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학교
대한민국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의 사립 종합대학
인제대학교(仁濟大學校, Inje University)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사립 대학이다.
표어 | 정직, 성실, 근면 |
---|---|
종류 | 사립 종합대학 |
설립 | 1979년 |
학문 관련 제휴 | OCUC |
총장 | 전민현(全民鉉) |
설립자 | 백낙조, 백낙환 |
학교법인 | 인제학원 |
학부생 수 | 9,219명 (2018년)[1] |
대학원생 수 | 1,209명 (2018년)[1] |
교직원 수 | 전임교원: 997명 (2018년)[1] 기타교원: 274명 (2018년)[1]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김해캠퍼스 경상남도 김해시 인제로 197 부산캠퍼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복지로 75 |
상징물 | 백곰, 학 |
웹사이트 | 인제대학교 홈페이지 |
![]() |
설립이념은 '인술제세(仁術濟世), 인덕제세(仁德濟世)'로서, '인술로써 세상을 구하고, 어짊과 덕으로 세상을 구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1979년 3월 개교하였다. 8개의 단과대학과 1개의 독립학과, 1개의 대학원, 4개의 특수대학원이 설립되어 있다.
연혁편집
- 1941년 1월 : 경성의학전문학교(서울의대 전신) 외과 주임교수 백인제 박사가 지금의 서울백병원 위치에서 '백인제외과병원' 개원
- 1946년 12월 : 한국 최초 민립공익법인 백병원 설립
- 1972년 3월 : 종합병원 서울백병원 개원
- 1979년 3월 : 인제의과대학 개교
- 1979년 6월 : 부산백병원 개원
- 1981년 11월 : 경남 김해시 어방동에 교지 12만평 확보
- 1983년 8월 : 학교법인 인제학원 발족
- 1983년 9월 : 인제대학으로 교명 변경 및 김해캠퍼스로 이전
- 1988년 11월 : 종합대학 인제대학교로 승격
- 1989년 8월 : 상계백병원 개원
- 1993년 9월 : 경영대학원 설립 인가
- 1995년 10월 : 교육대학원 설립 인가
- 1998년 3월 2일 : 백인제기념도서관(지상 6층 4,203평), 본관(지상15층, 2,317 평) 준공
- 1999년 11월 2일 : 사회복지대학원 신설
- 1999년 12월 10일 : 일산백병원 개원
- 2000년 2월 : 디자인연구소 설립
- 2000년 8월 : 신축학군단 건물 준공식 (3층 421평)
- 2001년 7월 : 학과 신설 및 개편
내역
- 학과신설 : 나노공학과, 특수교육학과
- 증원 : 임상병리학과(야간)
- 디자인학부를 자연과학대학에서 독립학부로 개편
- 수학과·물리학과 석사과정 통합 및 컴퓨터응용과학과로 명칭 변경
- 전자공학과를 전자정보통신공학과로 명칭 변경
- 첨단산업기술대학원 전공 신설
- 경영대학원 국제통상학과와 지역산업경제학과를 통합하여 경제통상학과로 명칭변경
- 2001년 9월 : 특수교육학과 설립 인가
- 2001년 10월 : 국제올림픽문화교류연구소, 나노기술응용연구소 설립
- 2002년 3월 : 의생명공학동 준공(지하 1층, 지상 12층 연면적 4,065평 규모)
- 2002년 5월 : 인현재 고시원 - 정산재 개원
- 2002년 10월 : 대학원 나노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신설, 경영대학원 행정학과 신설
- 2002년 12월 : 학과 신설 및 개편
내역
- 학과신설 : 유아교육과, 음악학과
- 단과대학 신설 : 디자인대학
- 정원 증원 : 특수교육과, 경영학부, 디자인학부
- 정원 감원 : 정보컴퓨터공학부, 전자정보통신공학부
- 학부(과) 명칭 변경 : 공과대학 신소재공정공학부를 신소재공학부로, 정보컴퓨터공학부를 컴퓨터공학부로, 광공학과와 나노공학과를 나노공학부로, 의생명공학대학 식품과학부를 식품생명과학부로, 산업안전보건학과를 보건안전공학과로 명칭 변경
- 2003년 3월 : 혜촌 김학수 기념박물관(160평) 개관
- 2003년 7월 : 중소기업 디자인상품화지원센터를 부설기관으로 직제 신설
- 2003년 8월
-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연구동 개관 (지상 11층, 연건평 1500여평), 부산백병원 부설 김해국제공항의원 개원식
- 2003년 10월 : 학과 개편
내역
- 학과명칭 및 단과대학 변경 : 신소재공학부를 첨단소재과학과(자연과학대학)와 제약공학과(공과대학)으로 분리 변경
- 학부(과) 명칭 변경 : 환경시스템학부를 환경공학부로, 산업시스템공학과를 시스템경영공학과로 학부(과)명 변경
- 정원 증원 : 컴퓨터공학부, 나노공학부
- 정원 감원 : 의예과, 경영통상학과(야간)
- 2004년 1월 : 산학협력단 신설
- 2004년 3월 : 제2공학관 및 바이오텍 빌리지 기공식 (제 2공학관 : 지하2층, 지상 7층, 연면적 3,138평 / 바이오텍 빌리지 : 지하 2층, 지상 11층, 연면적 3,450평)
- 2005년 2월 : 기초대학 신설
- 2006년 3월 : 2007학년도 모집단위 분리 및 행정부서 직제 및 명칭 개편, 노인건강전략개발연구소, 인제대학교 기술이전센터 설립
내역
- 사회복지·가족소비자학과군 → 사회복지학과, 가족소비자학과
- 보건행정학부 → 행정학과, 보건행정학과
- 학과명칭 변경 :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학부로, 가족소비자학과에서 생활상담복지학부로 명칭 변경
- 부서명칭 변경 : 기획사업처 → 기획처
- 직제 및 명칭변경 : 디지털정보기술처 → 디지털정보원
- 부서통합 : 교수학습개발센터 → 교무처
- 유학리더십센터 → 인적자원개발처
- 2006년 6월 : 인제대학교박물관 설립
- 2006년 9월 : 의생명공학원 내 방사선방재센터 설립
- 2007년 9월 : 부속기관 한국어문화교육원 설립
- 2008년 3월 : 경영교육인증센터, 부설연구소 인간환경미래연구원 설립, 부설연구기관 6대연구원 폐지 및 통·폐합
- 2009년 5월 1일 : 2010학년도 모집단위 분리 및 개편
내역
- 언론정치학부를 신문방송학과, 정치외교학과로 분리모집
- 학과증원 : 경영학부, 기계자동차공학부
- 학과감원 : 법학과, 컴퓨터공학부
- 2009년 9월 1일 : 발전협력실 신설
- 2010년 2월 : 교육과학기술부 약학대학 신설대학 선정
- 2010년 3월 :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개원
- 2010년 4월 : 인제대학교 백병원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한국병원 운영
- 2011년 9월 : 알레르기호흡기연구소, 임상감정인지기능연구소 설립
- 2011년 10월 : 약학과 증원
- 2011년 11월 : 인제대신문사, 교육방송국을 인제미디어센터로 통합
- 2012년 3월 : 공학교육혁신센터 설립(인제공학교육연구센터 폐지)
- 2012년 6월 : 이태석신부기념실 개관
- 2012년 10월 : 부설연구기관 동북아교류협력연구원 신설
- 2012년 11월 : 부설연구기관 국제개발협력연구원 신설
- 2013년 9월 : 음악대학원 신설
- 2014년 9월 1일 : 대학원 학과 명칭 변경 (중국학과 → 한중통번역학과, 데이터정보학과 → 통계학과)
- 2015년 3월 1일 : 행정부서 직제 및 명칭 개편,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환경교육전공, 일어교육전공 폐지
내역
- 부서 통합 : 학생복지처, 취업진로처 → 학생취업처
- 부서 명칭 변경 : 대외교류처 → 국제교류처
- 부서 신설 : 대외협력실
- 부설기관 교육역량강화사업단 폐지
총장편집
- 이윤구
- 6대 故 차인준 (2014년 9월 ~ 2018년 12월)
- 7대 故 김성수 (2019년 1월 ~ 2019년 9월)
- 8대 전민현 (2019년 9월 24일 ~ 현재)
저명한 동문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인제대학교 대학현황
-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인제대학교 홈페이지
- 인제대학교 디지털정보원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 인제대학교 박물관
- 인제대 신문사
- 인제대학교 IJUB 교육방송국[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인제대학교 생활관
- 인제대학교 정산재(고시원)[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