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
좌표: 북위 37° 16′ 동경 127° 26′ / 북위 37.267° 동경 127.433°

이천시(利川市, 문화어: 리천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동쪽으로 여주시, 서쪽으로 용인시,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 남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시청은 중리동에 있고, 2읍 8면 4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이다.
이천시청 | ||
![]() 이천시의 위치 | ||
위치 지도 | ||
---|---|---|
현황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497.9 km2 | |
세대 | 96,799 가구 (2020[1]) | |
총인구 | 218,388 명 (2020[2]) | |
인구밀도 | 439 명/km2 | |
읍 | 2개 | |
면 | 8개 | |
행정동 | 4개 | |
법정동 | 15개 | |
시장 | 엄태준(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송석준(국민의힘) | |
시청 | ||
소재지 | 경기도 이천시 부악로 40 | |
홈페이지 | http://www.icheon.go.kr/ |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
시화 | 진달래 | |
시조 | 까치 |
역사편집
삼국시대 초에는 백제의 영지였으나, 고구려 제26대 장수왕 63년 고구려에 속하며 남천현이라 불렸다. 551년 신라 제24대 진흥왕 때 남천주로 군주(오늘날 도청소재지)를 두었다. 757년 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 황무현으로 개칭하고 광주(지금 광주)의 편입시켰다. 936년 고려 태조가 후백제 남정을 할 때 이천군이라 칭하였고 고려 제23대 고종 44년에는 영창이라 불렀다. 1390년 제34대 공양왕 8년 남천군이라 이름을 바꾸고 승격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 이천현으로 감무를 두었으며, 제 3대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 1444년 세종 26년에 도호부가 되어 부사의 부임지가 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되었다.[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이천군 읍면, 둔면 일부 읍내면 일원 이천군 신면, 둔면 일부 신둔면 일원 이천군 백면, 사면 백사면 일원 이천군 부면, 발면 부발면 일원 이천군 대면, 월면, 초면 대월면 일원 이천군 모면, 가면 모가면 일원 이천군 호면 호법면 일원 이천군 마면, 장면 마장면 일원 음죽군 현내면, 동면, 서면 청미면 일원 음죽군 근북면, 원북면 설성면 일원 음죽군 상율면, 하율면 율면 일원
- 1938년 10월 1일 읍내면을 이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41년 10월 1일 청미면을 장호원읍으로 승격하였다.[5]
- 1966년 4월 21일 대월면에 초지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9년 4월 1일 부발면을 부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6년 3월 1일 이천군 전체를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이천시를 설치하였다.[6]
- 1996년 5월 1일 대월면 가운데 초지출장소가 관리하지 않는 지역을 중리동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 법정구역 기존 개편 후 중리동 중리동 중리동, 증일동, 율현동, 진리동 대월면 단월리, 대포리, 고담리, 장록리 대월면 초지리, 사동리, 대대리, 대흥리, 도리리, 구시리, 군량리, 송라리, 장평리, 부필리
산업편집
지역내 총생산편집
이천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23조 1380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5217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5조 9880억원으로 69.7%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조 4987억원으로 28.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와 주택단지가 건설되고 있어 건설업(3.8%)과 사업서비스업(3.5%), 도소매업(3%)과 운수업(2.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7]
산업별 종사자 현황편집
2014년 이천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99,369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90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33,823명으로 3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5,154명으로 65.6%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1.4%), 숙박 및 음식점업(9.3%), 사업서비스업(9.3%), 운수업(6.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8]
상주인구와 주간인구편집
이천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190,673명이고 주간인구는 202,07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6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405명, 유출인구는 11,41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903명, 유출인구는 2.501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1,397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9]
지리편집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동서간 거리가 27km, 남북간 거리가 36km로 총 면적은 461km2이다. 동쪽으로는 여주시, 서쪽에는 용인시, 서남쪽은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남북의 지형은 마치 긴 표주박 모양이고, 타 시군과의 경계 주위에는 구릉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강 지류인 복하천이 시내 중심부를 흘러 소평야를 이루고 있어 관개의 이점이 있음으로 지질은 대체로 비옥한 편이다.
남북의 중부, 동서의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국도 제3호선과 수원에서 여주를 잇는 국도 제42호선이 교차하는 사통팔달의 교통요충지로써 좋은 산업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10]
기후편집
이천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2.8 (37.0) |
6.3 (43.3) |
12.1 (53.8) |
19.3 (66.7) |
24.2 (75.6) |
27.5 (81.5) |
29.0 (84.2) |
29.9 (85.8) |
25.8 (78.4) |
20.4 (68.7) |
12.0 (53.6) |
4.7 (40.5) |
17.8 (64.0) |
일 평균 기온 °C (°F) | −3.1 (26.4) |
−0.2 (31.6) |
5.2 (41.4) |
11.9 (53.4) |
17.4 (63.3) |
21.7 (71.1) |
24.4 (75.9) |
24.8 (76.6) |
19.8 (67.6) |
13.0 (55.4) |
5.4 (41.7) |
−1.2 (29.8) |
11.6 (52.9) |
평균 최저 기온 °C (°F) | −8.5 (16.7) |
−6.1 (21.0) |
−1.0 (30.2) |
4.9 (40.8) |
11.1 (52.0) |
16.6 (61.9) |
20.7 (69.3) |
21.0 (69.8) |
15.0 (59.0) |
7.2 (45.0) |
−0.2 (31.6) |
−6.4 (20.5) |
6.2 (43.2)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22.5 (0.89) |
23.9 (0.94) |
47.4 (1.87) |
74.0 (2.91) |
93.8 (3.69) |
146.0 (5.75) |
370.2 (14.57) |
319.9 (12.59) |
176.0 (6.93) |
42.1 (1.66) |
38.8 (1.53) |
16.3 (0.64) |
1,370.8 (53.97)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6.0 | 4.6 | 7.2 | 7.0 | 7.6 | 9.4 | 14.6 | 13.8 | 9.0 | 5.0 | 7.1 | 6.1 | 97.4 |
평균 상대 습도 (%) | 64.4 | 59.9 | 58.0 | 55.3 | 62.1 | 67.8 | 77.3 | 76.9 | 74.5 | 70.4 | 67.1 | 66.6 | 66.7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66.1 | 169.1 | 192.1 | 210.8 | 221.8 | 187.0 | 141.2 | 159.4 | 165.6 | 188.4 | 152.6 | 158.3 | 2,113.7 |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11] |
인구편집
이천의 인구는 2019년 9월 현재 233,688명이며 인구 밀도는 480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9.4%, 65세 이상 인구는 9.9%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7%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5%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9%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3으로 남자가 다소 많다.[12]
- 이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 총인구 | |
---|---|---|
1966년 | 119,115명 | |
1970년 | 106,426명 | |
1975년 | 113,610명 | |
1980년 | 109,049명 | |
1985년 | 124,869명 | |
1990년 | 148,662명 | |
1995년 | 155,093명 | |
2000년 | 179,081명 | |
2005년 | 187,514명 | |
2010년 | 192,918명 | |
2015년 | 209,003명 |
행정 구역편집
이천시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 4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천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61.3km2이다. 2014년 2월말 기준으로 인구는 80,016세대, 210, 331명이며, 인구밀도는 453명/km2이다.[13] 전체 인구 중 43%인 90,152명이 시내 동 지구에 거주한다.
이름 | 인구 (명) | 면적 (km2) | 행정 지도 |
---|---|---|---|
부발읍 | 39,195 | 41.88 | |
장호원읍 | 16,403 | 60.35 | |
대월면 | 14,298 | 31.44 | |
마장면 | 8,253 | 51.36 | |
백사면 | 10,794 | 32.55 | |
신둔면 | 11,345 | 36.46 | |
설성면 | 5,491 | 51.66 | |
호법면 | 6,021 | 37.93 | |
모가면 | 5,174 | 40.99 | |
율면 | 3,205 | 36.77 | |
관고동 | 10,791 | 7.756 | |
중리동 | 15,197 | 22.09 | |
증포동 | 49,367 | 9.96 | |
창전동 | 19,818 | 1.13 |
문화·관광편집
축제편집
- 이천도자기축제
설봉문화제의 일환으로 시작한 도자기 축제는 1994년 제 8회까지는 이천문화원의 주관으로 치러진 행사로서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행사준비의 어려움과 도예인들의 저조한 참여로 인해 소규모 지역축제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후 이천시는 도예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고자, 1995년 제 9회 축제부터는 국내는 물론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국제 규모의 관광축제와 관광 수입 증대 등을 도모하기 위해 문화체육부 시범축제로 《이천도자기축제》를 지원하여 줄 것을 건의하게 된다. 이후 경기도가 개최한 《2001년 세계도자기축제》를 계기로 이천의 도자산업은 또 한 번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2016년 30주년 기념"즐겁고 신나는 도자기 축제".[14]
특산품편집
- 이천 쌀
교육 기관편집
- 대학원대학교
|
|
|
|
스포츠편집
조직안내편집
- 시장
- 부시장
- 비서실
- 미래전략담당관
- 기획예산담당관
- 감사법무담당관
- 홍보관광담당관
- 자치행정국
- 자치행정과
- 세정과
- 징수과
- 회계과
- 교육청소년과
- 정보통신과
- 종합민원국
- 민원봉사과
- 종합허가과
- 토지정보과
- 주택과
교통편집
철도편집
버스편집
도로편집
- 고속도로
- 국도
- 지방도
군사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공병 부대 중 하나인 청룡대대가 이천시에 있다. 그리고 3901부대와 예하대대 서희대대도 부발읍에 위치하고 있고, 백사면 근처 천덕봉에 곧 예비군 훈련대가 창설되고있다.
출신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역대 시장편집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32대 | 유승우 | 1996년 3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경기도 이천시장 |
제33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2기 | |
제34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민선3기 | |
제35대 | 조병돈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4기 |
제36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5기 | |
제37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6기 | |
제38대 | 엄태준 | 2018년 7월 1일 ~ | 민선7기 |
각주편집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이천시의 연혁, 2012년 4월 3일 확인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1941년 9월 29일)
- ↑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1995년 12월 6일)
- ↑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 이천시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0. 12. 31 기준, 2012년 3월 22일 작성
- ↑ “평년값자료(1981-2010) 이천(203)”.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일에 확인함.
- ↑ 이천시 통계 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 통계연보 PDFwkfy
- ↑ 이천시의 일반현황
- ↑ 이천도자기 축제의 역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5월 6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이천시청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