불입상(利川於石里石佛立像)
  • 이천자석리석불입상(利川自石里石佛立像)
  • 이천중리3층석탑(利川中里三層石塔)
  • 이천향교(利川鄕校)
  • 이평리석불입상(泥坪里石佛立像)
  • 풍고김조순묘역(楓皐金祖淳墓域)
  • 화각장(華角匠) 한춘섭(무형문화재)

시 지정 문화재

편집
  • 갈산동석불입상(葛山洞石佛立像)
  • 관고동 입상석불(官庫洞石佛立像)
  • 관고동5층석탑(官庫洞五層石塔)
  • 권균묘역(權鈞墓域)
  • 김해묘역
  • 대포동석조여래입상(大浦洞石造如來立像)
  • 도립리 육괴정(道立里六槐亭)
  • 동산리 마애여래상
  • 서신일묘역(徐神逸墓域)
  • 선읍리입상석불(善邑里立像石佛)
  • 설봉서원(雪峯書院)
  • 설봉서원절목
  • 소고리 마애삼존석불(所古里 磨崖三尊石佛)
  • 애련정(愛蓮亭)
  • 영원사석조약사여래좌상(靈源寺石造藥師如來坐像)
  • 영월암석조광배 및 연화좌대(映月庵石造光背-蓮華座臺)
  • 이점 신도비(李岾 神道碑)
  • 지석리지석묘(支石里支石墓)

문화·관광

편집

축제

편집
  • 이천도자기축제

설봉문화제의 일환으로 시작한 도자기 축제는 1994년 제 8회까지는 이천문화원의 주관으로 치러진 행사로서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행사준비의 어려움과 도예인들의 저조한 참여로 인해 소규모 지역축제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후 이천시는 도예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고자, 1995년 제 9회 축제부터는 국내는 물론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국제 규모의 관광축제와 관광 수입 증대 등을 도모하기 위해 문화체육부 시범축제로 《이천도자기축제》를 지원하여 줄 것을 건의하게 된다. 이후 경기도가 개최한 《2001년 세계도자기축제》를 계기로 이천의 도자산업은 또 한 번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2016년 30주년 기념"즐겁고 신나는 도자기 축제".[17]

특산품

편집
  • 이천 쌀, 햇사레복숭아가 있다.

교육 기관

편집
  
  • 대학원대학교
  
  
  
  • 대월중학교
  • 마장중학교
  • 모가중학교
  • 백사중학교
  • 부발중학교
  • 설봉중학교
  • 장호원중학교
  • 증포중학교
  • 효양중학교

스포츠

편집

조직안내

편집
시장
부시장
  • 비서실
  • 미래전략담당관
  • 기획예산담당관
  • 감사법무담당관
  • 홍보관광담당관
자치행정국
  • 자치행정과
  • 세정과
  • 징수과
  • 회계과
  • 교육청소년과
  • 정보통신과
종합민원국
  • 민원봉사과
  • 종합허가과
  • 토지정보과
  • 주택과

교통

편집

철도

편집

버스

편집

도로

편집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군사

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공병 부대 중 하나인 청룡대대가 이천시에 있다. 그리고 3901부대와 예하대대 서희대대도 부발읍에 위치하고 있고, 백사면 근처 천덕봉에 곧 예비군 훈련대가 창설되고 있다. 또한, 육군본부 직속 부대인 항공작전사령부가 대포동에 소재하고 있다.

출신 인물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역대 시장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천시의 연혁, 2012년 4월 3일 확인
  2. 죽천군(竹川郡), 본군(本郡)은 음죽군(陰竹郡) 및 이천군(利川郡)을 병합한 것이므로 양 군의 이름에서 1자를 택하여 이를 결합하여 죽천군으로 명명했다. 출전은 일제강점기 경기도의 의견 보고 문서 〈부군폐합에 관한 건〉 (467호).
  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4. 〈부군폐합에 관한 건〉 (467호), 일제강점기 경기도
  5.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1941년 9월 29일)
  6.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1995년 12월 6일)
  7.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8.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9.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10. 이천시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0. 12. 31 기준, 2012년 3월 22일 작성
  11.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이천(203)”.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2.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이천(203)”.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3.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4. 여상철. “利川 地質圖幅說明書 (이천 지질도폭설명서)”. 1974년. 
  15. 이천시 통계 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 통계연보 PDFwkfy
  16. 이천시의 일반현황
  17. 이천도자기 축제의 역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5월 6일 확인,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