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재공제조합

자본재공제조합(資本財共濟組合, Machinery Financial Cooperative)은 조합원의 사업에 필요한 보증과 자금의 융자, 기자재 구매알선 및 공제사업 등을 행함으로써 조합원의 자율적 경제활동을 도모하여 자본재산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산업발전법 40조에 의거 1986년 한국기계산업진흥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7 기계회관 본관 8층이다.[1] [2] [3]

구분

편집
  • 공제조합

소속기관

편집
  • 산업통상자원부

설립 근거

편집
  • 산업발전법 제40조

설립일

편집
  • 1986년 11월 20일

설립 목적

편집
  • 조합원의 사업에 필요한 보증과 자금의 융자, 기자재 구매알선 및 공제사업 등을 행함으로써 조합원의 자율적 경제활동을 도모하여 자본재산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

소재지

편집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7 기계회관 본관 8층

연혁

편집
  • 1986. 10 기계공제조합 창립총회
  • 1986. 11 산업자원부장관 설립 허가
  • 1987. 01 보증업무개시
  • 1988. 04 『영남지부』 개설
  • 1996. 08 『품질인증제품 하자보증』 신설
  • 1998. 03 『경인지부』 개설
  • 2000. 05 『품질인증제품』보증종류 확대
  • 2004. 03 『인터넷전자보증서비스』 개시
  • 2007. 07 『기계공제조합』에서 『자본재공제조합』으로 명칭 변경
  • 2010. 11 『뿌리산업 이행보증사업』 개시
  • 2012. 05 『중부지부』 개설
  • 2013. 01 『영문보증·외화보증』 시행
  • 2015. 06 『공사이행보증』 시행
  • 2016. 03 『중고기계 가치ㆍ성능 보장사업』 시행
  • 2019. 07 『영남지사』 이전, 『부산사무소』 개소

주요 사업

편집
  • 자본재에 대한 이행보증사업
  • 정부가 인증한 제품에 대한 이행보증사업
  • 뿌리산업 이행보증사업
  • 기술개발, 품질향상, 정보제공 등 기계산업진흥을 위한 사업
  • 조합원 원부자재 공동구매사업
  • 조사사업 및 조합원 지원사업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위탁하는 사업

주요 업무

편집
  • 일반보증, 정부인증제품보증, 뿌리보증, 입찰보증. 계약보증, 하자보증, 지급보증, 선금보증, 계약금보증, 중도금보증, 유보금보증, 기성고보증, 자재보증, ATA까르네보증, 자재구입보증, 성능보증, 공사이행보증, 단체재산종합공제, 단체PL보험, 원자재공동구매

규모

편집
  • 1부 2실 9팀 3지점


조직

편집

이사회

편집

이사장

편집

전무이사

편집

공제본부

편집

사업전략센터

편집

보증센터

편집

뿌리산업품질보증팀

편집

비즈니스지원센터

편집

경인지사

편집

중부지사

편집

영남지사

편집

부산지사

편집

경영기획실

편집

기획조정팀

편집

운영지원팀

편집

재무회계팀

편집

리스크관리실

편집

심사팀

편집

채권관리팀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자본재공제조합 홈페이지”.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9일에 확인함. 
  2. 산업발전법 제40조(공제조합) ① 사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다음 각 호의 공제조합(이하 "공제조합"이라 한다)을 설립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 기계·부품·소재산업 등의 자본재(資本財) 산업을 경영하는 자 상호 간의 자율적 경제 활동을 도모하고 사업의 경영에 필요한 각종 보증과 품질보장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자본재공제조합
  3. 자본재공제조합 3년 연속 신용등급 AA '안정적'<<머니투데이>> 2014.06.10 최우영 기자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