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리톨
자일리톨(영어: xylitol) 또는 크실리톨(←핀란드어: Ksylitoli 크쉴리톨리[*])은 자일로스를 가공하여 만든, 알코올계의 당으로 설탕 대용품이나 치아 관리용품에 이용되는 물질이다. 화학식은 (CHOH)3(CH2OH)2이다.
![]() | |
![]() 자일리톨 결정
| |
이름 | |
---|---|
발음 | /ˈzaɪlɪtɒl/ |
체계명
(2R,3R,4S)-Pentane-1,2,3,4,5-pentol | |
별칭
(2R,3R,4S)-Pentane-1,2,3,4,5-pentaol (not recommended)
1,2,3,4,5-Pentahydroxypentane Xylit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BL | |
ECHA InfoCard | 100.001.626 |
식품 첨가물 코드 번호 | E967 (광택제,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5H12O5 | |
몰 질량 | 152.146 g·mol−1 |
밀도 | 1.52 g/cm3 |
녹는점 | 92 to 96 °C (198 to 205 °F; 365 to 369 K) |
끓는점 | 345.39 °C (653.70 °F; 618.54 K) Predicted value using Adapted Stein & Brown method[2] |
~100 g/L | |
위험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관련 화합물 | |
관련 alkanes
|
Pentan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같은 질량의 자당과 같은 정도의 단맛이 나지만 칼로리는 자당의 60% 정도이다. 자당, 포도당, 과당 등의 육탄당과는 달리 자일리톨은 오탄당으로 뮤탄스균(S.mutans;충치의 주요 원인균)이 당을 발효시키지 못해 산의 생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충치 예방과 치아를 보호하거나 손상된 치아 표면을 복원하는데 도움을 주며, 인슐린이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의 설탕 대용으로 사용된다. 자당과는 약간 다른 단맛을 낸다.
비슷한 효과를 지닌 성분으로는 솔비톨이 있다.
EU 내에서 음식 첨가제로 사용될 때 자일리올의 E 번호는 E967이다.[3]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Safety data sheet for xylitol Archived 2016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from Fisher Scientific. 확인일: 2014-11-02.
- ↑ “Xylitol”. 《Chemspider》. 2015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Food – EPA – European Association of Polyol Producers”. 《polyols-eu.org》. 2019년 2월 7일에 확인함.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